"동의보감"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지식 관계망) |
(→참고문헌) |
||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6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29번째 줄: | 29번째 줄: | ||
=='''정의'''== | =='''정의'''== | ||
− | 1610년(광해군 2) [[허준 | + | 1610년([[조선 광해군]] 2) [[허준|허준(許浚, 1546∼1615)]]이 완성한 의학서적이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36871 동의보감]",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ref> |
=='''내용'''== | =='''내용'''== | ||
동아시아 의학을 집대성한 것으로 평가받는 서적이다. 2009년 7월 31일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되었으며, 2015년 6월 국보로 지정되었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36871 동의보감]",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ref> | 동아시아 의학을 집대성한 것으로 평가받는 서적이다. 2009년 7월 31일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되었으며, 2015년 6월 국보로 지정되었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36871 동의보감]",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ref> | ||
===편찬/발간 경위=== | ===편찬/발간 경위=== | ||
− | [[허준]]이 왕명을 받아 1596년(선조 29)부터 [[정작]](鄭碏)·[[이명원]](李命源)·[[양예수]](楊禮壽)·[[김응탁]](金應鐸)·[[정예남]](鄭禮男) 등과 함께 | + | [[허준]]이 왕명을 받아 1596년([[조선 선조]] 29)부터 [[정작]](鄭碏)·[[이명원]](李命源)·[[양예수]](楊禮壽)·[[김응탁]](金應鐸)·[[정예남]](鄭禮男) 등과 함께 편찬 작업에 착수하였다. [[정유재란]]으로 일시 중단되었다가 난이 끝난 뒤 [[허준]]이 다시 편찬을 계속하여 1610년(광해군 2) 25권 25책으로 정리하였다. 3년 뒤인 1613년(광해군 5)에 [[내의원]]에서 목활자인 내의원자(內醫院字)로 간행하였다.<ref>안미경,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73285 동의보감]",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평가=== | ===평가=== | ||
− | 동의보감은 17세기 동아시아 의학을 집대성하여 지금까지 의학 발전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세계적으로도 학술적 가치를 높이 평가받고 있다. 국내에 남아있는 동의보감 초간본(목활자본)은 전본이 드물어 희소성이 있으며 한국의학사와 | + | 동의보감은 17세기 동아시아 의학을 집대성하여 지금까지 의학 발전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세계적으로도 학술적 가치를 높이 평가받고 있다. 국내에 남아있는 동의보감 초간본(목활자본)은 전본이 드물어 희소성이 있으며 한국의학사와 [[임진왜란]] 이후 도서출판 역사 연구에 귀중한 자료가 되고 있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36871 동의보감]",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ref> |
===소장본=== | ===소장본=== | ||
− | [[국립중앙도서관]]이 소장하고 있는 | + | [[국립중앙도서관]]이 소장하고 있는 『동의보감(오대산사고본, 25권25책, 36.6×22.0㎝)』은 1614년 [[오대산사고]](五臺山史庫)에 보관된 책이며, 1991년 9월 30일 보물 제1085-1호로 지정되었다. [[한국학중앙연구원]]이 소장하고 있는 『동의보감(적성산사고본, 25권25책, 36.6×22.0㎝)』, [[규장각|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이 소장하고 있는 『동의보감(태백산사고본, 24권24책과 17권17책 2종류, 36.6×22.0cm)』은 2008년 8월 28일 각각 보물 제1085-2호, 제1085-3호로 지정되었다.<br/> |
[[국립중앙도서관]]과 [[한국학중앙연구원]] 소장본은 완질이지만,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소장본 두 종류는 일부가 빠져나간 결락본(缺落本)이다. 해당 소장본 중 24권24책은 잡병편 권6의 1책이 결본이고, 17권17책은 8책이 결본이다. 다만 24권24책에서는 빠져 있는 잡병편(雜病篇)이 제17권17책에는 포함되어 있다. <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36871 동의보감]",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ref> | [[국립중앙도서관]]과 [[한국학중앙연구원]] 소장본은 완질이지만,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소장본 두 종류는 일부가 빠져나간 결락본(缺落本)이다. 해당 소장본 중 24권24책은 잡병편 권6의 1책이 결본이고, 17권17책은 8책이 결본이다. 다만 24권24책에서는 빠져 있는 잡병편(雜病篇)이 제17권17책에는 포함되어 있다. <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36871 동의보감]",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ref> | ||
47번째 줄: | 47번째 줄: | ||
}} | }} | ||
=='''지식 관계망'''== | =='''지식 관계망'''== | ||
+ | * [http://dh.aks.ac.kr/Encyves/Graph/C038/C038.htm "허준과 동의보감"(박득순) 지식관계망] | ||
<html> | <html> |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
52번째 줄: | 53번째 줄: |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C038/C038.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C038/C038.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html> | </html> | ||
− | *[http://dh.aks.ac.kr/Encyves/Graph/A204/A204.htm 의서를 언해하여 백성을 구하다 지식관계망] | + | * '''[http://dh.aks.ac.kr/Encyves/Graph/A204/A204.htm 의서를 언해하여 백성을 구하다 지식관계망]''' |
+ | * '''[http://dh.aks.ac.kr/Encyves/Graph/A028/A028.htm 언해두창집요 지식관계망]''' | ||
+ | * '''[http://dh.aks.ac.kr/Encyves/Graph/A029/A029.htm 언해태산집요 지식관계망]''' | ||
+ | * '''[http://dh.aks.ac.kr/Encyves/Graph/A032/A032.htm 동의보감내경편언해 지식관계망]''' | ||
+ | * '''[http://dh.aks.ac.kr/Encyves/Graph/A034/A034.htm 언해납약증치방 지식관계망]''' | ||
===관계정보=== | ===관계정보===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
123번째 줄: | 128번째 줄: | ||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36871 동의보감]",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 |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36871 동의보감]",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 | ||
− | [[분류:민족기록화]][[분류: | + | [[분류:민족기록화]][[분류:문화유산]][[분류:문헌]] |
2017년 12월 27일 (수) 00:16 기준 최신판
동의보감(東醫寶鑑) | |
대표명칭 | 동의보감 |
---|---|
한자표기 | 東醫寶鑑 |
유형 | 한의학 서적 |
저자 | 허준 |
편자 | 허준 |
저술시기 | 1613년 |
간행처 | 내의원 |
시대 | 조선 |
수량 | 3권 3책 |
소장처 | 국립중앙도서관(오대산사고본), 한국학중앙연구원(적성산사고본),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태백산사고본) |
지정번호 | 국보 제319-1호(오대산사고본), 제319-2호(적성산사고본), 제319-3호(태백산사고본) |
지정일 | 2015년 6월 22일 |
목차
정의
1610년(조선 광해군 2) 허준(許浚, 1546∼1615)이 완성한 의학서적이다.[1]
내용
동아시아 의학을 집대성한 것으로 평가받는 서적이다. 2009년 7월 31일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되었으며, 2015년 6월 국보로 지정되었다.[2]
편찬/발간 경위
허준이 왕명을 받아 1596년(조선 선조 29)부터 정작(鄭碏)·이명원(李命源)·양예수(楊禮壽)·김응탁(金應鐸)·정예남(鄭禮男) 등과 함께 편찬 작업에 착수하였다. 정유재란으로 일시 중단되었다가 난이 끝난 뒤 허준이 다시 편찬을 계속하여 1610년(광해군 2) 25권 25책으로 정리하였다. 3년 뒤인 1613년(광해군 5)에 내의원에서 목활자인 내의원자(內醫院字)로 간행하였다.[3]
평가
동의보감은 17세기 동아시아 의학을 집대성하여 지금까지 의학 발전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세계적으로도 학술적 가치를 높이 평가받고 있다. 국내에 남아있는 동의보감 초간본(목활자본)은 전본이 드물어 희소성이 있으며 한국의학사와 임진왜란 이후 도서출판 역사 연구에 귀중한 자료가 되고 있다.[4]
소장본
국립중앙도서관이 소장하고 있는 『동의보감(오대산사고본, 25권25책, 36.6×22.0㎝)』은 1614년 오대산사고(五臺山史庫)에 보관된 책이며, 1991년 9월 30일 보물 제1085-1호로 지정되었다. 한국학중앙연구원이 소장하고 있는 『동의보감(적성산사고본, 25권25책, 36.6×22.0㎝)』,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이 소장하고 있는 『동의보감(태백산사고본, 24권24책과 17권17책 2종류, 36.6×22.0cm)』은 2008년 8월 28일 각각 보물 제1085-2호, 제1085-3호로 지정되었다.
국립중앙도서관과 한국학중앙연구원 소장본은 완질이지만,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소장본 두 종류는 일부가 빠져나간 결락본(缺落本)이다. 해당 소장본 중 24권24책은 잡병편 권6의 1책이 결본이고, 17권17책은 8책이 결본이다. 다만 24권24책에서는 빠져 있는 잡병편(雜病篇)이 제17권17책에는 포함되어 있다. [5]
연계 자원 보러 가기 |
• 의서를 언해하여 백성의 목숨을 구하다 |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동의보감 | 허준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동의보감 | 정유재란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동의보감 | 국립중앙도서관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동의보감 | 한국학중앙연구원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동의보감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동의보감 | 내의원 | A는 B에 의해 간행되었다 | A dcterms:publisher B |
박득순-허준과 동의보감 | 허준 |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A ekc:depicts B |
박득순-허준과 동의보감 | 동의보감 |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A ekc:depicts B |
시간정보
시간정보 | 내용 |
---|---|
1613 | 허준이 내의원에서 동의보감을 간행하였다. |
2009년 7월 31일 | 동의보감이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되었다. |
2015년 6월 | 동의보감이 국보로 승격되었다. |
공간정보
위도 | 경도 | 내용 |
---|---|---|
37.497927 | 127.004398 | 동의보감은 국립중앙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
37.391977 | 127.054397 | 동의보감은 한국학중앙연구원에 소장되어 있다. |
37.459865 | 126.951884 | 동의보감은 규장각에 소장되어 있다. |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동의보감.[6]
영상
- [NATV] 국회방송 한국의 정신 시공을 초월해 세계질병사에 기여한 구암 허준(게시일: 2015년 1월 11일)
- [EBSCulture (EBS 교양)] 역사채널e - The history channel e_세계 최초의 공중보건서 동의보감(게시일: 2015년 10월 22일)
주석
- ↑ "동의보감",
『doopedia』online , 두산백과. - ↑ "동의보감",
『doopedia』online , 두산백과. - ↑ 안미경, "동의보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동의보감",
『doopedia』online , 두산백과. - ↑ "동의보감",
『doopedia』online , 두산백과. - ↑ 안미경, "동의보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