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주대첩"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인용 및 참조) |
(→참고문헌) |
||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9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사건정보 | {{사건정보 | ||
− | |사진= | + | |사진=mountain_fortress_battle.png |
− | |사진출처= | + | |사진출처= |
|대표명칭=행주대첩 | |대표명칭=행주대첩 | ||
|한자표기=幸州大捷 | |한자표기=幸州大捷 | ||
16번째 줄: | 16번째 줄: | ||
}} | }} | ||
=='''정의'''== | =='''정의'''== | ||
− | [[임진왜란]] 때 [[권율]]이 [[행주산성]]에서 왜군을 대파한 | + | [[임진왜란]] 때 [[권율]]이 [[행주산성]]에서 왜군을 대파한 싸움이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67823 행주대첩]",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ref> |
=='''내용'''== | =='''내용'''== | ||
===행주산성 집결=== | ===행주산성 집결=== | ||
− | [[권율]]은 임진왜란 초에 광주목사(光州牧使)로 있으면서 군사를 일으켜 전공을 세워 전라도 순찰사(巡察使)가 | + | [[권율]]은 임진왜란 초에 광주목사(光州牧使)로 있으면서 군사를 일으켜 전공을 세워 전라도 순찰사(巡察使)가 되었다. 그 뒤 중국 명나라 군사와 합세하여 서울을 수복하려고 군사를 이끌고 [[수원 독산성 | 독산성]](禿山城)에 머물다가, 1593년(선조 26) 2월 1만여 병력을 조방장(助防將) [[조경]](趙儆)이 물색한 행주산성에 집결시켰다. [[권율]]은 [[조경]]을 시켜 행주산성을 보수하게 하고 목책을 세우게 하였다. 한편으로는 병사(兵使) [[선거이]](宣居怡)를 금주(衿州:始興)에 주둔시키고 휘하 병력 중 4,000명을 뽑아 보내서 한양에 주둔한 적을 견제하게 하였다. 또한 창의사(倡義使) [[김천일]](金千鎰)은 강화(江華)에서, 충청감사 [[허욱]](許頊)은 통진(通津:金浦)에서 각각 그를 지원하기로 하였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67823 행주대첩]",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ref><br/> |
− | [[권율]]은 남은 병사를 이끌고 [[조경]] 등과 함께 [[행주산성]]에 진지를 구축하였다. 승장(僧將) [[처영]](處英)도 승의병(僧義兵) 1,000명을 이끌고 [[권율]]을 따라 강을 건너니 [[행주산성]]에 포진한 총병력은 1만 명이 못 되었다. | + | [[권율]]은 남은 병사를 이끌고 [[조경]] 등과 함께 [[행주산성]]에 진지를 구축하였다. 승장(僧將) [[처영]](處英)도 승의병(僧義兵) 1,000명을 이끌고 [[권율]]을 따라 강을 건너니 [[행주산성]]에 포진한 총병력은 1만 명이 못 되었다. [[권율]]이 정예병을 뽑아 서울에 보내어 전투 태세를 갖추었다.<ref>이장희,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2859 행주대첩]",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왜군의 총공세=== | ===왜군의 총공세=== | ||
− | 한편 왜군은 이 무렵 총퇴각을 감행하여 서울 부근으로 집결하여 그 병력이 대단하였을 뿐만 아니라, 1월 말 벽제관(碧蹄館)에서 승리한 직후여서 그들의 사기 또한 충천해 있었다. 왜군은 [[배티전투]]와 [[독산성]] | + | 한편 왜군은 이 무렵 총퇴각을 감행하여 서울 부근으로 집결하여 이었다. 그 병력이 대단하였을 뿐만 아니라, 1월 말 벽제관(碧蹄館)에서 조명연합군에게 승리한 직후여서 그들의 사기 또한 충천해 있었다. 왜군은 [[배티전투]]와 [[독산성]]에서의 치욕적인 대패를 설욕하고 후방의 위험세력을 제거하기 위해 [[행주산성]]을 공격하기로 결의하였다. 총대장 [[우키타 히데이에]](宇喜多秀家)의 지휘하에 3만여 명의 병력이 7개 대로 나뉘어 [[행주산성]]으로 진군하였다.<ref>"[http://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View.do?search_div_id=CP_THE009&cp_code=cp0208&index_id=cp02081391&content_id=cp020813910001&search_left_menu=4 행주산성전투]", 문화원형 라이브러리<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콘텐츠닷컴』<sup>online</sup></online></html>, 한국콘텐츠진흥원.</ref><br/> |
− | 2월 12일 새벽 왜군은 3만여 병력으로 내습하여 여러 겹으로 성(城)을 포위하고 3진으로 나누어 9차례에 걸쳐 종일토록 맹공격해왔다. 이에 [[권율]]은 갖은 방법을 동원하여 왜군과 맞서 치열한 싸움을 계속하였다. 마침내 왜군은 큰 피해를 입고 퇴각하였는데, [[권율]]은 이를 추격하여 130여 명의 목을 베었으며 적장 [[우키타 히데이에]](宇喜多秀家)·[[이시다 미쓰나리]](石田三成)·깃카와 히로이에(吉川廣家) 등에게도 부상을 입혔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67823 행주대첩]",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ref> | + | 2월 12일 새벽 왜군은 3만여 병력으로 내습하여 여러 겹으로 성(城)을 포위하고, 3진으로 나누어 9차례에 걸쳐 종일토록 맹공격해왔다. 이에 [[권율]]은 갖은 방법을 동원하여 왜군과 맞서 치열한 싸움을 계속하였다. 마침내 왜군은 큰 피해를 입고 퇴각하였는데, [[권율]]은 이를 추격하여 130여 명의 목을 베었으며 적장 [[우키타 히데이에]](宇喜多秀家)·[[이시다 미쓰나리]](石田三成)·깃카와 히로이에(吉川廣家) 등에게도 부상을 입혔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67823 행주대첩]",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ref> |
===임진왜란 3대첩 중 하나=== | ===임진왜란 3대첩 중 하나=== | ||
이것이 유명한 [[임진왜란 3대첩]]의 하나인 행주대첩이다. 명(明) 제독 [[이여송]](李如松)은 평양으로 회군하던 중 행주대첩의 소식을 듣고 [[벽제관]]에서 패하고 급히 회군한 것을 후회했다고 한다. | 이것이 유명한 [[임진왜란 3대첩]]의 하나인 행주대첩이다. 명(明) 제독 [[이여송]](李如松)은 평양으로 회군하던 중 행주대첩의 소식을 듣고 [[벽제관]]에서 패하고 급히 회군한 것을 후회했다고 한다. | ||
대첩이 있은 다음 [[권율]]은 병력을 이끌고 파주산성(坡州山城)으로 옮겨 도원수 [[김명원]](金命元) 등과 본성을 지키면서 정세를 관망하였다.<ref> 이장희,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2859 행주대첩]",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br/> | 대첩이 있은 다음 [[권율]]은 병력을 이끌고 파주산성(坡州山城)으로 옮겨 도원수 [[김명원]](金命元) 등과 본성을 지키면서 정세를 관망하였다.<ref> 이장희,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2859 행주대첩]",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br/> | ||
− | 당시 부녀자들이 긴 치마를 잘라 짧게 만들어 입고 돌을 날라서, 석전(石戰)으로 적에게 큰 피해를 | + | 당시 부녀자들이 긴 치마를 잘라 짧게 만들어 입고 돌을 날라서, 석전(石戰)으로 적에게 큰 피해를 입혔기 때문에 '행주치마'라는 명칭이 생겼다는 이야기가 전해지지만 역사적 근거를 찾을 수는 없다.<ref>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67823 행주대첩]",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ref> |
=='''지식 관계망'''== | =='''지식 관계망'''== | ||
+ | * [http://dh.aks.ac.kr/Encyves/Graph/C031/C031.htm "행주대첩"(오승우) 지식관계망] | ||
+ | <html> | ||
+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
+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
+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C031/C031.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 | </html> | ||
+ | |||
===관계정보=== | ===관계정보===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
51번째 줄: | 58번째 줄: | ||
| [[깃카와 히로이에]] || [[행주대첩]]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깃카와 히로이에]] || [[행주대첩]]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 | + | | [[변이중화차]] || [[행주대첩]] || A는 B에 사용되었다 || A ekc:isUsedIn B |
+ | |- | ||
+ | | [[변이중화차]] || [[변이중]] || A는 B에 의해 제작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
|- | |- | ||
| [[수차석포]] || [[행주대첩]] || A는 B에 사용되었다 || A ekc:isUsedIn B | | [[수차석포]] || [[행주대첩]] || A는 B에 사용되었다 || A ekc:isUsedIn B | ||
− | |||
− | |||
|- | |- | ||
| [[권율]] || [[고양 충장사]] || A는 B에 제향되었다 || A ekc:isEnshrinedIn B | | [[권율]] || [[고양 충장사]] || A는 B에 제향되었다 || A ekc:isEnshrinedIn B | ||
72번째 줄: | 79번째 줄: | ||
| 37.599097 || 126.825966 || [[행주대첩비]]는 [[행주산성]]에 위치한다 | | 37.599097 || 126.825966 || [[행주대첩비]]는 [[행주산성]]에 위치한다 | ||
|} | |} | ||
+ | |||
+ | *'''임진왜란 3대첩''' | ||
+ | <html> | ||
+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
+ | <input type="button" value=" Map " onclick="reload();"> | ||
+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oogle/GoogleMapsKML.htm?kml=http://dh.aks.ac.kr/Encyves/Map/C026/C026.kml"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 | </html> | ||
=='''시각자료'''== | =='''시각자료'''== | ||
===가상현실=== | ===가상현실=== | ||
+ | <html> | ||
+ | <iframe width="100%" height="600" src="http://dh.aks.ac.kr/encyves/Pavilions/C031/S001/S001.htm "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 | </html><br/> | ||
+ | {{clickable button|[http://dh.aks.ac.kr/encyves/Pavilions/C031/S001/S001.htm 가상 현실 - 전체 화면 보기]}} | ||
+ | |||
=='''주석'''== | =='''주석'''== | ||
<references/> | <references/> | ||
86번째 줄: | 105번째 줄: | ||
[[분류:민족기록화]][[분류:사건]] | [[분류:민족기록화]][[분류:사건]] | ||
− |
2017년 12월 26일 (화) 23:19 기준 최신판
행주대첩(幸州大捷) | |
대표명칭 | 행주대첩 |
---|---|
한자표기 | 幸州大捷 |
이칭 | 행주성전투 |
유형 | 전투 |
시대 | 조선 |
날짜 | 1592년 02월 12일 |
관련인물 | 권율, 조경, 처영 |
관련유물유적 | 행주산성, 고양 충장사 |
목차
정의
임진왜란 때 권율이 행주산성에서 왜군을 대파한 싸움이다.[1]
내용
행주산성 집결
권율은 임진왜란 초에 광주목사(光州牧使)로 있으면서 군사를 일으켜 전공을 세워 전라도 순찰사(巡察使)가 되었다. 그 뒤 중국 명나라 군사와 합세하여 서울을 수복하려고 군사를 이끌고 독산성(禿山城)에 머물다가, 1593년(선조 26) 2월 1만여 병력을 조방장(助防將) 조경(趙儆)이 물색한 행주산성에 집결시켰다. 권율은 조경을 시켜 행주산성을 보수하게 하고 목책을 세우게 하였다. 한편으로는 병사(兵使) 선거이(宣居怡)를 금주(衿州:始興)에 주둔시키고 휘하 병력 중 4,000명을 뽑아 보내서 한양에 주둔한 적을 견제하게 하였다. 또한 창의사(倡義使) 김천일(金千鎰)은 강화(江華)에서, 충청감사 허욱(許頊)은 통진(通津:金浦)에서 각각 그를 지원하기로 하였다.[2]
권율은 남은 병사를 이끌고 조경 등과 함께 행주산성에 진지를 구축하였다. 승장(僧將) 처영(處英)도 승의병(僧義兵) 1,000명을 이끌고 권율을 따라 강을 건너니 행주산성에 포진한 총병력은 1만 명이 못 되었다. 권율이 정예병을 뽑아 서울에 보내어 전투 태세를 갖추었다.[3]
왜군의 총공세
한편 왜군은 이 무렵 총퇴각을 감행하여 서울 부근으로 집결하여 이었다. 그 병력이 대단하였을 뿐만 아니라, 1월 말 벽제관(碧蹄館)에서 조명연합군에게 승리한 직후여서 그들의 사기 또한 충천해 있었다. 왜군은 배티전투와 독산성에서의 치욕적인 대패를 설욕하고 후방의 위험세력을 제거하기 위해 행주산성을 공격하기로 결의하였다. 총대장 우키타 히데이에(宇喜多秀家)의 지휘하에 3만여 명의 병력이 7개 대로 나뉘어 행주산성으로 진군하였다.[4]
2월 12일 새벽 왜군은 3만여 병력으로 내습하여 여러 겹으로 성(城)을 포위하고, 3진으로 나누어 9차례에 걸쳐 종일토록 맹공격해왔다. 이에 권율은 갖은 방법을 동원하여 왜군과 맞서 치열한 싸움을 계속하였다. 마침내 왜군은 큰 피해를 입고 퇴각하였는데, 권율은 이를 추격하여 130여 명의 목을 베었으며 적장 우키타 히데이에(宇喜多秀家)·이시다 미쓰나리(石田三成)·깃카와 히로이에(吉川廣家) 등에게도 부상을 입혔다.[5]
임진왜란 3대첩 중 하나
이것이 유명한 임진왜란 3대첩의 하나인 행주대첩이다. 명(明) 제독 이여송(李如松)은 평양으로 회군하던 중 행주대첩의 소식을 듣고 벽제관에서 패하고 급히 회군한 것을 후회했다고 한다.
대첩이 있은 다음 권율은 병력을 이끌고 파주산성(坡州山城)으로 옮겨 도원수 김명원(金命元) 등과 본성을 지키면서 정세를 관망하였다.[6]
당시 부녀자들이 긴 치마를 잘라 짧게 만들어 입고 돌을 날라서, 석전(石戰)으로 적에게 큰 피해를 입혔기 때문에 '행주치마'라는 명칭이 생겼다는 이야기가 전해지지만 역사적 근거를 찾을 수는 없다.[7]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행주대첩 | 행주산성 | A는 B를 배경으로 한다 | A ekc:depicts B |
권율 | 행주대첩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조경 | 행주대첩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처영 | 행주대첩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우키타 히데이에 | 행주대첩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이시다 미쓰나리 | 행주대첩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깃카와 히로이에 | 행주대첩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변이중화차 | 행주대첩 | A는 B에 사용되었다 | A ekc:isUsedIn B |
변이중화차 | 변이중 | A는 B에 의해 제작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수차석포 | 행주대첩 | A는 B에 사용되었다 | A ekc:isUsedIn B |
권율 | 고양 충장사 | A는 B에 제향되었다 | A ekc:isEnshrinedIn B |
행주대첩비 | 행주대첩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공간정보
위도 | 경도 | 내용 |
---|---|---|
37.600134 | 126.824743 | 행주산성은 행주대첩이 발발한 곳이다 |
37.599162 | 126.825750 | 고양 충장사는 행주산성에 위치한다 |
37.599097 | 126.825966 | 행주대첩비는 행주산성에 위치한다 |
- 임진왜란 3대첩
시각자료
가상현실
주석
- ↑ "행주대첩",
『doopedia』online , 두산백과. - ↑ "행주대첩",
『doopedia』online , 두산백과. - ↑ 이장희, "행주대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행주산성전투", 문화원형 라이브러리
『문화콘텐츠닷컴』online , 한국콘텐츠진흥원. - ↑ "행주대첩",
『doopedia』online , 두산백과. - ↑ 이장희, "행주대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행주대첩",
『doopedia』online , 두산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