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한철"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잔글 (작품활동)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9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분류:역인초/지선문맥제안]]
+
{{인물정보
 +
|사진=
 +
|사진출처=
 +
|대표명칭= 이한철
 +
|한자표기= 李漢喆
 +
|영문명칭=
 +
|본관= 안산(安山)
 +
|이칭=
 +
|시호=
 +
|호= 송석(松石), 희원(喜園), 희원(希園)
 +
|자= 자상(子常)
 +
|생년= 1808년
 +
|몰년=
 +
|출생지=
 +
|사망지=
 +
|시대= 조선
 +
|국적=
 +
|대표저서=
 +
|대표직함= 
 +
|배우자=
 +
|부= 이의양(李義養)
 +
|모=
 +
|자녀=
 +
|전임자=
 +
|후임자=
 +
|상훈=
 +
|능묘=
 +
|성격=
 +
|유형=
 +
}}
 +
 
 +
=='''정의'''==
 +
조선 후기의 화가이다.
 +
 
 +
=='''내용'''==
 +
===가계===
 +
본관은 안산(安山)이고 자는 자상(子常)이며 호는 희원(希園, 喜園) 또는 송석(松石)이다. 화원(畵員)이었던 이의양(李義養)의 아들이다.<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6415 이한철]",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작품활동===
 +
 
 +
초상화에 뛰어나, 1846년 헌종어진도사(憲宗御眞圖寫)에 주관화사(主管畵師)로 참여하였다. 1852년에 철종어진도사에, 1861년에는 철종어진 원유관본도사(遠遊冠本圖寫)에, 그리고 1872년에는 고종어진도사에 참여하였다.<ref>"이한철", 문화원형 용어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콘텐츠닷컴』<sup>online</sup></online></html>, 한국콘텐츠진흥원, 2012. 온라인참조:"[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023578&cid=50826&categoryId=50826 이한철]", 문화원형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
[[김수철|김수철(金秀哲)]], [[전기|전기(田琦)]], [[유숙|유숙(劉淑)]], [[유재소|유재소(劉在韶)]], [[조중묵]], [[허유|허유(許維)]], 등과 함께 [[김정희|김정희(金正喜))]]의 그림지도를 받았다. [[김정희]]는 그의 그림을 평하여 “요즘 사람들은 구학(丘壑)의 형세에 전혀 힘을 쓰지 않는데, 이 그림에는 제법 재미있는 곳이 있다.”라고 하였다.<ref>"이한철", 문화원형 용어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콘텐츠닷컴』<sup>online</sup></online></html>, 한국콘텐츠진흥원, 2012. 온라인참조:"[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023578&cid=50826&categoryId=50826 이한철]", 문화원형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
산수·인물·화조·절지(折枝) 등 다방면에 뛰어난 작품을 남겼는데 [[의암관수도|의암관수도(倚巖觀水圖)]]는 그의 작품세계를 잘 보여주는 작품으로 손꼽힌다. 전형적인 남종화법(南宗畵法)과 [[김홍도|김홍도(金弘道)]]의 화풍을 따르고 있으며 부드럽고 투명한 필치와 묵법(墨法)의 강약·농담 등에서는 탁월한 재능을 엿볼 수 있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56515 이한철]",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이외에도 [[조인영 초상]], [[김정희 초상(흑단령본)]], [[이하응 초상(흑단령포본)]], [[이하응 초상(흑건청포본)]], [[이하응 초상(와룡관학창의본)]], [[이하응 초상(복건심의본)]], [[이하응 초상(금관조복본)]], [[정몽주 초상(반신상)]], [[이제현 초상(반신상)]] 등의 많은 초상화를 그렸다.
 +
 
 +
=='''지식 관계망'''==
 +
* '''김정희와 이광사 지식관계망'''
 +
<html>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E032/E032.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
 
 +
===관계정보===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김정희 초상(흑단령본)]] || [[이한철]]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
 +
|[[이하응 초상(흑단령포본)]] || [[이한철]]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
 +
|[[이하응 초상(흑건청포본)]] || [[이한철]]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
 +
|[[이하응 초상(와룡관학창의본)]] || [[이한철]]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
 +
|[[이하응 초상(금관조복본)]] || [[이한철]]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
 +
|[[정몽주 초상(반신상)]] || [[이한철]]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
 +
|[[이제현 초상(반신상)]] || [[이한철]]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
 +
|[[김정희]] || [[이한철]] || A는 B의 스승이다|| A ekc:hasDisciple B
 +
|-
 +
|[[허유]] || [[이한철]] || A는 B와 교유하였다|| A foaf:knows B
 +
|-
 +
|}
 +
 
 +
=='''시각자료'''==
 +
 
 +
=='''주석'''==
 +
<references/>
 +
 
 +
=='''참고문헌'''==
 +
===인용 및 참조===
 +
*웹 자원
 +
**"이한철", 문화원형 용어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콘텐츠닷컴』<sup>online</sup></online></html>, 한국콘텐츠진흥원, 2012. 온라인참조:"[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023578&cid=50826&categoryId=50826 이한철]", 문화원형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56515 이한철]",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
===더 읽을 거리===
 +
*웹자원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6415 이한철]",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https://ko.wikipedia.org/wiki/%EC%9D%B4%ED%95%9C%EC%B2%A0_(%ED%99%94%EA%B0%80) 이한철]",  <html><online style="color:purple">『위키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논문
 +
**최열, 「19세기 한국미술의 거장들8 이한철, 고전 관학파의 거장」, 『미술세계』 2000년 8월호(통권 189호), 미술세계, 2000, 116-120.
 +
 
 +
[[분류:역사인물초상화]]
 +
[[분류:역사인물초상화 문맥]]
 +
[[분류:역사인물초상화 문맥 인물]]
 +
[[분류:인물]]
 +
[[분류:교열완료]]

2018년 1월 14일 (일) 00:41 기준 최신판

이한철(李漢喆)
대표명칭 이한철
한자표기 李漢喆
생몰년 1808년-
본관 안산(安山)
송석(松石), 희원(喜園), 희원(希園)
자상(子常)
시대 조선
이의양(李義養)



정의

조선 후기의 화가이다.

내용

가계

본관은 안산(安山)이고 자는 자상(子常)이며 호는 희원(希園, 喜園) 또는 송석(松石)이다. 화원(畵員)이었던 이의양(李義養)의 아들이다.[1]

작품활동

초상화에 뛰어나, 1846년 헌종어진도사(憲宗御眞圖寫)에 주관화사(主管畵師)로 참여하였다. 1852년에 철종어진도사에, 1861년에는 철종어진 원유관본도사(遠遊冠本圖寫)에, 그리고 1872년에는 고종어진도사에 참여하였다.[2]

김수철(金秀哲), 전기(田琦), 유숙(劉淑), 유재소(劉在韶), 조중묵, 허유(許維), 등과 함께 김정희(金正喜))의 그림지도를 받았다. 김정희는 그의 그림을 평하여 “요즘 사람들은 구학(丘壑)의 형세에 전혀 힘을 쓰지 않는데, 이 그림에는 제법 재미있는 곳이 있다.”라고 하였다.[3]

산수·인물·화조·절지(折枝) 등 다방면에 뛰어난 작품을 남겼는데 의암관수도(倚巖觀水圖)는 그의 작품세계를 잘 보여주는 작품으로 손꼽힌다. 전형적인 남종화법(南宗畵法)과 김홍도(金弘道)의 화풍을 따르고 있으며 부드럽고 투명한 필치와 묵법(墨法)의 강약·농담 등에서는 탁월한 재능을 엿볼 수 있다.[4] 이외에도 조인영 초상, 김정희 초상(흑단령본), 이하응 초상(흑단령포본), 이하응 초상(흑건청포본), 이하응 초상(와룡관학창의본), 이하응 초상(복건심의본), 이하응 초상(금관조복본), 정몽주 초상(반신상), 이제현 초상(반신상) 등의 많은 초상화를 그렸다.

지식 관계망

  • 김정희와 이광사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김정희 초상(흑단령본) 이한철 A는 B가 그렸다 A dcterms:creator B
이하응 초상(흑단령포본) 이한철 A는 B가 그렸다 A dcterms:creator B
이하응 초상(흑건청포본) 이한철 A는 B가 그렸다 A dcterms:creator B
이하응 초상(와룡관학창의본) 이한철 A는 B가 그렸다 A dcterms:creator B
이하응 초상(금관조복본) 이한철 A는 B가 그렸다 A dcterms:creator B
정몽주 초상(반신상) 이한철 A는 B가 그렸다 A dcterms:creator B
이제현 초상(반신상) 이한철 A는 B가 그렸다 A dcterms:creator B
김정희 이한철 A는 B의 스승이다 A ekc:hasDisciple B
허유 이한철 A는 B와 교유하였다 A foaf:knows B

시각자료

주석

  1. "이한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이한철", 문화원형 용어사전, 『문화콘텐츠닷컴』online, 한국콘텐츠진흥원, 2012. 온라인참조:"이한철", 문화원형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3. "이한철", 문화원형 용어사전, 『문화콘텐츠닷컴』online, 한국콘텐츠진흥원, 2012. 온라인참조:"이한철", 문화원형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4. "이한철", 『두산백과』online.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웹 자원
    • "이한철", 문화원형 용어사전, 『문화콘텐츠닷컴』online, 한국콘텐츠진흥원, 2012. 온라인참조:"이한철", 문화원형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이한철", 『두산백과』online.

더 읽을 거리

  • 웹자원
    • "이한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이한철", 『위키백과』online.
  • 논문
    • 최열, 「19세기 한국미술의 거장들8 이한철, 고전 관학파의 거장」, 『미술세계』 2000년 8월호(통권 189호), 미술세계, 2000, 116-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