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인물초상화관 개관

이제현 초상(반신상)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이제현 초상(반신상)
"이제현초상", 아트, 『마이셀럽스』online.
한자명칭 李齊賢 肖像
작가 이한철
제작시기 19세기
소장처 청원 수락영당
문화재지정사항 보물 제1110-2호
유형 초상
크기(세로×가로) 93x49cm


정의

고려 후기의 문신, 학자인 이제현(1287∼1367)의 모습을 그린 초상.

내용

초상의 제작 및 보관

현재 이제현의 초상은 4본이 전해오고 있다. 국립중앙박물관과 전라남도 장성군 가산서원(佳山書院)에는 전신상으로 같은 양식의 본이 전해온다. 또 충청북도 청주시에 있는 수락영당(水洛影堂)에 1본 그리고 전라남도 강진군 구곡사(龜谷寺)에도 반신과 전신의 구별은 있으나 같은 양식의 본이 전해온다.
이 중 수락영당 소장의 <이제현 초상>은 반신상으로 이한철이 그렸다. 이제현 문집에 실린 판각본을 토대로 제작된 것으로 화면 상단에 이제현의 문집 『익재난고(益齋亂藁)』에 실려 있는 화상자찬이유원이 옮겨 써 넣었다. 자손에게 화상을 남겨 경계하는 내용이다.[1]
수락영당 소장의 <이제현 초상>은 이모본이기는 하나 최고의 초상화가였던 이한철이 그렸고 당대의 명필인 이유원의 글씨가 함께 있는 의미가 있는 작품이며 목각판본을 범본으로 정본 초상화를 그린 특이한 예의 작품으로도 주목된다.

초상에 묘사된 모습

<이제현 초상>은 우안칠분면의 복부까지 내려오는 반신상이다. 회색 심의를 입고 복건을 쓰고 있으며 얼굴은 젊은 모습이다. 전체적으로 선이 딱딱하고 투박하게 느껴져 목판본 초상화를 범본으로 삼았음을 느낄 수 있다. 얼굴에는 음영의 표현이 없는 보수적인 화법을 사용하여 원본의 특징과 시대성을 반영하였으나 옷 부분에는 윤곽선 주위에 담묵으로 칠하여 음영을 표현하면서 19세기의 양식을 어느 정도 드러내고 있다.[2]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이제현 초상(반신상) 초상 A는 B에 해당한다 A dcterms:type B
이제현 초상(반신상) 이제현 A는 B를 묘사하였다 A ekc:depicts B
이제현 초상(반신상) 이한철 A는 B가 그렸다 A dcterms:creator B
이제현 초상(반신상) 청원 수락영당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익재난고 이제현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A dcterms:creator B
익재난고 이제현 초상(반신상) 자찬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이제현 초상(반신상) 이제현 초상(반신상) 자찬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이제현 초상(반신상) 자찬 이제현 A는 B에 의해 지어졌다 A dcterms:creator B
이제현 초상(반신상) 자찬 이유원 A는 B가 글씨를 썼다 A ekc:calligrapher B
우안칠분면 이제현 초상(반신상)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심의 이제현 초상(반신상) A는 B에 나타난다 A ekc:isShownOn B
복건 이제현 초상(반신상) A는 B에 나타난다 A ekc:isShownOn B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6.6725803 127.6190893 이제현 초상(반신상)청원 수락영당에 소장되어 있다.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1. 李齊賢, 「益齋眞自贊」, 『益齋亂藁』 卷第九 下.
  2. 박은순, 「19세기 문인 초상화의 도상과 양식」, 『강좌 미술사』24호, 한국불교미술사학회, 2005, 161쪽.
  3. "이제현초상", 아트, 『마이셀럽스』online.

참고문헌

더 읽을거리

  1. 전시도록
    • 국립중앙박물관, 『초상화의 비밀』, 국립중앙박물관, 2011
  2. 단행본
    • 조선미, 『한국초상화 연구』, 열화당, 1983
    • 조선미, 『한국의 초상화, 形과 影의 예술』, 돌베게, 2009, 189쪽.
  3. 논문
    • 윤경란, 『李漢喆 繪畵의 硏究』,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6.
    • 최희정, 『李漢喆 繪畵의 硏究』, 동국대학교 대학원 미술사학과 석사학위논문,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