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위 인각사 보각국사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후면) |
|||
(사용자 4명의 중간 판 5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49번째 줄: | 49번째 줄: | ||
=='''지식관계망'''== | =='''지식관계망'''== | ||
− | " | + | *'''군위 인각사 보각국사비 지식관계망''' |
+ | <html> | ||
+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
+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
+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s://dh.aks.ac.kr/Encyves/Graph/D004/stele_bogak_gunwi.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 | </html> | ||
− | === | + | ===관계정보===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66번째 줄: | 71번째 줄: | ||
=='''시각자료'''== | =='''시각자료'''== | ||
+ | ===가상현실=== | ||
+ | <html> | ||
+ | <iframe width="100%" height="600" src="https://dh.aks.ac.kr/Encyves/Pavilions/D004/ingaksa.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 | </html><br/> | ||
+ | {{clickable button|[https://dh.aks.ac.kr/Encyves/Pavilions/D004/ingaksa.htm 가상 현실 - 전체 화면 보기]}} | ||
===갤러리=== | ===갤러리=== | ||
93번째 줄: | 103번째 줄: | ||
{{승탑비문 Top icon}} | {{승탑비문 Top icon}} | ||
− |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분류:탑비 | + |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분류:탑비]] |
2024년 4월 12일 (금) 00:40 기준 최신판
군위 인각사 보각국사비 (軍威 麟角寺 普覺國師碑) |
|
대표명칭 | 군위 인각사 보각국사비 |
---|---|
영문명칭 | Stele for State Preceptor Bogak at Ingaksa Temple, Gunwi |
한자 | 軍威 麟角寺 普覺國師碑 |
주소 | 경상북도 청도군 운문면 운문사길 264 |
문화재 지정번호 | 보물 제316호 |
문화재 지정일 | 1963년 1월 21일 |
찬자 | 민지(閔漬) |
각자 | 죽허(竹虛) |
서체 | 해서(楷書) |
승려 | 일연(一然) |
건립연대 | 1295년 |
승탑 | 군위 인각사 보각국사탑 |
|
목차
정의
경상북도 군위군 고로면 인각사(麟角寺)에 있는 고려시대의 승려 보각국사 일연(普覺國師 一然, 1206-1289)의 탑비.
내용
개요
이 탑비는 1295년(충렬왕 21) 일연(一然)의 제자인 법진(法珍)에 의하여 세워졌다. 당시의 문장가인 민지(閔漬)가 왕명을 받들어 지은 비문이며, 글씨는 죽허(竹虛)가 진나라까지 가서 왕희지(王羲之)의 글씨를 집자(集字)[1]하여 만들었다. 점판암 소재로 지금은 형체가 많이 훼손되었으나, 비문은 오대산 월정사(月精寺) 등 여러 곳에 사본이 남아있어 알 수 있다.[2]
1963년 일연의 사리탑과 함께 보물 제316호 '군위 인각사 보각국사탑 및 비 (軍威 麟角寺 普覺國師塔 및 碑)'로 지정되었다.[3]
비문
전면
전면에는 일연(一然)의 생애가 기술되어 있다. 일연은 경주에서 태어나 해양(海陽: 지금의 전라도 광주) 무량사(無量寺)로 출가하여 진전사(陳田寺)에서 구족계(具足戒)를 받았으며,[4] 1227년(고종 14) 승과(僧科)에 급제하였다.[5] 포산(苞山)[6]에서 수행하던 중 1236년(고종 23) 몽고 침공을 맞아 은거하였고, 이후 선월사(禪月寺), 오어사(吾魚寺), 인홍사(仁興寺) 등에서 주석하였다.[7] 1277년(충렬왕 3) 운문사(雲門寺)의 주지가 되었으며, 1283년 국존(國尊)으로 추대되고, 1284년 군위에 인각사(麟角寺)를 중건하였다.[8]
원 간섭기에 국사(國師)라 칭하지 못하고 국존(國尊)이라 한다고 하였으나 실제 비 제액(題額)에서는 보각국사(普覺國師)라고 하는 등 칭호의 문제를 살필 수 있고, 입적하기 전에 제자들과 문답한 내용이 상세하며 『삼국유사(三國遺事)』를 비롯하여 백 여권의 저술을 나열한 것도 특이하다.[9]
후면
음기(陰記)[10]는 문인 산립(山立)이 지었는데 일연(一然)의 탑비를 세운 경위, 다비(茶毘)[11]할 때의 영험담, 일연 문도(門徒)와 단월(檀越)[12]에 대한 기록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 중 문도를 수록한 인명 기록에서는 제자를 법계에 따라 대선사(大禪師), 선사(禪師), 산림(山林), 삼중(三重) 순으로 열거하고 있다. 이를 통해 당시 일연이 불교계에서 사상적 영향력이 컸으며, 다양한 선승들이 그의 문하로 몰려왔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단월은 고위관료를 중심으로 기록되어있으나, 일연과의 관계에 대해서는 명확히 드러난 경우가 많지 않다.[13]
비의 파손
비가 파손된 경위는 정확히 알 수 없으나 남아있는 기록을 통해 추정해볼 수 있다. 『동계집(東溪集)』에는 당시 수작으로 꼽히던 왕희지(王羲之)의 글씨를 얻기 위해 수많은 탁본이 제작되는 과정에서 훼손되었다는 기록이 있으며, 임진왜란 때 절이 불타면서 파손되었다고 전한다.[14][15] 19세기 말에는 일연(一然)의 부도자리에 조부묘를 쓰고자 하였던 황보씨(皇甫氏) 일족이 승려들에게 저지당하자 절의 전각과 비석을 파괴하였다고 한다.[16] 현재 남아있는 비에서 읽어낼 수 있는 글자는 비 전면의 하단 우측 일부와 후면의 상단 우측 일부에 180여자 정도이다.[17]
비문 보러가기 |
• 조명제, 『한국금석문집성 25: 고려9 비문9』, 한국국학진흥원, 2014. 온라인 참조: "한국금석문집성 25: 고려9 비문9", |
• "인각사보각국사비", 금석문세부정보, |
지식관계망
- 군위 인각사 보각국사비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군위 인각사 보각국사비 | 일연 | A는 B를 위한 비이다 | A ekc:isSteleOf B |
군위 인각사 보각국사비 | 민지 |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 A ekc:writer B |
군위 인각사 보각국사비 | 죽허 | A는 B가 비문을 새겼다 | A ekc:inscriber B |
군위 인각사 보각국사비 | 군위 인각사 | A는 B에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주석
- ↑ 문헌에서 필요한 글자를 찾아 모음
- ↑ 국내관광진흥팀, "인각사", 구석구석여행지찾기,
『대한민국 구석구석』online , 한국관광공사. - ↑ "군위 인각사 보각국사탑 및 비",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 문화재청. - ↑ 조명제, 『한국금석문집성 25: 고려9 비문9』, 한국국학진흥원, 2014, 16-17쪽. 온라인 참조: "한국금석문집성 25: 고려9 비문9",
『KRpia - 한국의 지식콘텐츠』online , 누리미디어. - ↑ "일연",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 경상북도 청도군 비슬산의 옛 이름이다. "비슬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인각사보각국사비", 금석문세부정보,
『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online , 국립문화재연구소. - ↑ "일연",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 "인각사보각국사비", 금석문세부정보,
『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online , 국립문화재연구소. - ↑ 비석의 뒷면에 새긴 글
- ↑ 불에 태운다는 뜻으로, 시체를 화장(火葬)하는 일을 이르는 말
- ↑ 사찰이나 승려에게 물건을 베푸는 불교신자. "단월",
『두산백과』online . - ↑ 조명제, 『한국금석문집성 25: 고려9 비문9』, 한국국학진흥원, 2014, 6-7쪽. 온라인 참조: "한국금석문집성 25: 고려9 비문9",
『KRpia - 한국의 지식콘텐츠』online , 누리미디어. - ↑ "인각사보각국사비", 금석문세부정보,
『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online , 국립문화재연구소. - ↑ 임진왜란 때 이미 손상되었는데 그 사실을 몰랐는지 명에서는 사신을 통해 계속해서 비의 인본을 청했다고 한다. 진홍섭, 『묵재한화:한국미술사 외사』, 대원사, 2011. 온라인 참조: "인각사 보조국사 정조탑비", 묵재한화:한국미술사 외사,
『KRpia - 한국의 지식콘텐츠』online , 누리미디어. - ↑ 조명제, 『한국금석문집성 25: 고려9 비문9』, 한국국학진흥원, 2014, 5쪽. 온라인 참조: "한국금석문집성 25: 고려9 비문9",
『KRpia - 한국의 지식콘텐츠』online , 누리미디어. - ↑ 정병삼, 「일연선사비의 복원과 고려 승려 비문의 문도 구성」, 한국사연구 133, 한국사연구회, 2006, 36쪽.
참고문헌
- 정병삼, 「일연선사비의 복원과 고려 승려 비문의 문도 구성」, 한국사연구회, 한국사연구 133, 2006, 33-70쪽.
- 조명제, 『한국금석문집성 25: 고려9 비문9』, 한국국학진흥원, 2014. 온라인 참조: "한국금석문집성 25: 고려9 비문9",
『KRpia - 한국의 지식콘텐츠』online , 누리미디어. - 이지관, "군위 인각사 보각국존 정조탑비문",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권5 고려편4, 가산불교문화연구원, 1997, 189-282쪽.
- "인각사보각국사비", 금석문세부정보,
『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online , 국립문화재연구소. - 국내관광진흥팀, "인각사", 구석구석여행지찾기
『대한민국 구석구석』online , 한국관광공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