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인물초상화관 개관

"고종 어진(국립중앙박물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틀:역사인물초상화 Top icon}} {{역사인물초상화 |사진= 역사인물초상화_초상_고종 어진(국립중앙박물관).jpg |사진출처= |대표명칭= 고종 어...)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2번째 줄: 2번째 줄:
 
{{역사인물초상화
 
{{역사인물초상화
 
|사진= 역사인물초상화_초상_고종 어진(국립중앙박물관).jpg
 
|사진= 역사인물초상화_초상_고종 어진(국립중앙박물관).jpg
|사진출처=
+
|사진출처= 국립중앙박물관, "[http://www.emuseum.go.kr/detail?relicId=PS0100100100900259000000 고종 어진]", 소장품 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e뮤지엄』<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체육관광부.
 
|대표명칭= 고종 어진(국립중앙박물관)
 
|대표명칭= 고종 어진(국립중앙박물관)
 
|한자명칭= 高宗 御眞
 
|한자명칭= 高宗 御眞
30번째 줄: 30번째 줄:
  
 
=='''지식 관계망'''==
 
=='''지식 관계망'''==
 +
<html>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E030/E030.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
 
===관계정보===
 
===관계정보===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71번째 줄: 77번째 줄:
  
 
=='''시각자료'''==
 
=='''시각자료'''==
 +
===갤러리===
 +
<gallery>
 +
파일:역사인물초상화_초상_고종 어진(국립중앙박물관).jpg|[[고종 어진(국립중앙박물관)]]<ref>국립중앙박물관, "[http://www.emuseum.go.kr/detail?relicId=PS0100100100900259000000 고종 어진]", 소장품 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e뮤지엄』<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체육관광부.</ref>
 +
</gallery>
  
 
=='''주석'''==
 
=='''주석'''==
83번째 줄: 93번째 줄:
  
 
[[분류:역사인물초상화]][[분류:초상화]][[분류:문헌]][[분류:문화유산]]
 
[[분류:역사인물초상화]][[분류:초상화]][[분류:문헌]][[분류:문화유산]]
[[분류:역인초/검토요청]]
 

2017년 11월 24일 (금) 00:56 기준 최신판


고종 어진(국립중앙박물관)
국립중앙박물관, "고종 어진", 소장품 검색, 『e뮤지엄』online, 문화체육관광부.
한자명칭 高宗 御眞
작가 채용신
소장처 국립중앙박물관
유형 어진
크기(세로×가로) 180.0x104.0cm(전체), 117.8x68.2cm(그림)


정의

대한제국 고종황제(재위 1863∼1907)곤룡포 차림을 그린 어진.

내용

어진의 제작 및 보관

<고종 어진>은 이홍근국립중앙박물관에 기증하였다. 조선 말기에서 일제강점기에 활동한 최고의 초상화가 채용신의 작품으로 전하는데, 화면을 가득 채워 인물을 그리고 정면관을 취한 점, 두 손을 무릎에 올린 자세, 사진을 보는 것 같은 사실적인 얼굴 묘사는 채용신 초상화의 특징이다.
이 어진은 크기나 기법 등으로 보아 궁중에서 제작된 것으로 보이지는 않는다. 어진을 그린 것으로 보이는 채용신은 뛰어난 그림 솜씨가 알려저 1900년에 숙종, 영조, 정조, 순조, 익종, 헌종 어진을 모사하고 1901년 4월에는 고종어진을 도사하였다. 이 때 고종 어진의 초본을 궁 밖으로 가지고 나왔던 것으로 보이며 이 초본을 가지고서 고종 어진을 여러 번 모사했다. 이러한 예로 국립중앙박물관 소장의 이 <고종 어진>과 원광대학교 박물관 소장의 일월오봉병 배경의 고종 어진 등이 있다.[1]
채용신은 여러 목적에서 고종 어진을 반복해서 모사하였다. 이것은 어진에 대한 개념 변화를 보여주는 사실로서, 일정한 예를 갖추어 도사되고 봉안되었던 어진이 이 시기에는 다수의 사람이 국왕을 경모하는 마음에서 두고 볼 수 있는 대상으로 바뀌었음을 의미한다.[2]
이 <고종 어진>은 어진에 대한 개념의 변화를 보여주는 작품이면서 형식적으로는 이제까지 공수자세를 취해 소매 바깥으로 나온 적 없던 왕의 손이 실감나게 묘사된 작품이며, 아울러 호패가 등장한 점, 황제를 표상하는 황색 용포를 입은 점이 중요한 의미를 갖는 작품이다.[3]

어진에 묘사된 모습

<고종황제 어진>은 황색의 곤룡포를 입고 익선관을 쓴 채 정면을 향하고 앉아 있는 전신상이다. 표제가 없지만 40세 상임을 명시한 다른 어진들과 전체적인 형식이 유사하여 같은 초본으로 그려진 것으로 보인다. 원광대학교 박물관 소장본과 구도와, 복식, 생김새가 거의 유사하나 안명과 용포의 표현이 훨씬 부드럽고 자연스럽다. 매 바깥으로 나온 손, 가슴 위로 올려진 옥대, 황색의 용포들은 이전 시대 어진과 구별되는 특징으로 당시의 시대상을 반영한다.
얼굴은 정면관으로 두 귀가 다소 앞 쪽으로 향해 있고 귓불은 두툼하게 그려졌다. 눈썹은 숱이 적으며, 속눈섭이 표현되었다. 눈은 갈색조의 눈동자에 검은 색으로 윤곽을 그렸다. 얼굴은 둥글고 살이 있는 형태로 그 양감을 충분히 살렸다.
고종의 얼굴은 살집이 있지만 이목구비가 반듯하고 온후한 인상이다.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고종 어진(국립중앙박물관) 어진 A는 B에 해당한다 A dcterms:type B
고종 어진(국립중앙박물관) 조선 고종 A는 B를 묘사하였다 A ekc:depicts B
고종 어진(국립중앙박물관) 채용신 A는 B가 그렸다 A dcterms:creator B
고종 어진(국립중앙박물관) 국립중앙박물관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고종 어진(국립중앙박물관) 이홍근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고종 어진(국립중앙박물관) 고종 어진(원광대학교 박물관)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곤룡포 고종 어진(국립중앙박물관) A는 B에 나타난다 A ekc:isShownOn B
호패 고종 어진(국립중앙박물관) A는 B에 나타난다 A ekc:isShownOn B
익선관 고종 어진(국립중앙박물관) A는 B에 나타난다 A ekc:isShownOn B
옥대 고종 어진(국립중앙박물관) A는 B에 나타난다 A ekc:isShownOn B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7.5238510 126.9804700 고종 어진(국립중앙박물관)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1. 국립중앙박물관, 『조선시대 초상화 II』 국립중앙박물관, 2008, 251쪽.
  2. 국립고궁박물관, 『조선 왕실의 어진과 진전』, 국립고궁박물관, 2015, 81쪽.
  3. 조선미, 『한국의 초상화, 形과 影의 예술』, 돌베게, 2009, 107쪽.
  4. 국립중앙박물관, "고종 어진", 소장품 검색, 『e뮤지엄』online, 문화체육관광부.

참고문헌

더 읽을거리

  1. 단행본
    • 조선미, 『왕의 얼굴』, 사회평론, 2012.
  2. 전시도록
    • 국립중앙박물관, 『초상화의 비밀』, 국립중앙박물관,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