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중기록화관 개관

"황제의 상복"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일러스트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다른 사용자 한 명의 중간 판 6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궁중기록화관 Top icon}}
 
{{궁중기록화관 Top icon}}
 
{{복장정보
 
{{복장정보
|사진=  
+
|사진= 궁중기록화 복장 황제의 상복 김아람.png
|사진출처= 궁중기록화팀.
+
|사진출처=  
 
|대표명칭= 황제의 상복
 
|대표명칭= 황제의 상복
 
|한자표기= 皇帝의 常服
 
|한자표기= 皇帝의 常服
12번째 줄: 12번째 줄:
  
 
=='''정의'''==
 
=='''정의'''==
[[황제]]가 평상시 집무를 볼 때 [[익선관 | 익선관(翼善冠)]]과 함께 착용하는 복식 일습이다.<ref>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74쪽.</ref>
+
대한제국 [[황제]]가 평상시 집무를 볼 때 [[익선관|익선관(翼善冠)]]과 함께 착용하는 복식 일습이다.<ref>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74쪽.</ref>
  
 
=='''내용'''==
 
=='''내용'''==
평상시 집무를 볼 때 착용하는 [[곤룡포 | 곤룡포(袞龍袍))]]는 둥글게 말려 있는[袞]용을 표현한 [[보(왕실남성) | 보(補)]]가 달려 있는 포(袍)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ref>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74쪽.</ref>입는 사람의 지위에 따라 [[보(왕실남성)|보]]에 수놓아진 용의 발톱 수가 다른데, [[황제]]의 [[곤룡포]]는 [[왕]]과 함께 발톱이 5개이며, 색은 [[황제]]의 색인 황색이다.<ref>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74쪽.</ref>
+
평상시 집무를 볼 때 착용하는 [[곤룡포 |곤룡포(袞龍袍)]]는 '둥글게 말려 있는[袞] 용을 표현한 [[보(왕실남성)|보(補)]]가 달려 있는 포(袍)'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ref>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74쪽.</ref> 입는 사람의 지위에 따라 [[보(왕실남성)|보]]에 수놓아진 용의 발톱 수가 다른데, [[황제]]의 [[곤룡포]]는 [[왕]]과 마찬가지로 발톱이 5개이며, 색은 [[황제]]의 색인 황색이다.<ref>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74쪽.</ref>
  
 
===복식 구성===
 
===복식 구성===
[[곤룡포 | 곤룡포(袞龍袍))]], [[익선관 | 익선관(翼善冠)]], [[옥대(왕실남성) | 옥대(玉帶)]], [[목화 | 목화(木靴)]]
+
[[곤룡포|곤룡포(袞龍袍)]], [[익선관|익선관(翼善冠)]], [[옥대(왕실남성)|옥대(玉帶)]], [[|()]]
  
 
=='''지식 관계망'''==
 
=='''지식 관계망'''==
39번째 줄: 39번째 줄:
 
| 황제의 상복 || [[곤룡포]]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 황제의 상복 || [[곤룡포]]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
 
|-
| 황제의 상복 || [[옥대(왕실남성)]]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
| 황제의 상복 || [[옥대(왕실남성)|옥대]]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
 
|-
| 황제의 상복 || [[목화]]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
| 황제의 상복 || [[]]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  
 
|-  
 
| 황제의 상복 || [[상의원]] || A는 B에 의해 제작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황제의 상복 || [[상의원]] || A는 B에 의해 제작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72번째 줄: 72번째 줄:
 
* 이민주, 『용을 그리고 봉황을 수놓다』,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4.
 
* 이민주, 『용을 그리고 봉황을 수놓다』,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4.
 
* 정희정, 「조선시대 왕세자 입학례 절차와 복식 연구」,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6.
 
* 정희정, 「조선시대 왕세자 입학례 절차와 복식 연구」,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6.
* 최연주, 「선시대 袞龍袍의 着用例 硏究」,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
* 최연주, 「조선시대 袞龍袍의 着用例 硏究」,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 홍나영ㆍ신혜성ㆍ이은진 지음, 『동아시아 복식의 역사』, 교문사, 2011.
 
* 홍나영ㆍ신혜성ㆍ이은진 지음, 『동아시아 복식의 역사』, 교문사, 2011.
  

2020년 11월 16일 (월) 15:48 기준 최신판


황제의 상복
(皇帝의 常服)
궁중기록화 복장 황제의 상복 김아람.png
대표명칭 황제의 상복
한자표기 皇帝의 常服
분류 상복
착용신분 황제
착용성별 남성



정의

대한제국 황제가 평상시 집무를 볼 때 익선관(翼善冠)과 함께 착용하는 복식 일습이다.[1]

내용

평상시 집무를 볼 때 착용하는 곤룡포(袞龍袍)는 '둥글게 말려 있는[袞] 용을 표현한 보(補)가 달려 있는 포(袍)'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2] 입는 사람의 지위에 따라 에 수놓아진 용의 발톱 수가 다른데, 황제곤룡포과 마찬가지로 발톱이 5개이며, 색은 황제의 색인 황색이다.[3]

복식 구성

곤룡포(袞龍袍), 익선관(翼善冠), 옥대(玉帶), 화(靴)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황제 황제의 상복 A는 B를 착용하였다 A ekc:wears B
황제의 상복 의궤 A는 B에 기록되어 있다 A ekc:mentions B
황제의 상복 익선관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황제의 상복 곤룡포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황제의 상복 옥대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황제의 상복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황제의 상복 상의원 A는 B에 의해 제작되었다 A dcterms:creator B

시간정보

공간정보

시각자료

갤러리

영상

주석

  1.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74쪽.
  2.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74쪽.
  3.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74쪽.
  4. 국립고궁박물관(http://www.gogung.go.kr/) 소장.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고광림, 「遠遊冠 絳紗袍에 關한 硏究」, 논문집, 인천교육대학교, 1976.
  • 국립고궁박물관(엮음), 『대한제국 잊혀진 100년 전의 황제국』, 민속원, 2011.
  •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 단국대학교 석주선 기념박물관, 『名選-中』, 단국대학교출판부, 2004.
  • 류희경, 『우리옷 이천년』, 미술문화, 2001.
  • 문화재청, 『문화재대관2-복식, 자수편』, 문화재청, 2006.
  • 석주선, 『한국복식사』, 보진재, 1971.
  • 신병주·박례경·송지원·이은주, 『왕실의 혼례식 풍경』, 돌베개, 2013.
  • 이민주, 『용을 그리고 봉황을 수놓다』,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4.
  • 정희정, 「조선시대 왕세자 입학례 절차와 복식 연구」,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6.
  • 최연주, 「조선시대 袞龍袍의 着用例 硏究」,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 홍나영ㆍ신혜성ㆍ이은진 지음, 『동아시아 복식의 역사』, 교문사, 2011.

일러스트 참고문헌

  • 난사 전통복식문화재 연구소, 『어진에 옷을 입히다』, 민속원, 2016.
  •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 이민주, 『용을 그리고 봉황을 수놓다』,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