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보"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갤러리) |
(→내용)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4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8번째 줄: | 18번째 줄: | ||
=='''정의'''== | =='''정의'''== | ||
− | [[국장]]에서 사용된 시호를 새긴 도장이다. | + | 조선시대 [[국장]]에서 사용된 시호를 새긴 도장이다. |
=='''내용'''== | =='''내용'''== | ||
− | 선왕이나 왕비가 승하하면 시호(諡號)를 정하여 올리고 이를 금이나 | + | 선왕이나 왕비가 승하하면 시호(諡號)를 정하여 올리고 이를 금이나 옥으로 만든 도장에 새겼다.<br/> |
− | 왕·왕비·왕대비·대왕대비의 도장은 보(寶)라고 높여 부르고, 왕세자·왕세자빈·왕세제·왕세제빈·왕세손·왕세손빈 등의 도장은 인(印)이라고 불렀다. | + | 왕·왕비·왕대비·대왕대비의 도장은 보(寶)라고 높여 부르고, 왕세자·왕세자빈·왕세제·왕세제빈·왕세손·왕세손빈 등의 도장은 인(印)이라고 불렀다.<br/> |
− | 보는 상자에 3중으로 담겨 보관되었다. 가장 안쪽 상자를 [[보통|보통(寶筒)]], 보통을 담는 상자를 [[보록|보록(寶盝)]], 그리고 마지막 바깥 상자를 [[호갑|호갑(護匣)]]이라고 하였다. | + | 보는 상자에 3중으로 담겨 보관되었다. 가장 안쪽 상자를 [[보통|보통(寶筒)]], 보통을 담는 상자를 [[보록|보록(寶盝)]], 그리고 마지막 바깥 상자를 [[호갑|호갑(護匣)]]이라고 하였다. |
=='''지식 관계망'''== | =='''지식 관계망'''== | ||
51번째 줄: | 51번째 줄: | ||
|- | |- | ||
| 시보(諡寶) || [[순조국장도감의궤|『순조국장도감의궤(純祖國葬都監儀軌)』]] || B는 A에 그려져 있다 || B ekc:isDepictedIn A | | 시보(諡寶) || [[순조국장도감의궤|『순조국장도감의궤(純祖國葬都監儀軌)』]] || B는 A에 그려져 있다 || B ekc:isDepictedIn A | ||
− | |||
− | |||
− | |||
− | |||
|} | |} | ||
67번째 줄: | 63번째 줄: | ||
파일:궁중기록화_물품_시보_경종국장도감의궤하_중박.jpg|[[조선 경종]]의 시보<ref>『경종국장도감의궤하(景宗國葬都監儀軌下)』</ref> | 파일:궁중기록화_물품_시보_경종국장도감의궤하_중박.jpg|[[조선 경종]]의 시보<ref>『경종국장도감의궤하(景宗國葬都監儀軌下)』</ref> | ||
파일:궁중기록화_물품_시보_선의왕후국장도감의궤하_중박.jpg|[[선의왕후]]의 시보<ref>『선의왕후국장도감의궤하(宣懿王后國葬都監儀軌下)』</ref> | 파일:궁중기록화_물품_시보_선의왕후국장도감의궤하_중박.jpg|[[선의왕후]]의 시보<ref>『선의왕후국장도감의궤하(宣懿王后國葬都監儀軌下)』</ref> | ||
− | |||
− | |||
</gallery> | </gallery> | ||
83번째 줄: | 77번째 줄: | ||
* 이현진, 『왕의 죽음, 정조의 국장』, 글항아리, 2015. | * 이현진, 『왕의 죽음, 정조의 국장』, 글항아리, 2015. | ||
* 이현진, 『조선왕실의 상장례』, 신구문화사, 2017. | * 이현진, 『조선왕실의 상장례』, 신구문화사, 2017. | ||
− | |||
− | |||
[[분류:궁중기록화]] | [[분류:궁중기록화]] | ||
[[분류:물품]] | [[분류:물품]] |
2017년 10월 27일 (금) 23:51 기준 최신판
시보(諡寶) | |
대표명칭 | 시보 |
---|---|
한자표기 | 諡寶 |
유형 | 의례 물품 |
시대 | 조선 |
용도 | 흉례(凶禮)-상례(喪禮)에 사용 |
정의
조선시대 국장에서 사용된 시호를 새긴 도장이다.
내용
선왕이나 왕비가 승하하면 시호(諡號)를 정하여 올리고 이를 금이나 옥으로 만든 도장에 새겼다.
왕·왕비·왕대비·대왕대비의 도장은 보(寶)라고 높여 부르고, 왕세자·왕세자빈·왕세제·왕세제빈·왕세손·왕세손빈 등의 도장은 인(印)이라고 불렀다.
보는 상자에 3중으로 담겨 보관되었다. 가장 안쪽 상자를 보통(寶筒), 보통을 담는 상자를 보록(寶盝), 그리고 마지막 바깥 상자를 호갑(護匣)이라고 하였다.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보통(寶筒) | 시보(諡寶) | A는 B를 담는다 | A ekc:goesWith B |
보록(寶盝) | 보통(寶筒) | A는 B를 담는다 | A ekc:goesWith B |
호갑(護匣) | 보록(寶盝) | A는 B를 담는다 | A ekc:goesWith B |
시보(諡寶) | 시책(諡冊) | A는 B와 같이 사용되었다 | A ekc:goesWith B |
시보(諡寶) | 『숙종국장도감의궤(肅宗國葬都監儀軌)』 | B는 A에 그려져 있다 | B ekc:isDepictedIn A |
시보(諡寶) | 『인현왕후국장도감의궤(仁顯王后國葬都監儀軌)』 | B는 A에 그려져 있다 | B ekc:isDepictedIn A |
시보(諡寶) | 『경종국장도감의궤(景宗國葬都監儀軌)』 | B는 A에 그려져 있다 | B ekc:isDepictedIn A |
시보(諡寶) | 『선의왕후국장도감의궤(宣懿王后國葬都監儀軌)』 | B는 A에 그려져 있다 | B ekc:isDepictedIn A |
시보(諡寶) | 『정조국장도감의궤(正祖國葬都監儀軌)』 | B는 A에 그려져 있다 | B ekc:isDepictedIn A |
시보(諡寶) | 『효의왕후국장도감의궤(孝懿王后國葬都監儀軌)』 | B는 A에 그려져 있다 | B ekc:isDepictedIn A |
시보(諡寶) | 『순조국장도감의궤(純祖國葬都監儀軌)』 | B는 A에 그려져 있다 | B ekc:isDepictedIn A |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 ↑ 『순조국장도감의궤삼(純祖國葬都監儀軌三)』
- ↑ 『정조국장도감의궤(正祖國葬都監儀軌)』
- ↑ 『효의왕후국장도감의궤삼(孝懿王后國葬都監儀軌三)』
- ↑ 『숙종국장도감의궤하(肅宗國葬都監儀軌下)』
- ↑ 『인현왕후국장도감의궤하(仁顯王后國葬都監儀軌下)』
- ↑ 『경종국장도감의궤하(景宗國葬都監儀軌下)』
- ↑ 『선의왕후국장도감의궤하(宣懿王后國葬都監儀軌下)』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더 읽을거리
- 이현진, 「정조 초 영조의 국장 절차와 의미」, 『태동고전연구』제27호,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2011.
- 이현진, 『왕의 죽음, 정조의 국장』, 글항아리, 2015.
- 이현진, 『조선왕실의 상장례』, 신구문화사,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