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호"의 두 판 사이의 차이
(→더 읽을거리) |
|||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7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틀:역사인물초상화 Top icon}} | ||
{{인물정보 | {{인물정보 | ||
|사진=한글팀 한호 서체.JPG | |사진=한글팀 한호 서체.JPG | ||
14번째 줄: | 15번째 줄: | ||
|출생지= | |출생지= | ||
|사망지= | |사망지= | ||
− | |시대= | + | |시대= 조선 |
|국적= | |국적= | ||
|대표저서=석봉천자문<br/>한석봉증류여장서첩 | |대표저서=석봉천자문<br/>한석봉증류여장서첩 | ||
20번째 줄: | 21번째 줄: | ||
|배우자= | |배우자= | ||
|부=한언공 | |부=한언공 | ||
− | |모= | + | |모=한언공 처 홍주 백씨 |
|자녀= | |자녀= | ||
|전임자= | |전임자= | ||
37번째 줄: | 38번째 줄: | ||
[[한호]]가 절에서 글씨공부를 하던 도중에 집으로 오자, 그의 어머니가 불을 끄고 자신이 떡을 썰테니 [[한호]]에게는 글을 쓰라고 했다고 한다. 어머니는 떡을 정갈하게 썰었는데에 반해 [[한호]]는 삐뚤빼뚤 글을 써 자신의 실력이 부족한 것을 깨닫고 다시 돌아갔다고 한다. 이 설화는 조선시대 문헌에는 나오지 않으며 그의 고향인 송도(개성) 일대에서 구전된 이야기이다. <ref>이완우, 「석봉 한호」, 『미술사논단』12, 한국미술연구소, 2001, 299쪽.</ref> | [[한호]]가 절에서 글씨공부를 하던 도중에 집으로 오자, 그의 어머니가 불을 끄고 자신이 떡을 썰테니 [[한호]]에게는 글을 쓰라고 했다고 한다. 어머니는 떡을 정갈하게 썰었는데에 반해 [[한호]]는 삐뚤빼뚤 글을 써 자신의 실력이 부족한 것을 깨닫고 다시 돌아갔다고 한다. 이 설화는 조선시대 문헌에는 나오지 않으며 그의 고향인 송도(개성) 일대에서 구전된 이야기이다. <ref>이완우, 「석봉 한호」, 『미술사논단』12, 한국미술연구소, 2001, 299쪽.</ref> | ||
===[[한호]]의 생애=== | ===[[한호]]의 생애=== | ||
− | 한호는 아버지와 친분이 있던 [[서경덕]]의 소개로 [[신희남]]의 문하에서 공부하였다.<ref>정성경, | + | 한호는 아버지와 친분이 있던 [[서경덕]]의 소개로 [[신희남]]의 문하에서 공부하였다.<ref>정성경, "[http://yeongam.grandculture.net/Contents?local=yeongam&dataType=01&contents_id=GC04401828 죽림 정사에서 한석봉을 길러 낸 어머니]" <html><online style="color:purple">,『향토문화전자대전 영암향토문화백과』<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25살(1567년)에 진사시에 합격하였다. 글씨로 출세하여 사자관으로서 국가의 여러문서와 명나라에 보내는 외교문서를 도맡아 썼다. <ref>김응현,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2065 한호]」<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이 때 중국에서 명필로 알려지게 되었고 [[왕세정]], [[주지번]] 등이 [[한호]]의 글씨를 크게 칭찬하였다. [[조선 선조]]는 그에게 왕실교육용 [[천자문 (장서각본)|천자문]]을 제작하라는 명을 내리기도 했다. <ref>김범, | + | 25살(1567년)에 진사시에 합격하였다. 글씨로 출세하여 사자관으로서 국가의 여러문서와 명나라에 보내는 외교문서를 도맡아 썼다. <ref>김응현,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2065 한호]」<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이 때 중국에서 명필로 알려지게 되었고 [[왕세정]], [[주지번]] 등이 [[한호]]의 글씨를 크게 칭찬하였다. [[조선 선조]]는 그에게 왕실교육용 [[천자문 (장서각본)|천자문]]을 제작하라는 명을 내리기도 했다. <ref>김범,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573623&cid=59015&categoryId=59015 한호]",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캐스트 인물한국사』<sup>online</sup></online></html>.</ref> |
===[[한호]]의 작품활동=== | ===[[한호]]의 작품활동=== | ||
한호는 [[왕희지]], 안진경의 서체를 익혀 각종 서체에 모두 뛰어났다. [[한호]]는 [[왕희지체]]를 바탕으로 부분적으로 그 후대의 서체를 수용하였다. 해서 부분에서는 문진명의 서체를, 초서 부분에서는 회소, 축윤명, 장필 등의 서체를 수용했다. 한호의 서체는 여러 계층에 영향을 미쳤는데, 특히 『[[천자문 (장서각본)|석봉천자문]]』이 조선말까지 수차례 간행되면서 지속적인 영향을 미쳤다. <ref>이완우, 「석봉 한호」, 『미술사논단』12, 한국미술연구소, 2001, 318-319쪽.</ref> | 한호는 [[왕희지]], 안진경의 서체를 익혀 각종 서체에 모두 뛰어났다. [[한호]]는 [[왕희지체]]를 바탕으로 부분적으로 그 후대의 서체를 수용하였다. 해서 부분에서는 문진명의 서체를, 초서 부분에서는 회소, 축윤명, 장필 등의 서체를 수용했다. 한호의 서체는 여러 계층에 영향을 미쳤는데, 특히 『[[천자문 (장서각본)|석봉천자문]]』이 조선말까지 수차례 간행되면서 지속적인 영향을 미쳤다. <ref>이완우, 「석봉 한호」, 『미술사논단』12, 한국미술연구소, 2001, 318-319쪽.</ref> | ||
− | 그의 필적으로 『석봉서법』 『석봉천자문』 등이 모간(模刊)되었고, 친필은 별로 남은 것이 없으나 그가 쓴 비문(碑文)은 많이 남아 있다. 글씨로는 [[경주 옥산서원]]의 현판, [[안동 도산서원]]의 현판, 『허엽신도비(許曄神道碑)』(용인) 『서경덕신도비(徐敬德神道碑)』(개성) 『기자묘비(箕子廟碑)』(평양) 『김광계비(金光啓碑)』(양주) 『행주승전비(幸州勝戰碑)』 『[[선죽교비|선죽교비(善竹橋碑)]]』 『좌상유홍묘표(左相兪弘墓表)』 등이 있다.<ref>"[ | + | 그의 필적으로 『석봉서법』 『석봉천자문』 등이 모간(模刊)되었고, 친필은 별로 남은 것이 없으나 그가 쓴 비문(碑文)은 많이 남아 있다. 글씨로는 [[경주 옥산서원]]의 현판, [[안동 도산서원]]의 현판, 『허엽신도비(許曄神道碑)』(용인) 『서경덕신도비(徐敬德神道碑)』(개성) 『기자묘비(箕子廟碑)』(평양) 『김광계비(金光啓碑)』(양주) 『행주승전비(幸州勝戰碑)』 『[[선죽교비|선죽교비(善竹橋碑)]]』 『좌상유홍묘표(左相兪弘墓表)』 등이 있다.<ref>"[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84248 한호]",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ref> |
==지식 관계망== | ==지식 관계망== | ||
+ | * [http://dh.aks.ac.kr/Encyves/Graph/E051/E051.htm 한호 그래프] | ||
+ | <html> | ||
+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
+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
+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E051/E051.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 | </html> | ||
+ | |||
===관계정보=== | ===관계정보===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text-align:center;"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text-align:center;" | ||
68번째 줄: | 76번째 줄: | ||
| [[천자문 (장서각본)]] || [[석봉천자문]] || A의 유형은 B이다 || A dcterms:type B | | [[천자문 (장서각본)]] || [[석봉천자문]] || A의 유형은 B이다 || A dcterms:type B | ||
|- | |- | ||
− | | [[안동 도산서원 | + | | [[안동 도산서원]] || [[한호]] || A는 B가 편액을 썼다|| A dcterms:creator B |
|- | |- | ||
− | | [[ | + | | [[경주 옥산서원]] || [[한호]] || A는 B가 편액을 썼다 || A dcterms:creator B |
|- | |- | ||
− | | [[ | + | | [[한호 표준영정]] || [[한호]] || A는 B를 묘사하였다 || A ekc:depicts B |
|- | |- | ||
− | | [[ | + | | [[선죽교]] || [[한호]] || A는 B가 비문을 썼다 || A dcterms:creator B |
− | |||
− | |||
|- | |- | ||
|} | |} | ||
88번째 줄: | 94번째 줄: | ||
|} | |} | ||
− | ==주석== | + | =='''주석'''== |
<references/> | <references/> | ||
− | ==참고문헌== | + | |
− | === | + | =='''참고문헌'''== |
− | *이병태, 『석봉 한호의 생애』, 석봉한호 기념사업회, 2005 | + | ===인용 및 참조=== |
− | + | #웹 자원 | |
+ | #* 정성경, "[http://yeongam.grandculture.net/Contents?local=yeongam&dataType=01&contents_id=GC04401828 죽림 정사에서 한석봉을 길러 낸 어머니]" <html><online style="color:purple">,『향토문화전자대전 영암향토문화백과』<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 | #* 김응현,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2065 한호]」<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 | #* 김범,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573623&cid=59015&categoryId=59015 한호]",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캐스트 인물한국사』<sup>online</sup></online></html>. | ||
+ | #* "[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84248 한호]",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 | ||
+ | |||
+ | #단행본 | ||
+ | *이병태, 『석봉 한호의 생애』, 석봉한호 기념사업회, 2005. | ||
+ | |||
+ | |||
+ | |||
[[분류:인물]] | [[분류:인물]] | ||
[[분류:역사인물초상화]] | [[분류:역사인물초상화]] | ||
[[분류:역사인물]] | [[분류:역사인물]] | ||
− | |||
− |
2017년 11월 26일 (일) 20:10 기준 최신판
한호(韓濩) | |
대표명칭 | 한호 |
---|---|
한자표기 | 韓濩 |
생몰년 | 1543-1605 |
본관 | 삼화 |
이칭 | 한석봉 |
호 | 석봉(石峯), 청사(淸沙) |
자 | 경홍(景洪) |
시대 | 조선 |
대표저서 | 석봉천자문 한석봉증류여장서첩 |
대표직함 | 사자관, 흡곡현령, 가평군수 |
부 | 한언공 |
모 | 한언공 처 홍주 백씨 |
목차
정의
1543년~1605년까지 살았던 조선 중기의 서예가이다.
내용
어머니와의 솜씨겨루기 설화
한호가 절에서 글씨공부를 하던 도중에 집으로 오자, 그의 어머니가 불을 끄고 자신이 떡을 썰테니 한호에게는 글을 쓰라고 했다고 한다. 어머니는 떡을 정갈하게 썰었는데에 반해 한호는 삐뚤빼뚤 글을 써 자신의 실력이 부족한 것을 깨닫고 다시 돌아갔다고 한다. 이 설화는 조선시대 문헌에는 나오지 않으며 그의 고향인 송도(개성) 일대에서 구전된 이야기이다. [1]
한호의 생애
한호는 아버지와 친분이 있던 서경덕의 소개로 신희남의 문하에서 공부하였다.[2] 25살(1567년)에 진사시에 합격하였다. 글씨로 출세하여 사자관으로서 국가의 여러문서와 명나라에 보내는 외교문서를 도맡아 썼다. [3]이 때 중국에서 명필로 알려지게 되었고 왕세정, 주지번 등이 한호의 글씨를 크게 칭찬하였다. 조선 선조는 그에게 왕실교육용 천자문을 제작하라는 명을 내리기도 했다. [4]
한호의 작품활동
한호는 왕희지, 안진경의 서체를 익혀 각종 서체에 모두 뛰어났다. 한호는 왕희지체를 바탕으로 부분적으로 그 후대의 서체를 수용하였다. 해서 부분에서는 문진명의 서체를, 초서 부분에서는 회소, 축윤명, 장필 등의 서체를 수용했다. 한호의 서체는 여러 계층에 영향을 미쳤는데, 특히 『석봉천자문』이 조선말까지 수차례 간행되면서 지속적인 영향을 미쳤다. [5]
그의 필적으로 『석봉서법』 『석봉천자문』 등이 모간(模刊)되었고, 친필은 별로 남은 것이 없으나 그가 쓴 비문(碑文)은 많이 남아 있다. 글씨로는 경주 옥산서원의 현판, 안동 도산서원의 현판, 『허엽신도비(許曄神道碑)』(용인) 『서경덕신도비(徐敬德神道碑)』(개성) 『기자묘비(箕子廟碑)』(평양) 『김광계비(金光啓碑)』(양주) 『행주승전비(幸州勝戰碑)』 『선죽교비(善竹橋碑)』 『좌상유홍묘표(左相兪弘墓表)』 등이 있다.[6]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한호 | 왕희지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한호 | 한언공 | A는 아버지 B가 있다 | A ekc:hasFather B |
한언공 | 서경덕 | A는 B와 교유하였다 | A foaf:knows B |
서경덕 | 신희남 | A는 B와 교유하였다 | A foaf:knows B |
신희남 | 한호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조선 선조 | 석봉천자문 편찬 | A는 B를 명령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한호 | 석봉천자문 편찬 | A는 B를 주도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석봉천자문 | 한호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천자문 (장서각본) | 석봉천자문 | A의 유형은 B이다 | A dcterms:type B |
안동 도산서원 | 한호 | A는 B가 편액을 썼다 | A dcterms:creator B |
경주 옥산서원 | 한호 | A는 B가 편액을 썼다 | A dcterms:creator B |
한호 표준영정 | 한호 | A는 B를 묘사하였다 | A ekc:depicts B |
선죽교 | 한호 | A는 B가 비문을 썼다 | A dcterms:creator B |
시간정보
시간정보 | 내용 |
---|---|
1583년 | 한호가 석봉천자문을 저술하였다 |
주석
- ↑ 이완우, 「석봉 한호」, 『미술사논단』12, 한국미술연구소, 2001, 299쪽.
- ↑ 정성경, "죽림 정사에서 한석봉을 길러 낸 어머니"
,『향토문화전자대전 영암향토문화백과』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김응현, 「한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김범, "한호",
『네이버캐스트 인물한국사』online . - ↑ 이완우, 「석봉 한호」, 『미술사논단』12, 한국미술연구소, 2001, 318-319쪽.
- ↑ "한호",
『doopedia』online , 두산백과.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웹 자원
- 정성경, "죽림 정사에서 한석봉을 길러 낸 어머니"
,『향토문화전자대전 영암향토문화백과』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김응현, 「한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김범, "한호",
『네이버캐스트 인물한국사』online . - "한호",
『doopedia』online , 두산백과.
- 정성경, "죽림 정사에서 한석봉을 길러 낸 어머니"
- 단행본
- 이병태, 『석봉 한호의 생애』, 석봉한호 기념사업회,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