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주성"의 두 판 사이의 차이
(→갤러리) |
(→관계정보) |
||
(사용자 4명의 중간 판 14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
− | |||
{{유물유적정보 | {{유물유적정보 | ||
|사진=민족기록화 유적 진주성 촉석루 전경.jpg | |사진=민족기록화 유적 진주성 촉석루 전경.jpg | ||
− | |사진출처= | + | |사진출처= |
|대표명칭=진주성 | |대표명칭=진주성 | ||
|한자표기=晉州城 | |한자표기=晉州城 | ||
24번째 줄: | 22번째 줄: | ||
=='''정의'''== | =='''정의'''== | ||
− | 경상남도 진주시 남성동·본성동에 있는 | + | 경상남도 진주시 남성동·본성동에 있는 조선시대 성곽이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60328 진주성]",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두산백과.</ref> |
=='''내용'''== | =='''내용'''== | ||
===전략적 요충지=== | ===전략적 요충지=== | ||
− | 진주는 | + | 진주는 삼국시대 백제의 땅으로 신라와 접경한 최전선이었다. 두 나라 모두에게 중요한 전략적 요충지로서 치열한 공방전이 일어났던 곳이다. 삼국이 통일 된 이후에도 진주는 중요한 거점으로 인식되었으며 [[고려]]시대에는 남해안에 출몰하는 왜구를 섬멸하기 위한 기지 역할을 하였다. 조선시대에도 진주는 경상도와 호남을 연결하는 요충지로서 도호부가 설치되었고 경상우병영을 두었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60328 진주성]",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두산백과.</ref> |
− | |||
===역사적 변천=== | ===역사적 변천=== | ||
− | 1379년([[고려 우왕|우왕]] 5)에 왜구들의 침입에 대비하고자 | + | 1379년([[고려 우왕|우왕]] 5)에 왜구들의 침입에 대비하고자 그때까지 토성이었던 [[촉석성]]을 석축으로 수축하였다는 기록이 있다.<ref>정의도, "[http://jinju.grandculture.net/Contents?local=jinju&dataType=01&contents_id=GC00402149 진주성]", <html><online style="color:purple">『디지털진주문화대전』<sup>online</sup></online></html>.한국학중앙연구원.</ref><br/> |
− | [[임진왜란]] 직전인 [[조선 선조|선조]] 24년(1591)에는 영·호남의 읍성을 대대적으로 고쳐 쌓았는데 | + | [[임진왜란]] 직전인 [[조선 선조|선조]] 24년(1591)에는 영·호남의 읍성을 대대적으로 고쳐 쌓았는데 동쪽을 넓혀 외성을 두었다. 1593년 이후에는 경상좌도수군절도사 [[이수일]](李守一)이 진영을 [[촉석성]]으로 옮기고 성 안에 여러 시설을 두었다.<ref>김길식,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4909 진주성]",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한국학중앙연구원.</ref><br/> |
− | + | 지금의 진주성은 1970년대에 진주성 정화사업을 거쳐 복원 정비된 것으로 그 뒤에도 발굴이 진행되어 기록에 전하는 내부 시설이 일부 밝혀졌다. 특히 1999년에 진주성 공북문터 발굴조사가 실시되었는데, 그 결과 공북문 받침돌 아래에서 약 80㎝ 이상되는 판축층(板築層)이 확인되었고, 그 아래에서는 저습지도 발견되었다.<ref>김길식,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4909 진주성]",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 지금의 진주성은 1970년대에 진주성 정화사업을 거쳐 복원 정비된 | ||
===임진왜란과 진주성=== | ===임진왜란과 진주성=== | ||
− | 1592년 4월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김시민]](金時敏) 장군이 성채를 보강하여 왜군의 | + | 1592년(조선 선조 25) 4월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김시민]](金時敏) 장군이 성채를 보강하여 왜군의 공격에 대비하였다. 1592년 9월 왜군은 약 2만 5천 명의 병력으로 진주성으로 공격해 왔지만 김시민 장군에게 대패하여 [[민족기록화로 살펴보는 임진왜란 3대 대첩 | 임진왜란 3대첩]] 중의 하나가 벌어진 곳이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60328 진주성]",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두산백과.</ref><br/> |
− | 1593년 6월 왜군은 곡창지대인 호남을 공략하여 군량미를 확보하고자 약 10만 명의 대군을 이끌고 쳐들어 왔다 | + | 1593년 6월 왜군은 곡창지대인 호남을 공략하여 군량미를 확보하고자 약 10만 명의 대군을 이끌고 쳐들어 왔다. 2차 전투에서는 군관민 6만이 최후까지 항쟁하여, 장렬한 최후를 마쳤고 왜군도 막대한 피해를 입어 호남으로 쳐들어갈 여력을 상실하였다.[[서예원]](徐禮元)의 수급은 일본에 있는 도요토미 히데요시에게 보내졌는데, 그는 [[서예원]](徐禮元)의 수급을 김시민의 수급으로 오인했다고 한다. 선무원종1등공신(宣武原從功臣)에 책록되고 병조참의(兵曹參議)에 추증되었으며, 고종 때 [[진주 창렬사]](彰烈祠)에 제향되었다. |
+ | 이때 [[논개]](論介)는 적장을 안고 [[남강]](南江)에 투신한 일화가 유명하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60328 진주성]",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두산백과.</ref> | ||
+ | |||
+ | =='''지식 관계망'''== | ||
+ | * '''[http://dh.aks.ac.kr/Encyves/Graph/C027/C027.htm "진주성싸움"(강대운) 지식관계망]''' | ||
+ | <html> | ||
+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
+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
+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C027/C027.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 | </html> | ||
− | |||
===관계정보=== | ===관계정보===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
60번째 줄: | 64번째 줄: | ||
| [[최경회]] || [[2차 진주전투]]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최경회]] || [[2차 진주전투]]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 | + | | [[서예원]] || [[2차 진주전투]]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최경회]] || [[논개]]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최경회]] || [[논개]]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76번째 줄: | 80번째 줄: | ||
|35.206419 || 128.078344 || [[진주성]]은 경상남도 진주시 남성동에 위치한다. | |35.206419 || 128.078344 || [[진주성]]은 경상남도 진주시 남성동에 위치한다. | ||
|} | |} | ||
+ | |||
+ | *'''임진왜란 3대첩''' | ||
+ | <html> | ||
+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
+ | <input type="button" value=" Map " onclick="reload();"> | ||
+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oogle/GoogleMapsKML.htm?kml=http://dh.aks.ac.kr/Encyves/Map/C026/C026.kml"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 | </html> | ||
=='''시각자료'''== | =='''시각자료'''== | ||
+ | ===가상현실=== | ||
+ | |||
===갤러리=== | ===갤러리===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heights=150px style="float:center"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heights=150px style="float:center" > | ||
− | 파일:민족기록화 유적 진주성 촉석루 전경.jpg | 진주성 촉석루 전경 | + | 파일:민족기록화 유적 진주성 촉석루 전경.jpg | 진주성 촉석루 전경 |
− | 파일:민족기록화 유적 진주성 김시민장군 전공비 01.jpg | 김시민장군 전공비 | + | 파일:민족기록화 유적 진주성 김시민장군 전공비 01.jpg | 김시민장군 전공비 |
− | 파일:민족기록화 유적 진주성 김시민장군상.jpg | 김시민장군상 | + | 파일:민족기록화 유적 진주성 김시민장군상.jpg | 김시민장군상 |
− | 파일:민족기록화 유적 진주성 북장대.jpg | 북장대 | + | 파일:민족기록화 유적 진주성 북장대.jpg | 북장대 |
− | 파일:민족기록화 유적 진주성 비석군.jpg | 비석군 | + | 파일:민족기록화 유적 진주성 비석군.jpg | 비석군 |
− | 파일:민족기록화 유적 진주성 쌍충사적비.jpg | 쌍충사적비 | + | 파일:민족기록화 유적 진주성 쌍충사적비.jpg | 쌍충사적비 |
− | 파일:민족기록화 유적 진주성 암문.jpg | 암문 | + | 파일:민족기록화 유적 진주성 암문.jpg | 암문 |
− | 파일:민족기록화 유적 진주성 영남포정사.jpg | 영남포정사 | + | 파일:민족기록화 유적 진주성 영남포정사.jpg | 영남포정사 |
− | 파일:민족기록화 유적 진주성 임진대첩 계사순의단.jpg | 임진대첩 계사순의 단 | + | 파일:민족기록화 유적 진주성 임진대첩 계사순의단.jpg | 임진대첩 계사순의 단 |
− | 파일:민족기록화 유적 진주성 의기사.jpg | 의기사 | + | 파일:민족기록화 유적 진주성 의기사.jpg | 의기사 |
− | 파일:민족기록화 유적 진주성 의암.jpg | 의암 | + | 파일:민족기록화 유적 진주성 의암.jpg | 의암 |
− | 파일:민족기록화 유적 진주성 의암사적비 01.jpg | 의암사적비 | + | 파일:민족기록화 유적 진주성 의암사적비 01.jpg | 의암사적비 |
− | 파일:민족기록화 유적 진주성 촉석루 현판 영남제일형승.jpg | 촉석루 현판 - 영남제일형승 | + | 파일:민족기록화 유적 진주성 촉석루 현판 영남제일형승.jpg | 촉석루 현판 - 영남제일형승 |
− | 파일:민족기록화 유적 진주성 청계서원 03.jpg | 청계서원 | + | 파일:민족기록화 유적 진주성 청계서원 03.jpg | 청계서원 |
− | 파일:민족기록화 유적 진주성 촉석루중삼장사기실비.jpg | 촉석루중삼장사기실비 | + | 파일:민족기록화 유적 진주성 촉석루중삼장사기실비.jpg | 촉석루중삼장사기실비 |
− | 파일:민족기록화 유적 진주성 촉석루중수기 하수일.jpg | 촉석루중수기 - 하수일 | + | 파일:민족기록화 유적 진주성 촉석루중수기 하수일.jpg | 촉석루중수기 - 하수일 |
− | 파일:민족기록화 유적 진주성 포루.jpg | 포루 | + | 파일:민족기록화 유적 진주성 포루.jpg | 포루 |
− | 파일:민족기록화 유적 진주성 촉석문.jpg | 촉석문 | + | 파일:민족기록화 유적 진주성 촉석문.jpg | 촉석문 |
− | 파일:민족기록화 유적 진주성 우물.jpg | 우물 | + | 파일:민족기록화 유적 진주성 우물.jpg | 우물 |
− | 파일:민족기록화 유적 진주성 하공진사적비 01.jpg | 하공진사적비 | + | 파일:민족기록화 유적 진주성 하공진사적비 01.jpg | 하공진사적비 |
</gallery> | </gallery> | ||
115번째 줄: | 128번째 줄: | ||
[[분류:민족기록화]][[분류:문화유산]] | [[분류:민족기록화]][[분류:문화유산]] | ||
− |
2022년 10월 22일 (토) 15:15 기준 최신판
진주성 (晉州城) |
|
대표명칭 | 진주성 |
---|---|
한자표기 | 晉州城 |
유형 | 성곽 |
시대 | 조선시대 |
지정번호 | 사적 제118호 |
지정일 | 1963년 01월 21일 |
관련인물 | 김시민,최경회,논개 |
|
목차
정의
경상남도 진주시 남성동·본성동에 있는 조선시대 성곽이다.[1]
내용
전략적 요충지
진주는 삼국시대 백제의 땅으로 신라와 접경한 최전선이었다. 두 나라 모두에게 중요한 전략적 요충지로서 치열한 공방전이 일어났던 곳이다. 삼국이 통일 된 이후에도 진주는 중요한 거점으로 인식되었으며 고려시대에는 남해안에 출몰하는 왜구를 섬멸하기 위한 기지 역할을 하였다. 조선시대에도 진주는 경상도와 호남을 연결하는 요충지로서 도호부가 설치되었고 경상우병영을 두었다.[2]
역사적 변천
1379년(우왕 5)에 왜구들의 침입에 대비하고자 그때까지 토성이었던 촉석성을 석축으로 수축하였다는 기록이 있다.[3]
임진왜란 직전인 선조 24년(1591)에는 영·호남의 읍성을 대대적으로 고쳐 쌓았는데 동쪽을 넓혀 외성을 두었다. 1593년 이후에는 경상좌도수군절도사 이수일(李守一)이 진영을 촉석성으로 옮기고 성 안에 여러 시설을 두었다.[4]
지금의 진주성은 1970년대에 진주성 정화사업을 거쳐 복원 정비된 것으로 그 뒤에도 발굴이 진행되어 기록에 전하는 내부 시설이 일부 밝혀졌다. 특히 1999년에 진주성 공북문터 발굴조사가 실시되었는데, 그 결과 공북문 받침돌 아래에서 약 80㎝ 이상되는 판축층(板築層)이 확인되었고, 그 아래에서는 저습지도 발견되었다.[5]
임진왜란과 진주성
1592년(조선 선조 25) 4월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김시민(金時敏) 장군이 성채를 보강하여 왜군의 공격에 대비하였다. 1592년 9월 왜군은 약 2만 5천 명의 병력으로 진주성으로 공격해 왔지만 김시민 장군에게 대패하여 임진왜란 3대첩 중의 하나가 벌어진 곳이다.[6]
1593년 6월 왜군은 곡창지대인 호남을 공략하여 군량미를 확보하고자 약 10만 명의 대군을 이끌고 쳐들어 왔다. 2차 전투에서는 군관민 6만이 최후까지 항쟁하여, 장렬한 최후를 마쳤고 왜군도 막대한 피해를 입어 호남으로 쳐들어갈 여력을 상실하였다.서예원(徐禮元)의 수급은 일본에 있는 도요토미 히데요시에게 보내졌는데, 그는 서예원(徐禮元)의 수급을 김시민의 수급으로 오인했다고 한다. 선무원종1등공신(宣武原從功臣)에 책록되고 병조참의(兵曹參議)에 추증되었으며, 고종 때 진주 창렬사(彰烈祠)에 제향되었다.
이때 논개(論介)는 적장을 안고 남강(南江)에 투신한 일화가 유명하다.[7]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진주전투 | 진주성 | A는 B에서 일어났다 | A edm:happenedAt B |
진주전투 | 1차 진주전투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진주전투 | 2차 진주전투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김시민 | 1차 진주전투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김성일 | 1차 진주전투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곽재우 | 1차 진주전투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최경회 | 2차 진주전투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서예원 | 2차 진주전투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최경회 | 논개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김성일 | 진주전투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임진왜란 3대첩 | 진주전투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공간정보
위도 | 경도 | 내용 |
---|---|---|
35.206419 | 128.078344 | 진주성은 경상남도 진주시 남성동에 위치한다. |
- 임진왜란 3대첩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주석
- ↑ "진주성",
『doopedia』online .두산백과. - ↑ "진주성",
『doopedia』online .두산백과. - ↑ 정의도, "진주성",
『디지털진주문화대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 김길식, "진주성",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 김길식, "진주성",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 "진주성",
『doopedia』online .두산백과. - ↑ "진주성",
『doopedia』online .두산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