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종왕세자책례도감의궤"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내용) |
|||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5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20번째 줄: | 20번째 줄: | ||
=='''정의'''== | =='''정의'''== | ||
− | 1690년 [[경종|경종(景宗)]]을 | + | 1690년(조선 숙종 16), [[경종|경종(景宗)]]을 [[왕세자]]로 책봉(冊封)하는 과정을 기록한 [[의궤]]이다. |
=='''내용'''== | =='''내용'''== | ||
− | [[숙종]]은 왕비를 세 | + | [[숙종]]은 왕비를 세 번이나 걸쳐 맞아들였으나 모두 후사가 없었다. [[숙종]]이 총애한 궁녀 소의 장씨(昭儀 長氏, 1659~1701)가 1688(숙종 14)에 원자를 낳으니, 후에 [[경종]]이 될 원자였다. 원자가 3세가 되던 1690년 4월 14일에 [[경종]]의 [[왕세자]] [[책례]]를 위해 [[책례도감]] 운영의 여러 규정을 제정한 '책례도감사목(冊禮都監事目)'이 [[숙종]]에게 올려졌다. 4월 17일에 이름을 정하고, 6월 16일 원자의 거처인 [[창덕궁 희정당]]에서 책례 의식이 거행되었다. [[숙종]]은 사신에게 [[교명]]과 [[죽책문]]을 보내 원자를 [[왕세자]]로 책봉하고 [[백관]]의 축하를 받고, 죄인을 사면하는 사유(赦宥)를 반포했다. 원래 정한 [[책례]] 장소는 [[창덕궁 인정전]]이었으나, 당시 3세였던 원자를 염려하여 의식 장소를 변경하고 절차도 간소화하였다. [[왕세자]] 책봉은 당시 정권을 잡고 있던 [[송시열|송시열(宋時烈)]] 등 서인의 반발에 부딪쳤다. [[인현왕후]]가 당시 24세로 나이가 많지 않아 왕자 출산을 더 기다려 보아야한다는 이유에서였다. 그러나 남인의 지원을 받은 [[숙종]]이 [[왕세자]] 책봉을 강행하면서 [[기사환국|기사환국(己巳換局)]]이 일어나 서인이 몰락하고 남인이 집권하게 되었다. [[왕세자]] 책봉은 관례에 따라 영의정 [[권대운|권대운(權大運)]]을 [[도제조]]로 하여 [[책례도감]]에서 1책으로 편찬하였다. [[옥인]]과 [[죽책]]을 궁으로 가져오는 행렬을 그린 12쪽의 채색 [[반차도]]가 실려 있는데, [[왕세자]] 책봉과 관련된 반차도로는 처음 제작한 것이다.<ref>한영우, 『조선왕조 의궤-국가의례와 그 기록』, 일지사, 2005, 191~192쪽.</ref> |
===목록=== | ===목록=== | ||
36번째 줄: | 36번째 줄: |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강화부본(奎 13091)<br/>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강화부본(奎 13091)<br/> |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K2-2693)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K2-2693) | ||
+ | |||
+ | {{연계자원정보 | ||
+ | |연계자원1= '''회화'''<br/>[[수교도|수교도(受敎圖)]] | ||
+ | |연계자원2= | ||
+ | |연계자원3= | ||
+ | |연계자원4= | ||
+ | |연계자원5= | ||
+ | }} | ||
=='''지식 관계망'''== | =='''지식 관계망'''== | ||
+ | <html> | ||
+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
+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
+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B005/B005.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 | </html> | ||
+ | |||
===관계정보=== | ===관계정보===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
109번째 줄: | 123번째 줄: | ||
| 1 || [[파일:궁중기록화_경종왕세자책례도감의궤_도감관원_1사령.png|80x80px|사령]] || 사령(使令) || 각 관청의 관원이 부리던 하인으로 호위와 시종을 담당함 || [[갓]], [[청의]] | | 1 || [[파일:궁중기록화_경종왕세자책례도감의궤_도감관원_1사령.png|80x80px|사령]] || 사령(使令) || 각 관청의 관원이 부리던 하인으로 호위와 시종을 담당함 || [[갓]], [[청의]] | ||
|- | |- | ||
− | | 2 || [[파일:궁중기록화_경종왕세자책례도감의궤_도감관원_2도제조.png|80x80px|도제조]] || 도제조(都提調) || 육조의 속아문이나 군영 등에 두었던 정1품 관직으로, 경종왕세자 책례의 총책임자는 [[권대운(權大運)]]이었다. || [[백관의 조복]] | + | | 2 || [[파일:궁중기록화_경종왕세자책례도감의궤_도감관원_2도제조.png|80x80px|도제조]] || 도제조(都提調) || 육조의 속아문이나 군영 등에 두었던 정1품 관직으로, 경종왕세자 책례의 총책임자는 [[권대운|권대운(權大運)]]이었다. || [[백관의 조복]] |
|- | |- | ||
| 3 || [[파일:궁중기록화_경종왕세자책례도감의궤_도감관원_3제조.png|80x80px|제조]] || 제조(提調) || 당상관 이상의 관원이 없는 관아에 겸직으로 임명하여 각 관아를 실질적으로 통솔하던 직책 || [[백관의 조복]] | | 3 || [[파일:궁중기록화_경종왕세자책례도감의궤_도감관원_3제조.png|80x80px|제조]] || 제조(提調) || 당상관 이상의 관원이 없는 관아에 겸직으로 임명하여 각 관아를 실질적으로 통솔하던 직책 || [[백관의 조복]] | ||
133번째 줄: | 147번째 줄: | ||
* 신명호, 『조선 왕실의 의례와 생활 궁중문화』, 돌베개, 2002. | * 신명호, 『조선 왕실의 의례와 생활 궁중문화』, 돌베개, 2002. | ||
* 한영우, 『조선왕조 의궤-국가의례와 그 기록』, 일지사, 2005. | * 한영우, 『조선왕조 의궤-국가의례와 그 기록』, 일지사, 2005. | ||
− | + | ||
[[분류:궁중기록화]] | [[분류:궁중기록화]] | ||
[[분류:의궤]] | [[분류:의궤]] |
2017년 12월 15일 (금) 15:11 기준 최신판
경종왕세자책례도감의궤 (景宗王世子冊禮都監儀軌) |
|
대표명칭 | 경종왕세자책례도감의궤 |
---|---|
한자표기 | 景宗王世子冊禮都監儀軌 |
주제 | 책례(冊禮) |
작성주체 | 책례도감(冊禮都監) |
의례담당자 | 권대운(權大運) |
작성지역 | 한성부 |
작성시기 | 1690년(숙종 16년) |
소장처(원소장처) | 국립중앙박물관(어람용) 규장각한국학연구원(강화부) |
판본 | 필사본 |
표기문자 | 한자, 이두 |
수량 | 어람용: 총 1책 213장 강화부: 총 1책 168장 |
크기 | 어람용: 48.4×36.1 태백산: 47.0×35.2 |
도설 | 10면(채색) |
반차도 | 12면(채색) 총 길이: 약 432㎝ |
목차
정의
1690년(조선 숙종 16), 경종(景宗)을 왕세자로 책봉(冊封)하는 과정을 기록한 의궤이다.
내용
숙종은 왕비를 세 번이나 걸쳐 맞아들였으나 모두 후사가 없었다. 숙종이 총애한 궁녀 소의 장씨(昭儀 長氏, 1659~1701)가 1688(숙종 14)에 원자를 낳으니, 후에 경종이 될 원자였다. 원자가 3세가 되던 1690년 4월 14일에 경종의 왕세자 책례를 위해 책례도감 운영의 여러 규정을 제정한 '책례도감사목(冊禮都監事目)'이 숙종에게 올려졌다. 4월 17일에 이름을 정하고, 6월 16일 원자의 거처인 창덕궁 희정당에서 책례 의식이 거행되었다. 숙종은 사신에게 교명과 죽책문을 보내 원자를 왕세자로 책봉하고 백관의 축하를 받고, 죄인을 사면하는 사유(赦宥)를 반포했다. 원래 정한 책례 장소는 창덕궁 인정전이었으나, 당시 3세였던 원자를 염려하여 의식 장소를 변경하고 절차도 간소화하였다. 왕세자 책봉은 당시 정권을 잡고 있던 송시열(宋時烈) 등 서인의 반발에 부딪쳤다. 인현왕후가 당시 24세로 나이가 많지 않아 왕자 출산을 더 기다려 보아야한다는 이유에서였다. 그러나 남인의 지원을 받은 숙종이 왕세자 책봉을 강행하면서 기사환국(己巳換局)이 일어나 서인이 몰락하고 남인이 집권하게 되었다. 왕세자 책봉은 관례에 따라 영의정 권대운(權大運)을 도제조로 하여 책례도감에서 1책으로 편찬하였다. 옥인과 죽책을 궁으로 가져오는 행렬을 그린 12쪽의 채색 반차도가 실려 있는데, 왕세자 책봉과 관련된 반차도로는 처음 제작한 것이다.[1]
목록
좌목(座目), 계사(啓辭), 예관(禮關), 의주(儀註), 품목(稟目), 이문(移文), 감결(甘結), 의궤(儀軌), 서계(書啓), 논상(論賞), 일방(一房), 이방(二房), 삼방(三房)
해제
김남윤, "경종왕세자책례도감의궤", 의궤 검색,
김영인, "경종왕세자책례도감의궤", 의궤 검색,
판본
국립중앙박물관: 어람용(2685)
규장각한국학연구원: 강화부본(奎 13091)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K2-2693)
연계 자원 보러 가기 |
• 회화 수교도(受敎圖) |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경종왕세자책례도감의궤 | 경종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경종왕세자책례도감의궤 | 왕세자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경종왕세자책례도감의궤 | 왕세자의 대례복 | A는 B를 기록하였다 | A ekc:mentions B |
경종왕세자책례도감의궤 | 책례 | A는 B를 기록하였다 | A ekc:documents B |
경종왕세자책례도감의궤 | 국립중앙박물관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경종왕세자책례도감의궤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경종왕세자책례도감의궤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시간정보
시간 | 내용 |
---|---|
1690년 6월 16일 | 경종의 책례가 거행되었다 |
1690년 | 『경종왕세자책례도감의궤』가 편찬되었다 |
공간정보
위도 | 경도 | 내용 |
---|---|---|
37.579721 | 126.992259 | 창덕궁 희정당에서 경종의 책례 의식이 거행되었다 |
시각자료
가상현실
왕세자의 행렬
번호 | 이미지 | 대상 | 설명[2] | 복장/복식 |
---|---|---|---|---|
1 | 일산(日傘) | 의례에 사용한 큰 비단 양산 | 청건(靑巾) 청의(靑衣) | |
2 | 궐달마(闕闥馬) | 왕세자가 각종 국가 행사에 참여할 때, 의장을 화려하고 위엄있게 보이기 위해 늘어 세우는 의장용 말 | 초립(草笠 청의(靑衣) | |
3 | 별감(別監) | 호위를 맡았던 하급 군관 | 조건(皁巾) 녹의(綠衣) | |
4 | 연(輦)-경종왕세자(景宗王世子) | 왕실에서 사용하는 지붕이 있는 가마로, 경종왕세자(景宗王世子)가 타고 있다. | 왕세자의 대례복 | |
4 | 연배군(輦陪軍) | 왕의 가마를 메는 군사 | 청건(靑巾) 청의(靑衣) | |
5 | 청선(靑扇) | 청색 부채 | 갓 청의(靑衣) |
도감 관원의 행렬
번호 | 이미지 | 대상 | 설명[3] | 복장/복식 |
---|---|---|---|---|
1 | 사령(使令) | 각 관청의 관원이 부리던 하인으로 호위와 시종을 담당함 | 갓, 청의 | |
2 | 도제조(都提調) | 육조의 속아문이나 군영 등에 두었던 정1품 관직으로, 경종왕세자 책례의 총책임자는 권대운(權大運)이었다. | 백관의 조복 | |
3 | 제조(提調) | 당상관 이상의 관원이 없는 관아에 겸직으로 임명하여 각 관아를 실질적으로 통솔하던 직책 | 백관의 조복 | |
4 | 도청(都㕔) | 임시 관서인 도감의 관직 | 백관의 조복 | |
5 | 낭청(郎㕔) | 각 관서에서 차출하여 겸임시켰던 당하관의 실무 담당 관직 | 백관의 조복 | |
6 | 감조관(監造官) | 여러가지 왕실행사의 실무를 감독하는 관원 | 백관의 조복 | |
6 | 별공작감역관(別工作監役官) | 임시 관청인 별공작에 속한 감독관 | 백관의 조복 |
주석
- ↑ 한영우, 『조선왕조 의궤-국가의례와 그 기록』, 일지사, 2005, 191~192쪽.
- ↑ 제송희, "경종왕세자책례도감의궤",
『외규장각 의궤』online , 국립중앙박물관. - ↑ 제송희, "경종왕세자책례도감의궤",
『외규장각 의궤』online , 국립중앙박물관.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김지영, 김문식 외 4명, 『즉위식, 국왕의 탄생』, 돌베개, 2013.
- 김문식, 신병주 저, 『조선 왕실기록문화의 꽃 의궤』, 돌베개, 2005.
- 서울대학교 규장각, 『규장각소장 분류별의궤해설집』, 서울대학교 규장각, 2005.
- 서울대학교 규장각, 『규장각소장 의궤 해제집(3)』, 서울대학교 규장각, 2005.
- 신명호, 『조선 왕실의 의례와 생활 궁중문화』, 돌베개, 2002.
- 한영우, 『조선왕조 의궤-국가의례와 그 기록』, 일지사,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