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시성"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위치 논란) |
(→참고문헌) |
||
(다른 사용자 한 명의 중간 판 4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25번째 줄: | 25번째 줄: | ||
=='''내용'''== | =='''내용'''== | ||
− | 현재 요녕성 해성시 동남쪽 7.5km지점에 [[영성자산성]]이 있는데, 이곳을 안시성으로 | + | 현재 요녕성 해성시 동남쪽 7.5km지점에 [[영성자산성|영성자(英城子)산성]]이 있는데, 이곳을 안시성으로 비정(比定)한다. 둘레 길이는 약 4km이다.<ref>"안시성", 『문화콘텐츠닷컴 (문화원형 용어사전)』, 한국콘텐츠진흥원, 2012.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021306&cid=50826&categoryId=50826 안시성]", 문화원형 용어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ref> 안시성은 642년([[고구려 영류왕]] 25)에에 [[연개소문]]이 정변을 일으켰을 당시에도 그 성주가 항복하지 않은 성이었다. 545년(보장왕 4)에는 당태종의 포위 공격도 이겨냈으며 671년([[신라 문무왕]] 2)에는 당나라의 [[고간]](高侃)이 안시성에서 고구려 유민의 군대를 물리치기도 하였다.<ref>"[http://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View.do?search_div_id=CP_THE004&cp_code=rp0703&index_id=rp07031386&content_id=rp070313860001&search_left_menu=8 안시성]", 디지털 삼국유사 사전, 박물지 시범개발,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콘텐츠닷컴』<sup>online</sup></online></html>, 한국콘텐츠진흥원.</ref> |
===전략적 요지=== | ===전략적 요지=== | ||
− | + | 고구려는 [[요하]](遼河)유역에 여러 곳의 방어성을 구축하였다. 안시성을 비롯하여 [[신성]]<ref>지금의 만주 푸순(撫順) 부근</ref>·[[요동성]]<ref>지금의 만주 랴오양(遼陽)</ref>·[[건안성]]<ref>지금의 만주 가이핑(蓋平)</ref>·[[개모성]]<ref>지금의 만주 푸순 부근</ref>·[[백암성]]<ref>지금의 만주 랴오양 동남쪽</ref>·[[비사성]]<ref>지금의 다롄만(大連灣) 북안(北岸)</ref> 등이었다. 그 중에서도 안시성은 전략적 비중이 [[요동성]]에 버금가는 위치에 있었다. 특히, 안시성은 [[신성]]과 [[건안성]]의 중간에 위치하였으므로, 안시성의 방어는 [[요동]]지방의 여러 성들을 방어하는 데 크고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한 [[압록강]] 북쪽의 [[오골성]]<ref>지금의 만주 펑황(鳳凰) 남쪽에 있는 고려산성(高麗山城)</ref>·[[국내성]]<ref>지금의 만주 지안현(集安縣)</ref>을 비롯한 전국의 성을 수호하기 위해 매우 중요한 전략적 위치에 있었다.<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4847 안시성]",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 특히, 안시성은 [[신성]]과 [[건안성]]의 중간에 위치하였으므로, [[ | ||
− | 또한 [[압록강]] 북쪽의 [[오골성]] | ||
===위치 논란=== | ===위치 논란=== | ||
====탕지보==== | ====탕지보==== | ||
− | 『[[삼국사기]](三國史記)』지리지(地理志)에 의하면 안시성(安市城)의 | + | 『[[삼국사기]](三國史記)』지리지(地理志)에 의하면 안시성(安市城)의 원이름dms ‘안촌홀(安寸忽)’이라고 하며, 소재지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하였다.『[[금사]](金史)』지리지에 따라 만주 개평(蓋平) 동북의 [[탕지보]](湯池堡)라 추정하기도 한다.<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4847 안시성]",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봉황성==== | ====봉황성==== | ||
− | + | 『[[이계집]](耳溪集)』이나 『[[아방강역고]](我邦疆域考)』에서는 만주의 [[봉황성]]으로 추측하기도 한다. [[봉황성]]을 안시성으로 본 것은 17세기 이후 연행사(燕行使)들로부터 시작되었다. 당시 명나라에는 고구려와 당의 전쟁에 관하여 떠도는 이야기들을 다룬 문학작품들이 유행하고 있었다. 이 책들은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조선에 유입되었다. 이 작품들 중에 [[설인귀]](薛仁貴) 영웅담의 무대인 봉황산과 역사연의(歷史演義)의 무대인 안시성 및 안시성주로서 [[양만춘]](楊萬春)의 활약이 그려져 있었다. 그런데 17세기 연행로 상에 봉황산성이 있었고, 이런 작품들을 접했던 연행사들이 자연스럽게 안시성을 떠올리게 되면서 [[봉황성]]을 안시성으로 보는 견해가 생겨나게 된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비정은 [[병자호란]](丙子胡亂) 이후 민족의식이 확대되면서 크게 유행하여 후대로 이어져 내려오게 되었다.<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4847 안시성]",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영성자산성==== | ====영성자산성==== | ||
− | 그러나 17세기 중엽부터 [[남구만]](南九萬), [[김창업]](金昌業) 등에 의해 | + | 그러나 17세기 중엽부터 [[남구만]](南九萬), [[김창업]](金昌業) 등에 의해 봉황성설을 부정하는 견해들이 나타났다. 이들은 『[[대명일통지]](大明一統志)』등에 나타나는 지리적인 문제점을 근거로 들었다. 이후 18세기에 들어오면서 [[박지원]](朴趾源)이나 [[안정복]](安鼎福) 역시 『당서(唐書)』 및 『한서(漢書)』의 지리지 기록 등을 인용하여 봉황성설의 오류를 지적하였으며, 안시성은 가이저우(蓋州) 일대에 있다고 주장하였다.<br/> |
현재는 만주 봉천성(奉天省) 해성(海城)의 동남쪽에 있는 [[영성자산성]](英城子山城)으로 추정하는 견해가 가장 유력하다.<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4847 안시성]",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현재는 만주 봉천성(奉天省) 해성(海城)의 동남쪽에 있는 [[영성자산성]](英城子山城)으로 추정하는 견해가 가장 유력하다.<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4847 안시성]",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지식 관계망'''== | =='''지식 관계망'''== | ||
+ | * [http://dh.aks.ac.kr/Encyves/Graph/C004/C004.htm "안시성싸움"(박창돈) 지식관계망] | ||
+ | <html> | ||
+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
+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
+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C004/C004.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 | </html> | ||
+ | |||
===관계정보=== | ===관계정보===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
83번째 줄: | 88번째 줄: | ||
===갤러리=== | ===갤러리=== |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100px style="float:center" > | ||
+ | 파일:민족기록화_문화유산_안시성_01.jpg|안시성 모습.<ref>임기환,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7465 영성자산성]",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 </gallery> | ||
===영상=== | ===영상=== | ||
91번째 줄: | 99번째 줄: | ||
=='''참고문헌'''== | =='''참고문헌'''== | ||
===인용 및 참조=== | ===인용 및 참조=== | ||
− | # | + | #웹 자원 |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20562 안시성]",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 |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20562 안시성]",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 | ||
#*임기환,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7465 영성자산성]",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임기환,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7465 영성자산성]",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021306&cid=50826&categoryId=50826 안시성]", 문화원형 용어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 + | #*"안시성", 『문화콘텐츠닷컴 (문화원형 용어사전)』, 한국콘텐츠진흥원, 2012.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021306&cid=50826&categoryId=50826 안시성]", 문화원형 용어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
#*"[http://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View.do?search_div_id=CP_THE004&cp_code=rp0703&index_id=rp07031386&content_id=rp070313860001&search_left_menu=8 안시성]", 디지털 삼국유사 사전, 박물지 시범개발,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콘텐츠닷컴』<sup>online</sup></online></html>, 한국콘텐츠진흥원. | #*"[http://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View.do?search_div_id=CP_THE004&cp_code=rp0703&index_id=rp07031386&content_id=rp070313860001&search_left_menu=8 안시성]", 디지털 삼국유사 사전, 박물지 시범개발,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콘텐츠닷컴』<sup>online</sup></online></html>, 한국콘텐츠진흥원. |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4847 안시성]",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4847 안시성]",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 | |||
[[분류:민족기록화]][[분류:문화유산]] | [[분류:민족기록화]][[분류:문화유산]] |
2017년 12월 27일 (수) 00:10 기준 최신판
안시성 (安市城) |
|
대표명칭 | 안시성 |
---|---|
한자표기 | 安市城 |
이칭 | 안촌홀(安寸忽) |
유형 | 산성 |
시대 | 고구려 |
소장처 | 중국 요녕성(遼寧省) 해성시(海城市) 영성자둔(英城子屯) 영성자촌(英城子村) |
관련인물 | 양만춘,연개소문 |
관련유물유적 | 영성자산성 |
|
목차
정의
삼국시대에 고구려와 당(唐)나라의 경계에 있던 산성.[1]
내용
현재 요녕성 해성시 동남쪽 7.5km지점에 영성자(英城子)산성이 있는데, 이곳을 안시성으로 비정(比定)한다. 둘레 길이는 약 4km이다.[2] 안시성은 642년(고구려 영류왕 25)에에 연개소문이 정변을 일으켰을 당시에도 그 성주가 항복하지 않은 성이었다. 545년(보장왕 4)에는 당태종의 포위 공격도 이겨냈으며 671년(신라 문무왕 2)에는 당나라의 고간(高侃)이 안시성에서 고구려 유민의 군대를 물리치기도 하였다.[3]
전략적 요지
고구려는 요하(遼河)유역에 여러 곳의 방어성을 구축하였다. 안시성을 비롯하여 신성[4]·요동성[5]·건안성[6]·개모성[7]·백암성[8]·비사성[9] 등이었다. 그 중에서도 안시성은 전략적 비중이 요동성에 버금가는 위치에 있었다. 특히, 안시성은 신성과 건안성의 중간에 위치하였으므로, 안시성의 방어는 요동지방의 여러 성들을 방어하는 데 크고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한 압록강 북쪽의 오골성[10]·국내성[11]을 비롯한 전국의 성을 수호하기 위해 매우 중요한 전략적 위치에 있었다.[12]
위치 논란
탕지보
『삼국사기(三國史記)』지리지(地理志)에 의하면 안시성(安市城)의 원이름dms ‘안촌홀(安寸忽)’이라고 하며, 소재지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하였다.『금사(金史)』지리지에 따라 만주 개평(蓋平) 동북의 탕지보(湯池堡)라 추정하기도 한다.[13]
봉황성
『이계집(耳溪集)』이나 『아방강역고(我邦疆域考)』에서는 만주의 봉황성으로 추측하기도 한다. 봉황성을 안시성으로 본 것은 17세기 이후 연행사(燕行使)들로부터 시작되었다. 당시 명나라에는 고구려와 당의 전쟁에 관하여 떠도는 이야기들을 다룬 문학작품들이 유행하고 있었다. 이 책들은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조선에 유입되었다. 이 작품들 중에 설인귀(薛仁貴) 영웅담의 무대인 봉황산과 역사연의(歷史演義)의 무대인 안시성 및 안시성주로서 양만춘(楊萬春)의 활약이 그려져 있었다. 그런데 17세기 연행로 상에 봉황산성이 있었고, 이런 작품들을 접했던 연행사들이 자연스럽게 안시성을 떠올리게 되면서 봉황성을 안시성으로 보는 견해가 생겨나게 된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비정은 병자호란(丙子胡亂) 이후 민족의식이 확대되면서 크게 유행하여 후대로 이어져 내려오게 되었다.[14]
영성자산성
그러나 17세기 중엽부터 남구만(南九萬), 김창업(金昌業) 등에 의해 봉황성설을 부정하는 견해들이 나타났다. 이들은 『대명일통지(大明一統志)』등에 나타나는 지리적인 문제점을 근거로 들었다. 이후 18세기에 들어오면서 박지원(朴趾源)이나 안정복(安鼎福) 역시 『당서(唐書)』 및 『한서(漢書)』의 지리지 기록 등을 인용하여 봉황성설의 오류를 지적하였으며, 안시성은 가이저우(蓋州) 일대에 있다고 주장하였다.
현재는 만주 봉천성(奉天省) 해성(海城)의 동남쪽에 있는 영성자산성(英城子山城)으로 추정하는 견해가 가장 유력하다.[15]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안시성 | 영성자산성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안시성 | 봉황성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안시성 | 탕지보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박창돈-안시성싸움 | 안시성전투 |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A ekc:depicts B |
박창돈-안시성싸움 | 양만춘 |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A ekc:depicts B |
박창돈-안시성싸움 | 안시성 | A는 B를 배경으로 한다 | A ekc:depicts B |
양만춘 | 안시성전투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안시성전투 | 안시성 | A는 B에서 일어났다 | A edm:happenedAt B |
포거 | 안시성전투 | A는 B에 사용되었다 | A ekc:isUsedIn B |
충거 | 안시성전투 | A는 B에 사용되었다 | A ekc:isUsedIn B |
연개소문 | 안시성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연개소문 | 안시성전투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공간정보
위도 | 경도 | 내용 |
---|---|---|
40.959522 | 122.835927 | 안시성은 영성자산성에 비정된다. |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안시성 모습.[16]
영상
주석
- ↑ "안시성",
『doopedia』online , 두산백과. - ↑ "안시성", 『문화콘텐츠닷컴 (문화원형 용어사전)』, 한국콘텐츠진흥원, 2012. 온라인 참조: "안시성", 문화원형 용어사전,
『네이버 백과사전』online . - ↑ "안시성", 디지털 삼국유사 사전, 박물지 시범개발,
『문화콘텐츠닷컴』online , 한국콘텐츠진흥원. - ↑ 지금의 만주 푸순(撫順) 부근
- ↑ 지금의 만주 랴오양(遼陽)
- ↑ 지금의 만주 가이핑(蓋平)
- ↑ 지금의 만주 푸순 부근
- ↑ 지금의 만주 랴오양 동남쪽
- ↑ 지금의 다롄만(大連灣) 북안(北岸)
- ↑ 지금의 만주 펑황(鳳凰) 남쪽에 있는 고려산성(高麗山城)
- ↑ 지금의 만주 지안현(集安縣)
- ↑ "안시성",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안시성",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안시성",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안시성",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임기환, "영성자산성",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