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탑비문 작업노트

"구례 화엄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관계정보)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2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4번째 줄: 14번째 줄:
 
|관리자= 구례 화엄사
 
|관리자= 구례 화엄사
 
|교구정보= [http://www.buddhism.or.kr 대한불교조계종]  
 
|교구정보= [http://www.buddhism.or.kr 대한불교조계종]  
|건립시기= 백제시대
+
|건립시기=  
|창건자= [[연기조사|연기조사(緣起祖師]]
+
|창건자= [[연기|연기(緣起)]]
 
|경내문화재= [[구례 화엄사 각황전]], [[구례 화엄사 각황전 앞 석등]], [[구례 화엄사 대웅전]], [[구례 화엄사 동 오층석탑]], [[구례 화엄사 서 오층석탑]], [[구례 화엄사 사사자 삼층석탑]], [[구례 화엄사 원통전 앞 사자탑]], [[구례 화엄사 화엄석경]], [[구례 화엄사 대웅전 삼신불탱]], [[구례 화엄사 보제루]], [[구례 화엄사 영산회괘불탱]], [[구례 화엄사 목조비로자나삼신불좌상]]
 
|경내문화재= [[구례 화엄사 각황전]], [[구례 화엄사 각황전 앞 석등]], [[구례 화엄사 대웅전]], [[구례 화엄사 동 오층석탑]], [[구례 화엄사 서 오층석탑]], [[구례 화엄사 사사자 삼층석탑]], [[구례 화엄사 원통전 앞 사자탑]], [[구례 화엄사 화엄석경]], [[구례 화엄사 대웅전 삼신불탱]], [[구례 화엄사 보제루]], [[구례 화엄사 영산회괘불탱]], [[구례 화엄사 목조비로자나삼신불좌상]]
 
}}
 
}}
23번째 줄: 23번째 줄:
  
 
=='''내용'''==
 
=='''내용'''==
 +
2009년 12월 21일 사적 제505호로 지정되었으며, 대한불교조계종 제19교구 본사다.<ref>"[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58602 화엄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화엄사 창건에 관한 여러 가지 설===
 +
# 『[[동국여지승람|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에 따르면, "시대는 분명하지 않으나, 연기(煙氣)라는 승려가 세웠다"고만 기록하고 있다.<ref>김상현,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4785 구례 화엄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해안|중관대사 해안(中觀大師 海眼)]]이 1636년([[조선 인조|인조]] 14년)에 쓴 『호남도구례현지리산대화엄사사적(湖南道求禮縣智異山大華嚴寺事蹟)』 등의 모든 사적기들은 “544년(진흥왕 5) 인도의 승려인 [[연기|연기조사(緣起祖師)]]가 세웠다”고 기록한다.<ref>김상현,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4785 구례 화엄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구례속지(求禮續誌)』에는 “[[신라 진흥왕|진흥왕]] 4년에 [[연기|연기조사]]가 세웠으며, [[백제 법왕]]이 3,000명의 승려를 주석하게 하였다”고 부연하고 있다.<ref>김상현,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4785 구례 화엄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그러나 삼국시대에는 백제 땅에 속했던 화엄사를 [[자장|자장(慈藏)]]이 중건할 수 있었을까 하는 점, 그리고 양식으로 보아 현존 화엄사의 석조물이 모두 8세기 후반부터 9세기에 걸쳐 조성되었다고 하는 점 등, 창건과 중건을 둘러싼 의문이 일찍부터 제기되어 왔다.<ref>김상현,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4785 구례 화엄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그러나 이와 같은 의문은 1978년 [[신라 경덕왕]] 대의 『신라백지묵서대방광불화엄경(新羅白紙墨書大方廣佛華嚴經)』이 발견되면서 완전히 풀렸다.
 +
이 사경의 발문에 따라 [[연기]]는 [[경주 황룡사|황룡사(皇龍寺)]]의 승려로서 754년([[신라 경덕왕|경덕왕]] 13) 8월부터 화엄경사경을 만들기 시작해 이듬해 2월 완성시켰던 실존 인물임이 밝혀졌다. 그리하여 창건 연대가 [[신라 진흥왕]](재위 540-576, 신라 제24대 왕) 때가 아닌 [[신라 경덕왕|경덕왕]](재위 742-765, 신라 제35대 왕) 때이고, 아울러 [[자장]] 및 [[의상]]의 중수 또한 사실이 아님이 입증되었다. 다만, 8세기보다 앞선 어느 시기부터 이 터에 가람이 있었고 그것이 [[연기|연기조사]] 대에 이르러 대가람으로 확장되었다고 볼 수도 있다.<ref>김상현,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4785 구례 화엄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역사===
 +
『[[사지|사지(寺誌)]]』에서는 당시의 화엄사는 가람 8원(院) 81암(庵) 규모의 대 사찰로 이른바 화엄 불국세계(佛國世界)를 이루었다고 한다. 신라 말기에는 [[도선|도선국사(道詵國師)]]가 중수하였고 고려시대에 네 차례 중수를 거쳐 보존되어 오다가 [[임진왜란]] 때 전소하고 승려들 또한 학살당하였다.<ref>"[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58602 화엄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
===화엄사의 특징===
 +
대개의 절은 대웅전을 중심으로 가람을 배치하지만, 이 절은 [[구례 화엄사 각황전|각황전(覺皇殿)]]이 중심을 이루어 비로자나불(毘盧遮那佛)을 주불(主佛)로 공양한다.<ref>"[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58602 화엄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
===경내 문화재===
 +
주요 문화재로는 국보 제12호인 [[구례 화엄사 각황전 앞 석등|석등(石燈)]], 국보 제35호인 [[구례 화엄사 사사자 삼층석탑|사사자삼층석탑(四獅子三層石塔)]], 국보 제67호인 [[구례 화엄사 각황전|각황전]]이 있으며, 보물 제132호인 [[구례 화엄사 동 오층석탑|동 오층석탑(東 五層石塔)]], 보물 제133호인 [[구례 화엄사 서 오층석탑|서 오층석탑(西 五層石塔)]], 보물 제300호인 [[구례 화엄사 원통전 앞 사자탑|원통전 앞 사자탑(獅子塔)]], 보물 제299호인 [[구례 화엄사 대웅전|대웅전]]이 있다. 부속 암자로는 구층암(九層庵)·금정암(金井庵)·지장암(地藏庵)이 있다.<ref>"[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58602 화엄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지식관계망'''==
 
=='''지식관계망'''==
 +
*'''구례 화엄사에서 구족계를 받은 형미의 지식관계망'''
 +
<html>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s://dh.aks.ac.kr/Encyves/Graph/D017/monk_hyeongmi.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
 
===관계정보===
 
===관계정보===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구례 화엄사]] || [[연기조사]] || A는 B가 창건하였다 || A ekc:founder B
+
| [[구례 화엄사]] || [[연기]] || A는 B가 창건하였다 || A ekc:founder B
 +
|-
 +
| [[구례 화엄사]] || [[각성]] || A는 B가 중창하였다 || A ekc:renovator B
 +
|-
 +
| [[도선]] || [[구례 화엄사]] || A는 B에서 출가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 [[형미]] || [[구례 화엄사]] || A는 B에서 계를 받았다 || A edm:isRelatedTo B
 +
|-
 +
| [[개청]] || [[구례 화엄사]] || A는 B에서 출가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구례 화엄사 각황전]] || [[구례 화엄사]] || A는 B에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구례 화엄사 각황전]] || [[구례 화엄사]] || A는 B에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 [[구례 화엄사 각황전 앞 석등]] || [[구례 화엄사]] || A는 B에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구례 화엄사 각황전 앞 석등]] || [[구례 화엄사]] || A는 B에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구례 화엄사 대웅전]] || [[구례 화엄사]] || A는 B에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 [[구례 화엄사 동 오층석탑]] || [[구례 화엄사]] || A는 B에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구례 화엄사 동 오층석탑]] || [[구례 화엄사]] || A는 B에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45번째 줄: 76번째 줄:
 
|-
 
|-
 
| [[구례 화엄사 원통전 앞 사자탑]] || [[구례 화엄사]] || A는 B에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구례 화엄사 원통전 앞 사자탑]] || [[구례 화엄사]] || A는 B에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구례 화엄사 대웅전 삼신불탱]] || [[구례 화엄사 대웅전]] || A는 B에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 [[구례 화엄사 보제루]] || [[구례 화엄사]] || A는 B에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구례 화엄사 보제루]] || [[구례 화엄사]] || A는 B에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 [[구례 화엄사 영산회괘불탱]] || [[구례 화엄사]] || A는 B에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구례 화엄사 영산회괘불탱]] || [[구례 화엄사]] || A는 B에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
| [[구례 화엄사 대웅전]] || [[구례 화엄사]] || A는 B에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
| [[구례 화엄사 대웅전 삼신불탱]] || [[구례 화엄사 대웅전]] || A는 B에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 [[구례 화엄사 목조비로자나삼신불좌상]] || [[구례 화엄사 대웅전]] || A는 B에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구례 화엄사 목조비로자나삼신불좌상]] || [[구례 화엄사 대웅전]] || A는 B에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59번째 줄: 92번째 줄:
 
!style="width:20%"|시간정보!!style="width:80%"|내용
 
!style="width:20%"|시간정보!!style="width:80%"|내용
 
|-
 
|-
| 7세기|| [[원효]]가 [[강진 무위사|무위사]]를 창건하였다
+
| || [[연기]]가 [[구례 화엄사|화엄사]]를 창건하였다
 
|-
 
|-
| 875년|| [[도선]]이 [[강진 무위사|무위사]]를 중건하여 '갈옥사'라고 개칭하였다
+
|2009년 || 사적 제505호로 지정되었다
|-
 
| 905년|| [[혜근]]이 3창하였다
 
|-
 
| 905년|| [[형미]]가 당에서 귀국하여 무위사에 머물면서 선풍을 일으켰다
 
|-
 
| 1407년|| [[강진 무위사|무위사]]가 [[천태종]] 17개의 [[자복사찰|자복사(資福寺)]] 중의 하나가 되었다
 
|-
 
| 1430년|| [[강진 무위사 극락전|극락전]]을 지었다
 
|-
 
| 1555년|| 태감(太甘)이 4창하면서 '무위사'라 하였다
 
 
|}
 
|}
  
 
=='''시각자료'''==
 
=='''시각자료'''==
 +
===가상현실===
 +
<html>
 +
<iframe width="100%" height="600" src="https://dh.aks.ac.kr/Encyves/Pavilions/D028/hwaeomsa.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br/>
 +
{{clickable button|[https://dh.aks.ac.kr/Encyves/Pavilions/D028/hwaeomsa.htm 가상 현실 - 전체 화면 보기]}}
  
 
===영상===
 
===영상===
86번째 줄: 114번째 줄:
  
 
=='''참고문헌'''==
 
=='''참고문헌'''==
 
+
* "[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58602 화엄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 김상현,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4785 구례 화엄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승탑비문 Top icon}}
 
{{승탑비문 Top icon}}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분류:사찰]] [[분류:승탑/검토요청]]
+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분류:사찰]]

2024년 4월 12일 (금) 00:31 기준 최신판

구례 화엄사
(求禮 華嚴寺)
대표명칭 구례 화엄사
영문명칭 Hwaeomsa Temple, Gurye
한자 求禮 華嚴寺
주소 전라남도 구례군 마산면 화엄사로 539
문화재 지정번호 사적 제505호
문화재 지정일 2009년 12월 21일
관리자 구례 화엄사
교구정보 대한불교조계종
창건자 연기(緣起)
경내문화재 구례 화엄사 각황전, 구례 화엄사 각황전 앞 석등, 구례 화엄사 대웅전, 구례 화엄사 동 오층석탑, 구례 화엄사 서 오층석탑, 구례 화엄사 사사자 삼층석탑, 구례 화엄사 원통전 앞 사자탑, 구례 화엄사 화엄석경, 구례 화엄사 대웅전 삼신불탱, 구례 화엄사 보제루, 구례 화엄사 영산회괘불탱, 구례 화엄사 목조비로자나삼신불좌상



정의

전라남도 구례군 마산면에 위치한 사찰로, 대한불교조계종 제19교구 본사이다.

내용

2009년 12월 21일 사적 제505호로 지정되었으며, 대한불교조계종 제19교구 본사다.[1]

화엄사 창건에 관한 여러 가지 설

  1.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에 따르면, "시대는 분명하지 않으나, 연기(煙氣)라는 승려가 세웠다"고만 기록하고 있다.[2]
  2. 중관대사 해안(中觀大師 海眼)이 1636년(인조 14년)에 쓴 『호남도구례현지리산대화엄사사적(湖南道求禮縣智異山大華嚴寺事蹟)』 등의 모든 사적기들은 “544년(진흥왕 5) 인도의 승려인 연기조사(緣起祖師)가 세웠다”고 기록한다.[3]
  3. 『구례속지(求禮續誌)』에는 “진흥왕 4년에 연기조사가 세웠으며, 백제 법왕이 3,000명의 승려를 주석하게 하였다”고 부연하고 있다.[4]

그러나 삼국시대에는 백제 땅에 속했던 화엄사를 자장(慈藏)이 중건할 수 있었을까 하는 점, 그리고 양식으로 보아 현존 화엄사의 석조물이 모두 8세기 후반부터 9세기에 걸쳐 조성되었다고 하는 점 등, 창건과 중건을 둘러싼 의문이 일찍부터 제기되어 왔다.[5]

그러나 이와 같은 의문은 1978년 신라 경덕왕 대의 『신라백지묵서대방광불화엄경(新羅白紙墨書大方廣佛華嚴經)』이 발견되면서 완전히 풀렸다. 이 사경의 발문에 따라 연기황룡사(皇龍寺)의 승려로서 754년(경덕왕 13) 8월부터 화엄경사경을 만들기 시작해 이듬해 2월 완성시켰던 실존 인물임이 밝혀졌다. 그리하여 창건 연대가 신라 진흥왕(재위 540-576, 신라 제24대 왕) 때가 아닌 경덕왕(재위 742-765, 신라 제35대 왕) 때이고, 아울러 자장의상의 중수 또한 사실이 아님이 입증되었다. 다만, 8세기보다 앞선 어느 시기부터 이 터에 가람이 있었고 그것이 연기조사 대에 이르러 대가람으로 확장되었다고 볼 수도 있다.[6]

역사

사지(寺誌)』에서는 당시의 화엄사는 가람 8원(院) 81암(庵) 규모의 대 사찰로 이른바 화엄 불국세계(佛國世界)를 이루었다고 한다. 신라 말기에는 도선국사(道詵國師)가 중수하였고 고려시대에 네 차례 중수를 거쳐 보존되어 오다가 임진왜란 때 전소하고 승려들 또한 학살당하였다.[7]

화엄사의 특징

대개의 절은 대웅전을 중심으로 가람을 배치하지만, 이 절은 각황전(覺皇殿)이 중심을 이루어 비로자나불(毘盧遮那佛)을 주불(主佛)로 공양한다.[8]

경내 문화재

주요 문화재로는 국보 제12호인 석등(石燈), 국보 제35호인 사사자삼층석탑(四獅子三層石塔), 국보 제67호인 각황전이 있으며, 보물 제132호인 동 오층석탑(東 五層石塔), 보물 제133호인 서 오층석탑(西 五層石塔), 보물 제300호인 원통전 앞 사자탑(獅子塔), 보물 제299호인 대웅전이 있다. 부속 암자로는 구층암(九層庵)·금정암(金井庵)·지장암(地藏庵)이 있다.[9]

지식관계망

  • 구례 화엄사에서 구족계를 받은 형미의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구례 화엄사 연기 A는 B가 창건하였다 A ekc:founder B
구례 화엄사 각성 A는 B가 중창하였다 A ekc:renovator B
도선 구례 화엄사 A는 B에서 출가하였다 A edm:isRelatedTo B
형미 구례 화엄사 A는 B에서 계를 받았다 A edm:isRelatedTo B
개청 구례 화엄사 A는 B에서 출가하였다 A edm:isRelatedTo B
구례 화엄사 각황전 구례 화엄사 A는 B에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구례 화엄사 각황전 앞 석등 구례 화엄사 A는 B에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구례 화엄사 동 오층석탑 구례 화엄사 A는 B에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구례 화엄사 서 오층석탑 구례 화엄사 A는 B에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구례 화엄사 사사자 삼층석탑 구례 화엄사 A는 B에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구례 화엄사 원통전 앞 사자탑 구례 화엄사 A는 B에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구례 화엄사 보제루 구례 화엄사 A는 B에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구례 화엄사 영산회괘불탱 구례 화엄사 A는 B에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구례 화엄사 대웅전 구례 화엄사 A는 B에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구례 화엄사 대웅전 삼신불탱 구례 화엄사 대웅전 A는 B에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구례 화엄사 목조비로자나삼신불좌상 구례 화엄사 대웅전 A는 B에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연기화엄사를 창건하였다
2009년 사적 제505호로 지정되었다

시각자료

가상현실


가상 현실 - 전체 화면 보기

영상

  • 대한불교조계종조계사, "구례 화엄사", YouTube, 게시일: 2012년 7월 13일.

주석

  1. "화엄사", 『두산백과』online.
  2. 김상현, "구례 화엄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3. 김상현, "구례 화엄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4. 김상현, "구례 화엄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5. 김상현, "구례 화엄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6. 김상현, "구례 화엄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7. "화엄사", 『두산백과』online.
  8. "화엄사", 『두산백과』online.
  9. "화엄사", 『두산백과』online.

참고문헌

  • "화엄사", 『두산백과』online.
  • 김상현, "구례 화엄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