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효종"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지식 관계망)
 
(사용자 5명의 중간 판 1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궁중기록화관 Top icon}}
+
{{인물정보
{{궁중인물정보
 
 
|사진=  
 
|사진=  
 
|사진출처=  
 
|사진출처=  
 
|대표명칭= 효종
 
|대표명칭= 효종
 
|한자표기= 孝宗
 
|한자표기= 孝宗
|작위명= [[왕]]
+
|영문명칭=
|이칭별칭= 휘 호(淏), 자 정연(靜淵)
+
|본관= 전주 이씨(全州 李氏)
|재위기간= 1649년 5월 13일-1659년 5월 4일(음)
+
|이칭=
|출생사망= 1619년 5월 22일-1659년 5월 4일(음)
+
|시호=  
|능묘= 경기도 여주시 능서면 영릉로 269-50 영릉(寧陵)[https://www.google.co.kr/maps/place/%ED%9A%A8%EC%A2%85%EB%8C%80%EC%99%95%EB%A6%89/@37.312855,127.6066434,17z/data=!3m1!4b1!4m5!3m4!1s0x35635dba48c30817:0x373e9094ba1d184!8m2!3d37.312855!4d127.6088321 37.312906, 127.608854]
+
|= '''''' 호(淏)  
 +
|= 정연(靜淵)
 +
|생년= 1619년 5월 22일
 +
|몰년= 1659년 5월 4일(음) <br /> '''재위''' 1649년 5월 13일-1659년 5월 4일(음)
 +
|출생지 = 조선 한성부 경행방 향교동 본궁
 +
|사망지 = [[창덕궁 대조전|창덕궁 대조전(昌德宮 大造殿)]]
 +
|시대 = 조선
 +
|국적=
 +
|대표저서=
 +
|대표직함= [[왕]]
 +
|배우자=
 +
|부= [[인조|인조(仁祖)]]
 +
|모= [[인렬왕후|인렬왕후(仁烈王后)]]
 
|자녀= 1남 7녀, [[숙신공주|숙신공주(淑愼公主)]], [[숙안공주|숙안공주(淑安公主)]], [[숙명공주|숙명공주(淑明公主)]], [[현종|현종(顯宗)]], [[숙휘공주|숙휘공주(淑徽公主)]], [[숙정공주|숙정공주(淑靜公主)]], [[숙경공주|숙경공주(淑敬公主)]], [[의순공주|(義順公主)]], [[숙녕옹주|숙녕옹주(肅寧翁主)]]
 
|자녀= 1남 7녀, [[숙신공주|숙신공주(淑愼公主)]], [[숙안공주|숙안공주(淑安公主)]], [[숙명공주|숙명공주(淑明公主)]], [[현종|현종(顯宗)]], [[숙휘공주|숙휘공주(淑徽公主)]], [[숙정공주|숙정공주(淑靜公主)]], [[숙경공주|숙경공주(淑敬公主)]], [[의순공주|(義順公主)]], [[숙녕옹주|숙녕옹주(肅寧翁主)]]
|부친= [[인조|인조(仁祖)]]
+
|전임자= [[인조|인조(仁祖)]]
|= [[인렬왕후|인렬왕후(仁烈王后)]]
+
|후임자= [[현종|현종(顯宗)]]
|전임자= 인조
+
|상훈=
|후임자= 현종
+
|능묘= 경기도 여주시 능서면 영릉로 269-50 영릉(寧陵) [https://www.google.co.kr/maps/place/%ED%9A%A8%EC%A2%85%EB%8C%80%EC%99%95%EB%A6%89/@37.312855,127.6066434,17z/data=!3m1!4b1!4m5!3m4!1s0x35635dba48c30817:0x373e9094ba1d184!8m2!3d37.312855!4d127.6088321 37.312906, 127.608854]
 +
|성격= 인물
 +
|유형= [[왕]]
 
}}
 
}}
  
 
=='''정의'''==
 
=='''정의'''==
조선의 제 17대 왕으로, 서인 산림세력을 임용하였으며, 북벌을 추진하였다.
+
조선의 제 17대 왕이다.  
  
 
=='''내용'''==
 
=='''내용'''==
 +
서인 산림세력을 임용하였으며, 북벌을 추진하였다.
 +
 
===생애===
 
===생애===
1649년(광해군 11) 향교동(鄕校洞)에서 태어났으며, [[인조]]가 즉위한 뒤 1626년(인조 4) [[봉림대군|봉림대군(鳳林大君)]]으로 봉해졌다.<ref>『孝宗實錄』: 「行狀」</ref>  [[병자호란]] 이후 [[소현세자|소현세자(昭顯世子)]]와 함께 청(淸)에 볼모로 끌려갔다.<ref>『仁祖實錄』 15년(1637) 2월 戊寅: 「九王撤兵還以王世子及嬪宮鳳林大君及夫人西行」</ref> 억류가 풀려 귀국한 뒤 1645년(인조 23)[[소현세자]]가 죽어 [[창경궁 명정전|창덕궁 명정전]]에서 [[왕세자]]로 책봉되었다.<ref>『仁祖實錄』 23년(1645) 9월 乙亥: 「冊鳳林大君爲王世子夫人張氏爲世子嬪」</ref> 1649년(인조 27) [[인조]]가 죽자 [[창덕궁 인정문]]에서 즉위했다.<ref>『孝宗實錄』 즉위년(1645) 5월 辛未: 「大臣禮官三司請嗣位王號泣不聽」</ref>  [[효종]]은 즉위 초기부터 친청파를 멀리하고 성리학적 의리명분을 내세웠다. 이 과정에서 친청파였던 [[김자점|김자점(金自點)]] 등이 제거되었다.<ref>『孝宗實錄』 즉위년(1645) 6월 庚戌: 「兩司合啓曰」</ref> 북벌대의를 천명하여 [[김상헌|김상헌(金尙憲)]], [[송시열|송시열(宋時烈)]] 등을 중용하였으며 군역(軍役)의 개정 또한 이 시기에 이루어졌다.<ref>지두환, 『조선시대정치사』 2, 역사문화, 2013, 80쪽.</ref> 재위기간 동안은 표면적으로 계속하여 북벌을 내세워 이로 인하여 산림들이 대거 임용되었고 무신 [[이완|이완(李浣)]] 등을 중요한 자리에 임용해 군비를 정비했다.<ref>『孝宗實錄』 3년(1652) 5월 戊戌: 「以南銑爲刑曹判書李浣爲兵曹參判皆特授也」</ref> 그러나 [[송시열]] 등의 척화파들도 북벌을 반대했는데, 복수설치(復讎雪恥) 보다는 민생안정이 우선이라는 이유였다.<ref>『宋子大全』 卷5, 「封事」, “己丑封事”.</ref> 북벌논의는 [[효종]]이 죽고 점차 축소되었다.  
+
1649년(광해군 11) 향교동(鄕校洞) [[어의궁]]에서 태어났으며, [[인조]]가 즉위한 뒤 1626년(인조 4) [[봉림대군|봉림대군(鳳林大君)]]으로 봉해졌다.<ref>『孝宗實錄』: 「行狀」</ref>  [[병자호란]] 이후 1637년(인조 15)에 [[소현세자|소현세자(昭顯世子)]]와 함께 청(淸)에 볼모로 끌려갔다.<ref>『仁祖實錄』 15년(1637) 2월 戊寅: 「九王撤兵還以王世子及嬪宮鳳林大君及夫人西行」</ref> 1645년(인조 23) 2월에 먼저 귀국한 [[소현세자]]가 급서하였다. 서둘러 귀국한 효종은 [[창경궁 명정전|창덕궁 명정전]]에서 [[왕세자]]로 책봉되었다.<ref>『仁祖實錄』 23년(1645) 9월 乙亥: 「冊鳳林大君爲王世子夫人張氏爲世子嬪」</ref> 1649년(인조 27) [[인조]]가 죽자 [[창덕궁 인정문]]에서 즉위하였다.<ref>『孝宗實錄』 즉위년(1645) 5월 辛未: 「大臣禮官三司請嗣位王號泣不聽」</ref>  [[효종]]은 즉위 초기부터 친청파를 멀리하고 성리학적 의리명분을 내세웠다. 이 과정에서 친청파였던 [[김자점|김자점(金自點)]] 등이 제거되었다.<ref>『孝宗實錄』 즉위년(1645) 6월 庚戌: 「兩司合啓曰」</ref> 북벌대의를 천명하여 [[김상헌|김상헌(金尙憲)]], [[송시열|송시열(宋時烈)]] 등을 중용하였으며 군역(軍役)의 개정 또한 이 시기에 이루어졌다.<ref>지두환, 『조선시대정치사』 2, 역사문화, 2013, 80쪽.</ref> 재위기간 동안 표면적으로는 계속하여 북벌을 내세웠다. 이로 인하여 서인인 산림들이 대거 임용되었고 무신 [[이완|이완(李浣)]] 등을 중요한 자리에 임용해 군비를 정비했다.<ref>『孝宗實錄』 3년(1652) 5월 戊戌: 「以南銑爲刑曹判書李浣爲兵曹參判皆特授也」</ref> 그러나 [[송시열]] 등의 척화파들도복수설치(復讎雪恥)보다는 민생안정이 우선이라는 이유로 북벌을 반대하였다.<ref>『宋子大全』 卷5, 「封事」, “己丑封事”.</ref> 북벌논의는 [[효종]]이 죽고 점차 축소되었다.  
 
   
 
   
 
===사후===
 
===사후===
경기도 여주시에 효종과 인선왕후의 '영릉(寧陵)'이 있는데, 1970년 5월 27일 [[세종]]의 능인 '영릉(英陵)'과 함께 사적 제 195호로 지정되었다.<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3,01950000,31 여주 영릉]", 문화재 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재청』<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
경기도 여주시에 [[효종]]과 [[인선왕후]]의 '영릉(寧陵)'이 있다. 1970년 5월 27일 [[세종]]의 능인 '영릉(英陵)'과 함께 사적 제 195호로 지정되었다.<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3,01950000,31 여주 영릉]", 문화재 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재청』<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거행 의례===
 
===거행 의례===
32번째 줄: 47번째 줄:
  
 
=='''지식 관계망'''==
 
=='''지식 관계망'''==
 +
* '''[http://dh.aks.ac.kr/Encyves/Graph/A024/A024.htm 어제자성편 언해 지식관계망]'''
 +
* '''[http://dh.aks.ac.kr/Encyves/Graph/A147/A147.htm 현종이 숙명공주에게 보낸 한글편지 지식관계망]'''
 +
* '''[http://dh.aks.ac.kr/Encyves/Graph/A146/A146.htm 효종이 숙명공주에게 보낸 한글편지 지식관계망]'''
 +
* '''[http://dh.aks.ac.kr/Encyves/Graph/A206/A206.htm 구곡가계로 보는 이황화 이이 지식관계망]'''
 +
* '''[http://dh.aks.ac.kr/Encyves/Graph/A049/A049.htm 산성일기 지식관계망]'''
 +
 
===관계정보===
 
===관계정보===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54번째 줄: 75번째 줄:
 
===공간정보===
 
===공간정보===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style="width:20%px"|장소!!style="width:80%px"|내용
+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
 
|-
| [[창경궁 명정전|창덕궁 명정전]] || [[효종]]의 [[책례]]를 거행하였다   
+
| 37.580898 || 126.994425 || [[창경궁 명정전]]에서 [[효종]]의 [[책례]]를 거행하였다   
 
|-
 
|-
| [[창덕궁 인정문]] || [[효종]]의 즉위식을 거행하였다   
+
| 37.578814 || 126.991084 || [[창덕궁 인정문]]에서 [[효종]]의 즉위식을 거행하였다   
 
|}
 
|}
  
64번째 줄: 85번째 줄:
 
===갤러리===
 
===갤러리===
 
<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250px>
 
<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250px>
파일:궁중기록화 인물 왕 효종 영릉 문화재청.jpg|효종의 영릉 전경.<ref>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Directory_Image.jsp?VdkVgwKey=13,01950000,31&imgfname=1625561.jpg&dirname=history_site&photoname=%EC%98%81%EB%A6%89%EC%A0%84%EA%B2%BD-%ED%9A%A8%EC%A2%85%EB%8C%80%EC%99%95&photoid=1625561#pr2 여주 영릉]", 문화재 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재청』<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
파일:궁중기록화 인물 왕 효종 영릉 문화재청.jpg|효종과 인선왕후의 능인 영릉.<ref>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Directory_Image.jsp?VdkVgwKey=13,01950000,31&imgfname=1625561.jpg&dirname=history_site&photoname=%EC%98%81%EB%A6%89%EC%A0%84%EA%B2%BD-%ED%9A%A8%EC%A2%85%EB%8C%80%EC%99%95&photoid=1625561#pr2 여주 영릉]", 문화재 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재청』<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gallery>
 
</gallery>
 
===영상===
 
  
 
=='''주석'''==
 
=='''주석'''==
83번째 줄: 102번째 줄:
 
* 지두환, 『조선시대정치사』 2, 역사문화, 2013.
 
* 지두환, 『조선시대정치사』 2, 역사문화, 2013.
 
* 허태용, 「17, 18세기 북벌론의 추이와 북학론의 대두」, 『大東文化硏究』 69,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0.
 
* 허태용, 「17, 18세기 북벌론의 추이와 북학론의 대두」, 『大東文化硏究』 69,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0.
한국역사연구회 17세기정치사연구반, 『조선중기 정치와 정책: 인조~현종 시기』, 아카넷, 2003.
+
* 한국역사연구회 17세기정치사연구반, 『조선중기 정치와 정책: 인조~현종 시기』, 아카넷, 2003.
 +
 
 
===더 읽을거리===
 
===더 읽을거리===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8222 효종]",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8222 효종]",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http://contents.koreanhistory.or.kr/id/N0109 효종]", <html><online style="color:purple">, 콘텐츠 검색, 『한국사콘텐츠』<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
 
* "[http://contents.koreanhistory.or.kr/id/N0109 효종]", <html><online style="color:purple">, 콘텐츠 검색, 『한국사콘텐츠』<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
 
===유용한 정보===
 
  
 
[[분류:궁중기록화]]  
 
[[분류:궁중기록화]]  
 
[[분류:인물]]
 
[[분류:인물]]

2017년 11월 13일 (월) 21:53 기준 최신판

효종(孝宗)
대표명칭 효종
한자표기 孝宗
생몰년 1619년 5월 22일-1659년 5월 4일(음)
재위 1649년 5월 13일-1659년 5월 4일(음)
본관 전주 이씨(全州 李氏)
호(淏)
정연(靜淵)
출생지 조선 한성부 경행방 향교동 본궁
사망지 창덕궁 대조전(昌德宮 大造殿)
시대 조선
대표직함
인조(仁祖)
인렬왕후(仁烈王后)
자녀 1남 7녀, 숙신공주(淑愼公主), 숙안공주(淑安公主), 숙명공주(淑明公主), 현종(顯宗), 숙휘공주(淑徽公主), 숙정공주(淑靜公主), 숙경공주(淑敬公主), (義順公主), 숙녕옹주(肅寧翁主)
전임자 인조(仁祖)
후임자 현종(顯宗)
능묘 경기도 여주시 능서면 영릉로 269-50 영릉(寧陵) 37.312906, 127.608854
성격 인물
유형



정의

조선의 제 17대 왕이다.

내용

서인 산림세력을 임용하였으며, 북벌을 추진하였다.

생애

1649년(광해군 11) 향교동(鄕校洞) 어의궁에서 태어났으며, 인조가 즉위한 뒤 1626년(인조 4) 봉림대군(鳳林大君)으로 봉해졌다.[1] 병자호란 이후 1637년(인조 15)에 소현세자(昭顯世子)와 함께 청(淸)에 볼모로 끌려갔다.[2] 1645년(인조 23) 2월에 먼저 귀국한 소현세자가 급서하였다. 서둘러 귀국한 효종은 창덕궁 명정전에서 왕세자로 책봉되었다.[3] 1649년(인조 27) 인조가 죽자 창덕궁 인정문에서 즉위하였다.[4] 효종은 즉위 초기부터 친청파를 멀리하고 성리학적 의리명분을 내세웠다. 이 과정에서 친청파였던 김자점(金自點) 등이 제거되었다.[5] 북벌대의를 천명하여 김상헌(金尙憲), 송시열(宋時烈) 등을 중용하였으며 군역(軍役)의 개정 또한 이 시기에 이루어졌다.[6] 재위기간 동안 표면적으로는 계속하여 북벌을 내세웠다. 이로 인하여 서인인 산림들이 대거 임용되었고 무신 이완(李浣) 등을 중요한 자리에 임용해 군비를 정비했다.[7] 그러나 송시열 등의 척화파들도복수설치(復讎雪恥)보다는 민생안정이 우선이라는 이유로 북벌을 반대하였다.[8] 북벌논의는 효종이 죽고 점차 축소되었다.

사후

경기도 여주시에 효종인선왕후의 '영릉(寧陵)'이 있다. 1970년 5월 27일 세종의 능인 '영릉(英陵)'과 함께 사적 제 195호로 지정되었다.[9]

거행 의례

효종왕세자급빈궁책례도감의궤[10] 인선왕후책례도감의궤[11]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조선 효종 인선왕후 A는 B의 남편이다 A ekc:hasWife B
조선 효종 A는 B에 해당한다 A dcterms:type B
조선 효종 책례 A는 B를 거행하였다 A ekc:participates B

시간정보

시간 내용
1645년 9월 27일 효종책례를 거행하였다
1649년 5월 13일 효종은 즉위식을 거행하였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7.580898 126.994425 창경궁 명정전에서 효종책례를 거행하였다
37.578814 126.991084 창덕궁 인정문에서 효종의 즉위식을 거행하였다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1. 『孝宗實錄』: 「行狀」
  2. 『仁祖實錄』 15년(1637) 2월 戊寅: 「九王撤兵還以王世子及嬪宮鳳林大君及夫人西行」
  3. 『仁祖實錄』 23년(1645) 9월 乙亥: 「冊鳳林大君爲王世子夫人張氏爲世子嬪」
  4. 『孝宗實錄』 즉위년(1645) 5월 辛未: 「大臣禮官三司請嗣位王號泣不聽」
  5. 『孝宗實錄』 즉위년(1645) 6월 庚戌: 「兩司合啓曰」
  6. 지두환, 『조선시대정치사』 2, 역사문화, 2013, 80쪽.
  7. 『孝宗實錄』 3년(1652) 5월 戊戌: 「以南銑爲刑曹判書李浣爲兵曹參判皆特授也」
  8. 『宋子大全』 卷5, 「封事」, “己丑封事”.
  9. "여주 영릉", 문화재 검색, 『문화재청』online, 문화재청.
  10. "효종왕세자급빈궁책례도감의궤", 의궤 검색, 『규장각』online, 규장각한국학연구원.
  11. "인선왕후책례도감의궤", 의궤 검색, 『규장각』online, 규장각한국학연구원.
  12. "여주 영릉", 문화재 검색, 『문화재청』online, 문화재청.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광해군일기』
  • 『인조실록』
  • 『효종실록』
  • 『송자대전』
  • 송양섭, 「효종의 북벌구상과 군비증강책」, 『한국인물사연구』 7, 한국인물사연구소, 2007.
  • 이정철, 『대동법: 조선 최고의 개혁』, 역사비평사, 2010.
  • 이희환, 「효종대의 정국과 북벌론」, 『전북사학』 42, 전북사학회, 2013.
  • 지두환, 『조선시대정치사』 2, 역사문화, 2013.
  • 허태용, 「17, 18세기 북벌론의 추이와 북학론의 대두」, 『大東文化硏究』 69,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0.
  • 한국역사연구회 17세기정치사연구반, 『조선중기 정치와 정책: 인조~현종 시기』, 아카넷, 2003.

더 읽을거리

  • "효종",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효종", , 콘텐츠 검색, 『한국사콘텐츠』online, 국사편찬위원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