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효종"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지식 관계망) |
|||
(사용자 5명의 중간 판 1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 | + | {{인물정보 |
− | |||
|사진= | |사진= | ||
|사진출처= | |사진출처= | ||
|대표명칭= 효종 | |대표명칭= 효종 | ||
|한자표기= 孝宗 | |한자표기= 孝宗 | ||
− | | | + | |영문명칭= |
− | | | + | |본관= 전주 이씨(全州 李氏) |
− | | | + | |이칭= |
− | + | |시호= | |
− | | | + | |호= '''휘''' 호(淏) |
+ | |자= 정연(靜淵) | ||
+ | |생년= 1619년 5월 22일 | ||
+ | |몰년= 1659년 5월 4일(음) <br /> '''재위''' 1649년 5월 13일-1659년 5월 4일(음) | ||
+ | |출생지 = 조선 한성부 경행방 향교동 본궁 | ||
+ | |사망지 = [[창덕궁 대조전|창덕궁 대조전(昌德宮 大造殿)]] | ||
+ | |시대 = 조선 | ||
+ | |국적= | ||
+ | |대표저서= | ||
+ | |대표직함= [[왕]] | ||
+ | |배우자= | ||
+ | |부= [[인조|인조(仁祖)]] | ||
+ | |모= [[인렬왕후|인렬왕후(仁烈王后)]] | ||
|자녀= 1남 7녀, [[숙신공주|숙신공주(淑愼公主)]], [[숙안공주|숙안공주(淑安公主)]], [[숙명공주|숙명공주(淑明公主)]], [[현종|현종(顯宗)]], [[숙휘공주|숙휘공주(淑徽公主)]], [[숙정공주|숙정공주(淑靜公主)]], [[숙경공주|숙경공주(淑敬公主)]], [[의순공주|(義順公主)]], [[숙녕옹주|숙녕옹주(肅寧翁主)]] | |자녀= 1남 7녀, [[숙신공주|숙신공주(淑愼公主)]], [[숙안공주|숙안공주(淑安公主)]], [[숙명공주|숙명공주(淑明公主)]], [[현종|현종(顯宗)]], [[숙휘공주|숙휘공주(淑徽公主)]], [[숙정공주|숙정공주(淑靜公主)]], [[숙경공주|숙경공주(淑敬公主)]], [[의순공주|(義順公主)]], [[숙녕옹주|숙녕옹주(肅寧翁主)]] | ||
− | | | + | |전임자= [[인조|인조(仁祖)]] |
− | | | + | |후임자= [[현종|현종(顯宗)]] |
− | | | + | |상훈= |
− | | | + | |능묘= 경기도 여주시 능서면 영릉로 269-50 영릉(寧陵) [https://www.google.co.kr/maps/place/%ED%9A%A8%EC%A2%85%EB%8C%80%EC%99%95%EB%A6%89/@37.312855,127.6066434,17z/data=!3m1!4b1!4m5!3m4!1s0x35635dba48c30817:0x373e9094ba1d184!8m2!3d37.312855!4d127.6088321 37.312906, 127.608854] |
+ | |성격= 인물 | ||
+ | |유형= [[왕]] | ||
}} | }} | ||
=='''정의'''== | =='''정의'''== | ||
− | 조선의 제 17대 | + | 조선의 제 17대 왕이다. |
=='''내용'''== | =='''내용'''== | ||
+ | 서인 산림세력을 임용하였으며, 북벌을 추진하였다. | ||
+ | |||
===생애=== | ===생애=== | ||
− | 1649년(광해군 11) 향교동(鄕校洞)에서 태어났으며, [[인조]]가 즉위한 뒤 1626년(인조 4) [[봉림대군|봉림대군(鳳林大君)]]으로 봉해졌다.<ref>『孝宗實錄』: 「行狀」</ref> [[병자호란]] 이후 [[소현세자|소현세자(昭顯世子)]]와 함께 청(淸)에 볼모로 끌려갔다.<ref>『仁祖實錄』 15년(1637) 2월 戊寅: 「九王撤兵還以王世子及嬪宮鳳林大君及夫人西行」</ref> | + | 1649년(광해군 11) 향교동(鄕校洞) [[어의궁]]에서 태어났으며, [[인조]]가 즉위한 뒤 1626년(인조 4) [[봉림대군|봉림대군(鳳林大君)]]으로 봉해졌다.<ref>『孝宗實錄』: 「行狀」</ref> [[병자호란]] 이후 1637년(인조 15)에 [[소현세자|소현세자(昭顯世子)]]와 함께 청(淸)에 볼모로 끌려갔다.<ref>『仁祖實錄』 15년(1637) 2월 戊寅: 「九王撤兵還以王世子及嬪宮鳳林大君及夫人西行」</ref> 1645년(인조 23) 2월에 먼저 귀국한 [[소현세자]]가 급서하였다. 서둘러 귀국한 효종은 [[창경궁 명정전|창덕궁 명정전]]에서 [[왕세자]]로 책봉되었다.<ref>『仁祖實錄』 23년(1645) 9월 乙亥: 「冊鳳林大君爲王世子夫人張氏爲世子嬪」</ref> 1649년(인조 27) [[인조]]가 죽자 [[창덕궁 인정문]]에서 즉위하였다.<ref>『孝宗實錄』 즉위년(1645) 5월 辛未: 「大臣禮官三司請嗣位王號泣不聽」</ref> [[효종]]은 즉위 초기부터 친청파를 멀리하고 성리학적 의리명분을 내세웠다. 이 과정에서 친청파였던 [[김자점|김자점(金自點)]] 등이 제거되었다.<ref>『孝宗實錄』 즉위년(1645) 6월 庚戌: 「兩司合啓曰」</ref> 북벌대의를 천명하여 [[김상헌|김상헌(金尙憲)]], [[송시열|송시열(宋時烈)]] 등을 중용하였으며 군역(軍役)의 개정 또한 이 시기에 이루어졌다.<ref>지두환, 『조선시대정치사』 2, 역사문화, 2013, 80쪽.</ref> 재위기간 동안 표면적으로는 계속하여 북벌을 내세웠다. 이로 인하여 서인인 산림들이 대거 임용되었고 무신 [[이완|이완(李浣)]] 등을 중요한 자리에 임용해 군비를 정비했다.<ref>『孝宗實錄』 3년(1652) 5월 戊戌: 「以南銑爲刑曹判書李浣爲兵曹參判皆特授也」</ref> 그러나 [[송시열]] 등의 척화파들도복수설치(復讎雪恥)보다는 민생안정이 우선이라는 이유로 북벌을 반대하였다.<ref>『宋子大全』 卷5, 「封事」, “己丑封事”.</ref> 북벌논의는 [[효종]]이 죽고 점차 축소되었다. |
===사후=== | ===사후=== | ||
− | 경기도 여주시에 | + | 경기도 여주시에 [[효종]]과 [[인선왕후]]의 '영릉(寧陵)'이 있다. 1970년 5월 27일 [[세종]]의 능인 '영릉(英陵)'과 함께 사적 제 195호로 지정되었다.<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3,01950000,31 여주 영릉]", 문화재 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재청』<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
===거행 의례=== | ===거행 의례=== | ||
32번째 줄: | 47번째 줄: | ||
=='''지식 관계망'''== | =='''지식 관계망'''== | ||
+ | * '''[http://dh.aks.ac.kr/Encyves/Graph/A024/A024.htm 어제자성편 언해 지식관계망]''' | ||
+ | * '''[http://dh.aks.ac.kr/Encyves/Graph/A147/A147.htm 현종이 숙명공주에게 보낸 한글편지 지식관계망]''' | ||
+ | * '''[http://dh.aks.ac.kr/Encyves/Graph/A146/A146.htm 효종이 숙명공주에게 보낸 한글편지 지식관계망]''' | ||
+ | * '''[http://dh.aks.ac.kr/Encyves/Graph/A206/A206.htm 구곡가계로 보는 이황화 이이 지식관계망]''' | ||
+ | * '''[http://dh.aks.ac.kr/Encyves/Graph/A049/A049.htm 산성일기 지식관계망]''' | ||
+ | |||
===관계정보=== | ===관계정보===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
54번째 줄: | 75번째 줄: | ||
===공간정보=== | ===공간정보===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
− | !style="width: | + |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
|- | |- | ||
− | | [[창경궁 | + | | 37.580898 || 126.994425 || [[창경궁 명정전]]에서 [[효종]]의 [[책례]]를 거행하였다 |
|- | |- | ||
− | | [[창덕궁 인정문]] | + | | 37.578814 || 126.991084 || [[창덕궁 인정문]]에서 [[효종]]의 즉위식을 거행하였다 |
|} | |} | ||
64번째 줄: | 85번째 줄: | ||
===갤러리=== | ===갤러리=== | ||
<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250px> | <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250px> | ||
− | 파일:궁중기록화 인물 왕 효종 영릉 문화재청.jpg| | + | 파일:궁중기록화 인물 왕 효종 영릉 문화재청.jpg|효종과 인선왕후의 능인 영릉.<ref>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Directory_Image.jsp?VdkVgwKey=13,01950000,31&imgfname=1625561.jpg&dirname=history_site&photoname=%EC%98%81%EB%A6%89%EC%A0%84%EA%B2%BD-%ED%9A%A8%EC%A2%85%EB%8C%80%EC%99%95&photoid=1625561#pr2 여주 영릉]", 문화재 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재청』<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
</gallery> | </gallery> | ||
− | |||
− | |||
=='''주석'''== | =='''주석'''== | ||
83번째 줄: | 102번째 줄: | ||
* 지두환, 『조선시대정치사』 2, 역사문화, 2013. | * 지두환, 『조선시대정치사』 2, 역사문화, 2013. | ||
* 허태용, 「17, 18세기 북벌론의 추이와 북학론의 대두」, 『大東文化硏究』 69,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0. | * 허태용, 「17, 18세기 북벌론의 추이와 북학론의 대두」, 『大東文化硏究』 69,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0. | ||
− | 한국역사연구회 17세기정치사연구반, 『조선중기 정치와 정책: 인조~현종 시기』, 아카넷, 2003. | + | * 한국역사연구회 17세기정치사연구반, 『조선중기 정치와 정책: 인조~현종 시기』, 아카넷, 2003. |
+ | |||
===더 읽을거리=== | ===더 읽을거리=== | ||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8222 효종]",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8222 효종]",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 "[http://contents.koreanhistory.or.kr/id/N0109 효종]", <html><online style="color:purple">, 콘텐츠 검색, 『한국사콘텐츠』<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 | * "[http://contents.koreanhistory.or.kr/id/N0109 효종]", <html><online style="color:purple">, 콘텐츠 검색, 『한국사콘텐츠』<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 | ||
− | |||
− | |||
[[분류:궁중기록화]] | [[분류:궁중기록화]] | ||
[[분류:인물]] | [[분류:인물]] |
2017년 11월 13일 (월) 21:53 기준 최신판
효종(孝宗) | |
대표명칭 | 효종 |
---|---|
한자표기 | 孝宗 |
생몰년 | 1619년 5월 22일-1659년 5월 4일(음) 재위 1649년 5월 13일-1659년 5월 4일(음) |
본관 | 전주 이씨(全州 李氏) |
호 | 휘 호(淏) |
자 | 정연(靜淵) |
출생지 | 조선 한성부 경행방 향교동 본궁 |
사망지 | 창덕궁 대조전(昌德宮 大造殿) |
시대 | 조선 |
대표직함 | 왕 |
부 | 인조(仁祖) |
모 | 인렬왕후(仁烈王后) |
자녀 | 1남 7녀, 숙신공주(淑愼公主), 숙안공주(淑安公主), 숙명공주(淑明公主), 현종(顯宗), 숙휘공주(淑徽公主), 숙정공주(淑靜公主), 숙경공주(淑敬公主), (義順公主), 숙녕옹주(肅寧翁主) |
전임자 | 인조(仁祖) |
후임자 | 현종(顯宗) |
능묘 | 경기도 여주시 능서면 영릉로 269-50 영릉(寧陵) 37.312906, 127.608854 |
성격 | 인물 |
유형 | 왕 |
목차
정의
조선의 제 17대 왕이다.
내용
서인 산림세력을 임용하였으며, 북벌을 추진하였다.
생애
1649년(광해군 11) 향교동(鄕校洞) 어의궁에서 태어났으며, 인조가 즉위한 뒤 1626년(인조 4) 봉림대군(鳳林大君)으로 봉해졌다.[1] 병자호란 이후 1637년(인조 15)에 소현세자(昭顯世子)와 함께 청(淸)에 볼모로 끌려갔다.[2] 1645년(인조 23) 2월에 먼저 귀국한 소현세자가 급서하였다. 서둘러 귀국한 효종은 창덕궁 명정전에서 왕세자로 책봉되었다.[3] 1649년(인조 27) 인조가 죽자 창덕궁 인정문에서 즉위하였다.[4] 효종은 즉위 초기부터 친청파를 멀리하고 성리학적 의리명분을 내세웠다. 이 과정에서 친청파였던 김자점(金自點) 등이 제거되었다.[5] 북벌대의를 천명하여 김상헌(金尙憲), 송시열(宋時烈) 등을 중용하였으며 군역(軍役)의 개정 또한 이 시기에 이루어졌다.[6] 재위기간 동안 표면적으로는 계속하여 북벌을 내세웠다. 이로 인하여 서인인 산림들이 대거 임용되었고 무신 이완(李浣) 등을 중요한 자리에 임용해 군비를 정비했다.[7] 그러나 송시열 등의 척화파들도복수설치(復讎雪恥)보다는 민생안정이 우선이라는 이유로 북벌을 반대하였다.[8] 북벌논의는 효종이 죽고 점차 축소되었다.
사후
경기도 여주시에 효종과 인선왕후의 '영릉(寧陵)'이 있다. 1970년 5월 27일 세종의 능인 '영릉(英陵)'과 함께 사적 제 195호로 지정되었다.[9]
거행 의례
효종왕세자급빈궁책례도감의궤[10] 인선왕후책례도감의궤[11]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조선 효종 | 인선왕후 | A는 B의 남편이다 | A ekc:hasWife B |
조선 효종 | 왕 | A는 B에 해당한다 | A dcterms:type B |
조선 효종 | 책례 | A는 B를 거행하였다 | A ekc:participates B |
시간정보
시간 | 내용 |
---|---|
1645년 9월 27일 | 효종은 책례를 거행하였다 |
1649년 5월 13일 | 효종은 즉위식을 거행하였다 |
공간정보
위도 | 경도 | 내용 |
---|---|---|
37.580898 | 126.994425 | 창경궁 명정전에서 효종의 책례를 거행하였다 |
37.578814 | 126.991084 | 창덕궁 인정문에서 효종의 즉위식을 거행하였다 |
시각자료
갤러리
효종과 인선왕후의 능인 영릉.[12]
주석
- ↑ 『孝宗實錄』: 「行狀」
- ↑ 『仁祖實錄』 15년(1637) 2월 戊寅: 「九王撤兵還以王世子及嬪宮鳳林大君及夫人西行」
- ↑ 『仁祖實錄』 23년(1645) 9월 乙亥: 「冊鳳林大君爲王世子夫人張氏爲世子嬪」
- ↑ 『孝宗實錄』 즉위년(1645) 5월 辛未: 「大臣禮官三司請嗣位王號泣不聽」
- ↑ 『孝宗實錄』 즉위년(1645) 6월 庚戌: 「兩司合啓曰」
- ↑ 지두환, 『조선시대정치사』 2, 역사문화, 2013, 80쪽.
- ↑ 『孝宗實錄』 3년(1652) 5월 戊戌: 「以南銑爲刑曹判書李浣爲兵曹參判皆特授也」
- ↑ 『宋子大全』 卷5, 「封事」, “己丑封事”.
- ↑ "여주 영릉", 문화재 검색,
『문화재청』online , 문화재청. - ↑ "효종왕세자급빈궁책례도감의궤", 의궤 검색,
『규장각』online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 "인선왕후책례도감의궤", 의궤 검색,
『규장각』online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 "여주 영릉", 문화재 검색,
『문화재청』online , 문화재청.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광해군일기』
- 『인조실록』
- 『효종실록』
- 『송자대전』
- 송양섭, 「효종의 북벌구상과 군비증강책」, 『한국인물사연구』 7, 한국인물사연구소, 2007.
- 이정철, 『대동법: 조선 최고의 개혁』, 역사비평사, 2010.
- 이희환, 「효종대의 정국과 북벌론」, 『전북사학』 42, 전북사학회, 2013.
- 지두환, 『조선시대정치사』 2, 역사문화, 2013.
- 허태용, 「17, 18세기 북벌론의 추이와 북학론의 대두」, 『大東文化硏究』 69,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0.
- 한국역사연구회 17세기정치사연구반, 『조선중기 정치와 정책: 인조~현종 시기』, 아카넷,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