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탑비문 작업노트

"징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6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21번째 줄: 21번째 줄:
 
|승탑비=
 
|승탑비=
 
}}
 
}}
 +
 
=='''정의'''==
 
=='''정의'''==
 
고려 시대의 승려.
 
고려 시대의 승려.
29번째 줄: 30번째 줄:
 
1097년(숙종 2) 8세에 [[개성 흥왕사|흥왕사(興王寺)]]에서 [[의천|대각국사(大覺國師) 의천(義天)]]에게 출가하여 이듬해 머리를 깎고 [[개성 불일사|불일사(佛日寺)]]에서 [[구족계]]를 받았다. 그 후 왕명으로 [[개성 중광사|중광사]](重光寺)에 머물면서 학문에 정진하였다. <ref>김양순,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5092 징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1097년(숙종 2) 8세에 [[개성 흥왕사|흥왕사(興王寺)]]에서 [[의천|대각국사(大覺國師) 의천(義天)]]에게 출가하여 이듬해 머리를 깎고 [[개성 불일사|불일사(佛日寺)]]에서 [[구족계]]를 받았다. 그 후 왕명으로 [[개성 중광사|중광사]](重光寺)에 머물면서 학문에 정진하였다. <ref>김양순,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5092 징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학문에 전념하여 《[[화엄경|화엄경(華嚴經)]]》에 통달했고<ref>두산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45256&cid=40942&categoryId=33382 징엄]</ref> 1105년(숙종 10) 16세에 [[승통]]과 아울러 복세(福世)라는 호를 받았으며, 예종조에는 [[개성 홍원사|홍원사(洪圓寺)]], [[논산 개태사|개태사(開泰寺)]] 등의 주지를 역임하였다. 1122년(인종 즉위) 왕명에 의하여 오교도승통(五敎都僧統)이 되었으나, [[이자겸|이자겸(李資謙)]]의 횡포를 보고 [[김제 귀신사|귀신사(歸信寺)]]에 은퇴하였다. 왕명으로 [[개성 흥왕사|흥왕사(興王寺)]]에 머물면서 종풍을 크게 떨쳤다.<ref>김양순,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5092 징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학문에 전념하여 《[[화엄경|화엄경(華嚴經)]]》에 통달했고<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45256&cid=40942&categoryId=33382 징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1105년(숙종 10) 16세에 [[승통]]과 아울러 복세(福世)라는 호를 받았으며, 예종조에는 [[개성 홍원사|홍원사(洪圓寺)]], [[논산 개태사|개태사(開泰寺)]] 등의 주지를 역임하였다. 1122년(인종 즉위) 왕명에 의하여 오교도승통(五敎都僧統)이 되었으나, [[이자겸|이자겸(李資謙)]]의 횡포를 보고 [[김제 귀신사|귀신사(歸信寺)]]에 은퇴하였다. 왕명으로 [[개성 흥왕사|흥왕사(興王寺)]]에 머물면서 종풍을 크게 떨쳤다.<ref>김양순,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5092 징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1141년(인종 19) 4월 21일 나이 52세, 법랍 44년으로 입적하였다. 죽은 후 [[국사]]로 추증되었으며, 시호는 원명(圓明)이다.<ref>김양순,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5092 징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1141년(인종 19) 4월 21일 나이 52세, 법랍 44년으로 입적하였다. 죽은 후 [[국사]]로 추증되었으며, 시호는 원명(圓明)이다.<ref>김양순,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5092 징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지식관계망'''==
+
=='''지식 관계망'''==
"그래프 삽입"
+
*'''대각국사 의천 지식관계망'''
 +
<html>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D002/monk_daegak.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관련항목===
+
===관계정보===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종린]] || [[충희]]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 [[고려 숙종]] || [[징엄]] || A는 B의 아버지이다 || A ekc:hasSon B
 +
|-
 +
| [[의천]] || [[징엄]]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
 +
| [[징엄]] || [[개성 흥왕사]] || A는 B에서 수행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 [[징엄]] || [[개성 불일사]] || A는 B에서 계를 받았다 || A edm:isRelatedTo B
 +
|-
 +
| [[징엄]] || [[개성 중광사]] || A는 B에서 수행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 [[징엄]] || [[개성 흥왕사]] || A는 B에서 주석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 [[징엄]] || [[화엄경]]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충희]] || [[개성 흥왕사]] || A A는 B에서 주석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징엄]] || [[승통]]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징엄]] || [[개성 홍원사]] || A는 B에서 주석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 [[징엄]] || [[개성 개태사]] || A는 B에서 주석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 [[징엄]] || [[이자겸]]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징엄]] || [[김제 귀신사]] || A는 B에서 수행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시각자료'''==
+
=='''주석'''==
 
===가상현실===
 
 
 
===갤러리===
 
 
 
===영상===
 
 
 
=='''각주'''==
 
 
<references/>
 
<references/>
  
 
=='''참고문헌'''==
 
=='''참고문헌'''==
 
*이종익,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8270 충희]",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이종익,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8270 충희]",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45256&cid=40942&categoryId=33382 징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
  
 
{{승탑비문 Top icon}}
 
{{승탑비문 Top icon}}

2017년 11월 24일 (금) 17:39 기준 최신판

징엄(澄儼)
BHST Monk1.png
대표명칭 징엄
한자 澄儼
시호 원명(圓明)
복세(福世)
속명 징길(澄佶)
출신지 개성



정의

고려 시대의 승려.

내용

징엄의 초명(初名)은 징길(澄佶), 호는 복세(福世)이다. 고려 숙종의 넷째 아들로 어머니는 명의태후(明懿太后) 유(柳)씨이다. [1] 1097년(숙종 2) 8세에 흥왕사(興王寺)에서 대각국사(大覺國師) 의천(義天)에게 출가하여 이듬해 머리를 깎고 불일사(佛日寺)에서 구족계를 받았다. 그 후 왕명으로 중광사(重光寺)에 머물면서 학문에 정진하였다. [2]

학문에 전념하여 《화엄경(華嚴經)》에 통달했고[3] 1105년(숙종 10) 16세에 승통과 아울러 복세(福世)라는 호를 받았으며, 예종조에는 홍원사(洪圓寺), 개태사(開泰寺) 등의 주지를 역임하였다. 1122년(인종 즉위) 왕명에 의하여 오교도승통(五敎都僧統)이 되었으나, 이자겸(李資謙)의 횡포를 보고 귀신사(歸信寺)에 은퇴하였다. 왕명으로 흥왕사(興王寺)에 머물면서 종풍을 크게 떨쳤다.[4]

1141년(인종 19) 4월 21일 나이 52세, 법랍 44년으로 입적하였다. 죽은 후 국사로 추증되었으며, 시호는 원명(圓明)이다.[5]

지식 관계망

  • 대각국사 의천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고려 숙종 징엄 A는 B의 아버지이다 A ekc:hasSon B
의천 징엄 A는 B의 스승이다 A ekc:hasDisciple B
징엄 개성 흥왕사 A는 B에서 수행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징엄 개성 불일사 A는 B에서 계를 받았다 A edm:isRelatedTo B
징엄 개성 중광사 A는 B에서 수행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징엄 개성 흥왕사 A는 B에서 주석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징엄 화엄경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징엄 승통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징엄 개성 홍원사 A는 B에서 주석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징엄 개성 개태사 A는 B에서 주석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징엄 이자겸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징엄 김제 귀신사 A는 B에서 수행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주석

  1. 김양순, "징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김양순, "징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3. "징엄", 『두산백과』online.
  4. 김양순, "징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5. 김양순, "징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 이종익, "충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징엄", 『두산백과』onl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