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언"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35번째 줄: | 35번째 줄: | ||
=='''내용'''== | =='''내용'''== | ||
김정언은 [[고려 광종]] 때의 재상으로, 그가 지은 금석문([[광양 옥룡사 동진대사탑비]], [[여주 고달사지 원종대사탑비]], [[서산 보원사지 법인국사탑비]], [[괴산 각연사 통일대사탑비]])을 통해 행적을 추정할 수 있을 뿐이다. | 김정언은 [[고려 광종]] 때의 재상으로, 그가 지은 금석문([[광양 옥룡사 동진대사탑비]], [[여주 고달사지 원종대사탑비]], [[서산 보원사지 법인국사탑비]], [[괴산 각연사 통일대사탑비]])을 통해 행적을 추정할 수 있을 뿐이다. | ||
− | 비문은 모두 왕명에 의해 | + | 비문은 모두 왕명에 의해 쓰였는데, 왕의 중요한 글을 거의 전담했던 것으로 추측한다. 또한 [[광양 옥룡사 동진대사탑비]]의 비문 중에 외손이라는 말이 나오는 것으로 보아, 비문의 주인공인 [[경보|경보(慶甫)]]와 혈연 관계임을 알 수 있다.<ref>정구복,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0401 김정언]",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
+ | 958년에 통직랑(通直郞)이었고, 정위(正衛)·한림학사(翰林學士)·사단금어대(賜丹金魚袋)를 지냈다. 예부사(禮部使), 문하성의 참지정사(參知政事), 사관(史館)의 감수국사(監修國史)를 거쳐 975년에는 광록대부(光祿大夫), 태승(太丞)·한림학사·내봉성영(內奉省令)을 지냈다.<ref>정구복,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0401 김정언]",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지식관계망'''== | =='''지식관계망'''== | ||
− | === | + | *'''괴산 각연사 통일대사탑비 지식관계망''' |
+ | <html> | ||
+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
+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
+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s://dh.aks.ac.kr/Encyves/Graph/D022/stele_tongil_gagyeonsa.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 | </html> | ||
+ | |||
+ | ===관계정보===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50번째 줄: | 59번째 줄: | ||
| [[광양 옥룡사 동진대사탑비]] || [[김정언]] ||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 A ekc:calligrapher B | | [[광양 옥룡사 동진대사탑비]] || [[김정언]] ||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 A ekc:calligrapher B | ||
|} | |} | ||
− | |||
− | |||
=='''주석'''== | =='''주석'''== | ||
61번째 줄: | 68번째 줄: | ||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 ||
[[분류:인물]] | [[분류:인물]] | ||
− |
2024년 4월 12일 (금) 00:52 기준 최신판
김정언(金廷彦) | |
대표명칭 | 김정언 |
---|---|
한자표기 | 金廷彦 |
시대 | 고려 |
정의
고려 전기의 문신.
내용
김정언은 고려 광종 때의 재상으로, 그가 지은 금석문(광양 옥룡사 동진대사탑비, 여주 고달사지 원종대사탑비, 서산 보원사지 법인국사탑비, 괴산 각연사 통일대사탑비)을 통해 행적을 추정할 수 있을 뿐이다. 비문은 모두 왕명에 의해 쓰였는데, 왕의 중요한 글을 거의 전담했던 것으로 추측한다. 또한 광양 옥룡사 동진대사탑비의 비문 중에 외손이라는 말이 나오는 것으로 보아, 비문의 주인공인 경보(慶甫)와 혈연 관계임을 알 수 있다.[1]
958년에 통직랑(通直郞)이었고, 정위(正衛)·한림학사(翰林學士)·사단금어대(賜丹金魚袋)를 지냈다. 예부사(禮部使), 문하성의 참지정사(參知政事), 사관(史館)의 감수국사(監修國史)를 거쳐 975년에는 광록대부(光祿大夫), 태승(太丞)·한림학사·내봉성영(內奉省令)을 지냈다.[2]
지식관계망
- 괴산 각연사 통일대사탑비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괴산 각연사 통일대사탑비 | 김정언 |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 A ekc:calligrapher B |
서산 보원사지 법인국사탑비 | 김정언 |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 A ekc:calligrapher B |
여주 고달사지 원종대사탑비 | 김정언 |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 A ekc:calligrapher B |
광양 옥룡사 동진대사탑비 | 김정언 |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 A ekc:calligrapher B |
주석
참고문헌
- 정구복, "김정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