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언"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35번째 줄: 35번째 줄:
 
=='''내용'''==
 
=='''내용'''==
 
김정언은 [[고려 광종]] 때의 재상으로, 그가 지은 금석문([[광양 옥룡사 동진대사탑비]], [[여주 고달사지 원종대사탑비]], [[서산 보원사지 법인국사탑비]], [[괴산 각연사 통일대사탑비]])을 통해 행적을 추정할 수 있을 뿐이다.  
 
김정언은 [[고려 광종]] 때의 재상으로, 그가 지은 금석문([[광양 옥룡사 동진대사탑비]], [[여주 고달사지 원종대사탑비]], [[서산 보원사지 법인국사탑비]], [[괴산 각연사 통일대사탑비]])을 통해 행적을 추정할 수 있을 뿐이다.  
비문은 모두 왕명에 의해 쓰여졌는데, 왕의 중요한 글을 거의 전담했던 것으로 추측된다. 또한 [[광양 옥룡사 동진대사탑비]]의 비문 중에 외손이라는 말이 나오고 있어, 비문의 주인공인 [[경보|경보(慶甫)]]와 혈연 관계임을 알 수 있다.<ref>정구복,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0401 김정언]",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비문은 모두 왕명에 의해 쓰였는데, 왕의 중요한 글을 거의 전담했던 것으로 추측한다. 또한 [[광양 옥룡사 동진대사탑비]]의 비문 중에 외손이라는 말이 나오는 것으로 보아, 비문의 주인공인 [[경보|경보(慶甫)]]와 혈연 관계임을 알 수 있다.<ref>정구복,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0401 김정언]",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958년에 통직랑(通直郞)이었고, 정위(正衛)·한림학사(翰林學士)·사단금어대(賜丹金魚袋)를 지냈다. 예부사(禮部使), 문하성의 참지정사(參知政事), 사관(史館)의 감수국사(監修國史)를 거쳐 975년에는 광록대부(光祿大夫), 태승(太丞)·한림학사·내봉성영(內奉省令)을 지냈다.<ref>정구복,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0401 김정언]",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지식관계망'''==
 
=='''지식관계망'''==
===관련항목===
+
*'''괴산 각연사 통일대사탑비 지식관계망'''
 +
<html>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s://dh.aks.ac.kr/Encyves/Graph/D022/stele_tongil_gagyeonsa.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
 
 +
===관계정보===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50번째 줄: 59번째 줄:
 
| [[광양 옥룡사 동진대사탑비]] || [[김정언]] ||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 A ekc:calligrapher B
 
| [[광양 옥룡사 동진대사탑비]] || [[김정언]] ||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 A ekc:calligrapher B
 
|}
 
|}
 
=='''시각자료'''==
 
  
 
=='''주석'''==
 
=='''주석'''==
61번째 줄: 68번째 줄: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분류:인물]]
 
[[분류:인물]]
[[분류:승탑/검토요청]]
 

2024년 4월 12일 (금) 00:52 기준 최신판

김정언(金廷彦)
대표명칭 김정언
한자표기 金廷彦
시대 고려



정의

고려 전기의 문신.

내용

김정언은 고려 광종 때의 재상으로, 그가 지은 금석문(광양 옥룡사 동진대사탑비, 여주 고달사지 원종대사탑비, 서산 보원사지 법인국사탑비, 괴산 각연사 통일대사탑비)을 통해 행적을 추정할 수 있을 뿐이다. 비문은 모두 왕명에 의해 쓰였는데, 왕의 중요한 글을 거의 전담했던 것으로 추측한다. 또한 광양 옥룡사 동진대사탑비의 비문 중에 외손이라는 말이 나오는 것으로 보아, 비문의 주인공인 경보(慶甫)와 혈연 관계임을 알 수 있다.[1]

958년에 통직랑(通直郞)이었고, 정위(正衛)·한림학사(翰林學士)·사단금어대(賜丹金魚袋)를 지냈다. 예부사(禮部使), 문하성의 참지정사(參知政事), 사관(史館)의 감수국사(監修國史)를 거쳐 975년에는 광록대부(光祿大夫), 태승(太丞)·한림학사·내봉성영(內奉省令)을 지냈다.[2]

지식관계망

  • 괴산 각연사 통일대사탑비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괴산 각연사 통일대사탑비 김정언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A ekc:calligrapher B
서산 보원사지 법인국사탑비 김정언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A ekc:calligrapher B
여주 고달사지 원종대사탑비 김정언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A ekc:calligrapher B
광양 옥룡사 동진대사탑비 김정언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A ekc:calligrapher B

주석

  1. 정구복, "김정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정구복, "김정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 정구복, "김정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