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인물초상화관 개관

"최무선"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지식 관계망)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9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
{{틀:역사인물초상화 Top icon}}
 
{{인물정보
 
{{인물정보
|사진=최무선.jpg
+
|사진=goryeo_official.png
|사진출처="[http://www.kculture.or.kr/korean/portrait/portraitPartList.jsp 선현의 표준영정]",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민족정보마당』<sup>online</sup></online></html>한국문화정보원.
+
|사진출처=
 
|대표명칭=최무선
 
|대표명칭=최무선
 
|한자표기=崔茂宣
 
|한자표기=崔茂宣
30번째 줄: 31번째 줄:
 
}}
 
}}
 
=='''정의'''==
 
=='''정의'''==
고려 말의 발명가이자 무관.
+
고려 말의 발명가이자 무관이다.
  
 
=='''내용'''==
 
=='''내용'''==
 
고려 말 왜구의 침략을 물리치기 위해 적극적으로 화약을 비롯한 무기 연구 및 제조에 힘썼으며, 우리나라 무기제조사와 전쟁사에 있어 빼놓을 수 없는 인물이다.
 
고려 말 왜구의 침략을 물리치기 위해 적극적으로 화약을 비롯한 무기 연구 및 제조에 힘썼으며, 우리나라 무기제조사와 전쟁사에 있어 빼놓을 수 없는 인물이다.
 
===화약 개발과 화통도감 설치===  
 
===화약 개발과 화통도감 설치===  
우리나라에서 화약과 화약을 이용한 무기를 처음 제작, 사용하였다. 무관인 그는 고려 말기에 한창 기승을 부리던 왜구를 물리치기 위해서는 화약(火藥)이 필요하다고 생각해 중국 사람들의 왕래가 잦은 무역항 [[벽란도]]에 가서 중국 강남 지역에서 온 상인들에게서 정보를 수소문했다. 그리고 [[이원|이원(李元)]]이라는 상인에게서 화약을 만드는 데 필수적인 [[염초|염초(焰硝)]] 제조법을 배워 화약 개발에 성공했다.<br/>  
+
우리나라에서 화약과 화약을 이용한 무기를 처음 제작, 사용하였다. 무관인 그는 고려 말기에 한창 기승을 부리던 왜구를 물리치기 위해서는 화약(火藥)이 필요하다고 생각해 중국 사람들의 왕래가 잦은 무역항 [[벽란도]]에 가서 중국 강남 지역에서 온 상인들에게서 정보를 수소문했다. 그리고 [[이원(고려)|이원(李元)]]이라는 상인에게서 화약을 만드는 데 필수적인 [[염초|염초(焰硝)]] 제조법을 배워 화약 개발에 성공했다.<br/>  
 
그 뒤 최무선은 여러 차례 조정에 건의해 1377년(우왕 3)에 [[화통도감|화통도감(火筒都監)]] 설치를 이끌어냈으며, 우리나라에서 화약과 화약무기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를 시작하였다.
 
그 뒤 최무선은 여러 차례 조정에 건의해 1377년(우왕 3)에 [[화통도감|화통도감(火筒都監)]] 설치를 이끌어냈으며, 우리나라에서 화약과 화약무기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를 시작하였다.
 
===왜구와의 해전===
 
===왜구와의 해전===
43번째 줄: 44번째 줄:
 
조선 초에는 나이가 많아 등용되지는 못하였으나, 죽은 후에 그의 공을 생각하여 의정부 우정승(議政府右政丞)과 영성부원군(永城府院君)으로 추증되었다.<br/>
 
조선 초에는 나이가 많아 등용되지는 못하였으나, 죽은 후에 그의 공을 생각하여 의정부 우정승(議政府右政丞)과 영성부원군(永城府院君)으로 추증되었다.<br/>
 
아들 [[최해산]]과 손자 [[최공손]]도 화약과 화기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저서로는 화약의 제조법과 [[염초|염초(焰硝)]]의 채취 방법 등을 기술한 《화약수련법》을 남겼으나 전하지 않고 있다.<br/>
 
아들 [[최해산]]과 손자 [[최공손]]도 화약과 화기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저서로는 화약의 제조법과 [[염초|염초(焰硝)]]의 채취 방법 등을 기술한 《화약수련법》을 남겼으나 전하지 않고 있다.<br/>
[[최대섭]]의 1979년 민족기록화 작품 [[화포와 화약을 제조하는 최무선|최대섭-화포와 화약을 제조하는 최무선]]의 중심 인물로 등장한다.<br/>
+
[[최대섭]]의 1979년 민족기록화 작품 [[최대섭-화포와 화약을 제조하는 최무선|화포와 화약을 제조하는 최무선]]의 중심 인물로 등장한다.<br/>
  
 
=='''지식 관계망'''==
 
=='''지식 관계망'''==
 +
<!--
 +
* '''[http://dh.aks.ac.kr/Encyves/Graph/E034/E034.htm 최무선 그래프]'''
 +
<html>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E034/E034.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
 +
* '''[http://dh.aks.ac.kr/Encyves/Graph/A043/A043.htm 신전자초방 지식관계망]'''
 +
* '''[http://dh.aks.ac.kr/Encyves/Graph/C025/C025.htm "화포와 화약을 제조하는 최무선"(최대섭) 지식관계망]'''
 +
-->
 +
 +
{{ NetworkGraph | title=C025.lst }}
 +
 
===관계정보===
 
===관계정보===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최대섭-화포와 화약을 제조하는 최무선]]||~을 소재로 한다||[[최무선]]
+
| [[최무선 표준영정]] || [[최무선]] || A는 B를 묘사하였다 || A ekc:depicts B
|-
 
|[[최무선]]||~과 관련된다||[[이원]]
 
 
|-
 
|-
|[[최무선]]||~의 아버지다||[[최해산]]
+
| [[최무선]] || [[화통도감]]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최무선]]  || [[최해산]] || A는 아들 B를 두었다 ||  A ekc:hasSon B
 +
|- 
 +
| [[최해산]] ||  [[군기시]]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화통도감]] || [[군기시]]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최무선]]||~와 관련된다||[[나세]]
+
|[[최무선]] || [[진포대첩]]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최무선]]||~와 관련된다||[[심덕부]]
+
|[[나세]] || [[진포대첩]]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최무선]]||~에 의해 찬양되었다||[[권근]]
+
|[[심덕부]] || [[진포대첩]]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최무선]]||~에서 활동했다||[[화통도감]]
 
|-
 
|[[최무선]]||~를 제조했다||[[화포]]
 
|-
 
|[[최무선]]||~를 제조했다||[[화전]]
 
|-
 
|[[최무선]]||~를 제조했다||[[주화]]
 
|-
 
|[[최무선]]||~를 제조했다||[[대장군포]]
 
|-
 
|[[최무선]]||~를 제조했다||[[피령전]]
 
|-
 
|[[최무선]]||~을 지휘했다||[[진포대첩]]
 
|-
 
|[[최무선]]||~에 기록되어 있다||[[고려사]]
 
|-
 
|[[최무선]]||~에 기록되어 있다||[[신증동국여지승람]]
 
|-
 
|[[최무선]]||~에 기록되어 있다||[[조선왕조실록]]
 
|-
 
|[[최무선]]||~에 기록되어 있다||[[양촌집]]
 
|-
 
|[[최무선]]||~의 소재이다||[[소설 최무선]]
 
|-
 
|[[최무선]]||~의 소재이다||[[드라마 예성강]]
 
|-
 
|[[최무선]]||~와 관련된다||[[최무선장군추모비]]
 
|-
 
|[[최무선]]||~와 관련된다||[[최무선장군추모제]]
 
|-
 
 
|}
 
|}
  
 
===시간정보===
 
===시간정보===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style="width:20%px"|시간정보!!style="width:80%px"|내용
 
!style="width:20%px"|시간정보!!style="width:80%px"|내용
 
|-
 
|-
107번째 줄: 96번째 줄:
 
|}
 
|}
  
===공간정보===
+
=='''시각자료'''==
  
=='''시각자료'''==
 
 
===가상현실===
 
===가상현실===
 
===갤러리===
 
===갤러리===
120번째 줄: 108번째 줄:
 
===인용 및 참조===
 
===인용 및 참조===
 
#웹자원
 
#웹자원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7297 최무선]",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채연석,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7297 최무선]",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41256 최무선]",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41256 최무선]",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573093&cid=59015&categoryId=59015 최무선]", 인물한국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573093&cid=59015&categoryId=59015 최무선]", 네이버캐스트-인물한국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발행일: 2011년 10일 31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18688&cid=42957&categoryId=42957 최무선]", 한국고중세사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18688&cid=42957&categoryId=42957 최무선]", 한국고중세사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발행일: 2007년 3월 30일.
  
[[분류:역사인물]][[분류:김누리]][[분류:인물]]
+
[[분류:역사인물]][[분류:인물]]

2024년 3월 14일 (목) 15:37 기준 최신판


최무선(崔茂宣)
Goryeo official.png
대표명칭 최무선
한자표기 崔茂宣
생몰년 1325년-1395년
시대 고려
대표직함 지문하부사(知門下府事)
유형 발명가


정의

고려 말의 발명가이자 무관이다.

내용

고려 말 왜구의 침략을 물리치기 위해 적극적으로 화약을 비롯한 무기 연구 및 제조에 힘썼으며, 우리나라 무기제조사와 전쟁사에 있어 빼놓을 수 없는 인물이다.

화약 개발과 화통도감 설치

우리나라에서 화약과 화약을 이용한 무기를 처음 제작, 사용하였다. 무관인 그는 고려 말기에 한창 기승을 부리던 왜구를 물리치기 위해서는 화약(火藥)이 필요하다고 생각해 중국 사람들의 왕래가 잦은 무역항 벽란도에 가서 중국 강남 지역에서 온 상인들에게서 정보를 수소문했다. 그리고 이원(李元)이라는 상인에게서 화약을 만드는 데 필수적인 염초(焰硝) 제조법을 배워 화약 개발에 성공했다.
그 뒤 최무선은 여러 차례 조정에 건의해 1377년(우왕 3)에 화통도감(火筒都監) 설치를 이끌어냈으며, 우리나라에서 화약과 화약무기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를 시작하였다.

왜구와의 해전

이처럼 화약과 화기 제작을 주도한 최무선은 1380년(우왕 6)에 왜구가 금강 하구의 진포로 쳐들어오자 부원수(副元帥)로 임명되어 상원수(上元帥)나세(羅世)와 함께 각종 화기로 무장한 전함을 이끌고 나아가 싸워 격파시키는 큰 공을 세웠다. 1383년(우왕 9)에도 관음포대첩에서 왜구를 물리치는 데 공을 세웠으며, 1389년(창왕 2)에는 박위와 함께 쓰시마 정벌에도 참여했다.
최무선이 개발한 화기를 사용하면서 고려는 왜구와의 해전에서 승리할 수 있었으며, 화기를 해안 지역에 배치하면서 왜구의 침입에 대한 방어체제도 정비하였다. 이러한 공으로 고려에서는 지문하부사(知門下府事)라는 벼슬까지 올랐다.

사후

조선 초에는 나이가 많아 등용되지는 못하였으나, 죽은 후에 그의 공을 생각하여 의정부 우정승(議政府右政丞)과 영성부원군(永城府院君)으로 추증되었다.
아들 최해산과 손자 최공손도 화약과 화기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저서로는 화약의 제조법과 염초(焰硝)의 채취 방법 등을 기술한 《화약수련법》을 남겼으나 전하지 않고 있다.
최대섭의 1979년 민족기록화 작품 화포와 화약을 제조하는 최무선의 중심 인물로 등장한다.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최무선 표준영정 최무선 A는 B를 묘사하였다 A ekc:depicts B
최무선 화통도감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최무선 최해산 A는 아들 B를 두었다 A ekc:hasSon B
최해산 군기시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화통도감 군기시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최무선 진포대첩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나세 진포대첩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심덕부 진포대첩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377년 최무선화통도감 설치를 이끌어냈다.
1380년 최무선진포에서 왜구를 격파했다.
1383년 최무선관음포대첩에서 공을 세웠다.
1389년 최무선쓰시마 정벌에 참여했다.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영상

주석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1. 웹자원
    • 채연석, "최무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최무선", 『doopedia』online, 두산백과.
    • "최무선", 네이버캐스트-인물한국사,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발행일: 2011년 10일 31일.
    • "최무선", 한국고중세사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발행일: 2007년 3월 30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