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인용 및 참조)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3번째 줄: | 3번째 줄: | ||
|사진= 궁중기록화_물품_변개구_종묘의궤_규장각.jpg | |사진= 궁중기록화_물품_변개구_종묘의궤_규장각.jpg | ||
|사진출처= 규장각한국학연구원(http://e-kyujanggak.snu.ac.kr/) | |사진출처= 규장각한국학연구원(http://e-kyujanggak.snu.ac.kr/) | ||
− | |대표명칭= | + | |대표명칭= 변 |
|한자표기= 籩 | |한자표기= 籩 | ||
|영문명칭= | |영문명칭= | ||
18번째 줄: | 18번째 줄: | ||
=='''정의'''== | =='''정의'''== | ||
− | 마른 음식, 과일 등 물기 없는 제물을 담는 | + | 조선시대 의례에서 마른 음식, 과일 등 물기 없는 제물을 담는 제기(祭器)이다. |
=='''내용'''== | =='''내용'''== | ||
− | 대나무를 사용하여 굽이 높은 | + | 대나무를 사용하여 굽이 높은 장구 형태로 만들었다.<br/> |
신위 왼쪽에 세로 2줄, 가로 6줄로 진설된다. 제물은 오른쪽부터 은행, 개암, 밤, 마른대추, 대구포, 소금, 인절미, 기주떡, 검은떡, 흰떡, 사슴고기포(현재는 소고기포 사용), 호두 순으로 올린다.<br/> | 신위 왼쪽에 세로 2줄, 가로 6줄로 진설된다. 제물은 오른쪽부터 은행, 개암, 밤, 마른대추, 대구포, 소금, 인절미, 기주떡, 검은떡, 흰떡, 사슴고기포(현재는 소고기포 사용), 호두 순으로 올린다.<br/> | ||
29번째 줄: | 29번째 줄: |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 |- | ||
− | | | + | | 변(籩) || [[두|두(豆)]] || A는 B와 같이 사용되었다 || A ekc:goesWith B |
|- | |- | ||
− | | | + | | 변(籩) || [[멱|멱(冪)]] || A는 B와 같이 사용되었다 || A ekc:goesWith B |
+ | |- | ||
+ | | 변(籩) || [[비(숟가락)|소비(疏匕)]] || A는 B와 같이 사용되었다 || A ekc:goesWith B | ||
|- | |- | ||
− | | | + | | 변(籩) || [[종묘의궤|『종묘의궤(宗廟儀軌)』]] || B는 A에 그려져 있다 || B ekc:isDepictedIn A |
|- | |- | ||
− | | | + | | 변(籩) || [[종묘친제규제도설병풍|《종묘친제규제도설병풍(宗廟親祭規制圖說屛風)》]] || B는 A에 그려져 있다 || B ekc:isDepictedIn A |
|- | |- | ||
− | | | + | | 변(籩) || [[순조국장도감의궤|『순조국장도감의궤(純祖國葬都監儀軌)』]] || B는 A에 그려져 있다 || B ekc:isDepictedIn A |
|- | |- | ||
− | | | + | | 변(籩) || [[정조국장도감의궤|『정조국장도감의궤(正祖國葬都監儀軌)』]] || B는 A에 그려져 있다 || B ekc:isDepictedIn A |
|- | |- | ||
− | | | + | | 변(籩) || [[효의왕후국장도감의궤|『효의왕후국장도감의궤(孝懿王后國葬都監儀軌)』]] || B는 A에 그려져 있다 || B ekc:isDepictedIn A |
|- | |- | ||
− | | | + | | 변(籩) || [[제례|제례(祭禮)]] || A는 B에 사용되었다 || A ekc:isUsedIn B |
|} | |} | ||
78번째 줄: | 80번째 줄: | ||
* 이귀영, 「종묘제례의 제기와 제수의 진설 원리」, 『한국미술사교육학회지』제27호, 한국미술사교육학회, 2013. | * 이귀영, 「종묘제례의 제기와 제수의 진설 원리」, 『한국미술사교육학회지』제27호, 한국미술사교육학회, 2013. | ||
* 하은미, 「종묘제기와 조선시대 제기도설 연구」,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 * 하은미, 「종묘제기와 조선시대 제기도설 연구」,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 ||
− | |||
− | |||
[[분류:궁중기록화]] | [[분류:궁중기록화]] | ||
[[분류:물품]] | [[분류:물품]] |
2017년 10월 27일 (금) 23:37 기준 최신판
변(籩) | |
대표명칭 | 변 |
---|---|
한자표기 | 籩 |
유형 | 의례 물품 |
시대 | 조선 |
용도 | 길례(吉禮)-제례(祭禮)에 사용 |
관련장소 | 종묘(宗廟) |
관련물품 | 두(豆) |
정의
조선시대 의례에서 마른 음식, 과일 등 물기 없는 제물을 담는 제기(祭器)이다.
내용
대나무를 사용하여 굽이 높은 장구 형태로 만들었다.
신위 왼쪽에 세로 2줄, 가로 6줄로 진설된다. 제물은 오른쪽부터 은행, 개암, 밤, 마른대추, 대구포, 소금, 인절미, 기주떡, 검은떡, 흰떡, 사슴고기포(현재는 소고기포 사용), 호두 순으로 올린다.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변(籩) | 두(豆) | A는 B와 같이 사용되었다 | A ekc:goesWith B |
변(籩) | 멱(冪) | A는 B와 같이 사용되었다 | A ekc:goesWith B |
변(籩) | 소비(疏匕) | A는 B와 같이 사용되었다 | A ekc:goesWith B |
변(籩) | 『종묘의궤(宗廟儀軌)』 | B는 A에 그려져 있다 | B ekc:isDepictedIn A |
변(籩) | 《종묘친제규제도설병풍(宗廟親祭規制圖說屛風)》 | B는 A에 그려져 있다 | B ekc:isDepictedIn A |
변(籩) | 『순조국장도감의궤(純祖國葬都監儀軌)』 | B는 A에 그려져 있다 | B ekc:isDepictedIn A |
변(籩) | 『정조국장도감의궤(正祖國葬都監儀軌)』 | B는 A에 그려져 있다 | B ekc:isDepictedIn A |
변(籩) | 『효의왕후국장도감의궤(孝懿王后國葬都監儀軌)』 | B는 A에 그려져 있다 | B ekc:isDepictedIn A |
변(籩) | 제례(祭禮) | A는 B에 사용되었다 | A ekc:isUsedIn B |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 ↑ 『종묘의궤(宗廟儀軌)』
- ↑ 《종묘친제규제도설병풍(宗廟親祭規制圖說屛風)》
- ↑ 『순조국장도감의궤이(純祖國葬都監儀軌二)』
- ↑ 『정조국장도감의궤(正祖國葬都監儀軌)』
- ↑ 『효의왕후국장도감의궤이(孝懿王后國葬都監儀軌二)』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국립고궁박물관, 『종묘, 조선의 정신을 담다』, 국립고궁박물관, 2014.
- 궁중유물전시관, 『종묘대제문물』, 궁중유물전시관, 2004.
- "『종묘친제규제도설병풍(宗廟親祭規制圖說屛風)』", 1866~1899년,
『국립고궁박물관 소장품』online , 국립고궁박물관. - "제기도설(祭器圖說)", 「오례의」『세종실록』,
『조선왕조실록』online , 국사편찬위원회. - 박봉주, "변(籩)",
『외규장각 의궤』online , 국립중앙박물관. - 박봉주, "변(籩)",
『조선시대 왕실문화 도해사전』online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박봉주, "변개구(籩蓋具)",
『조선시대 왕실문화 도해사전』online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박봉주, "변멱구(籩冪具)",
『조선시대 왕실문화 도해사전』online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제기 종류",
『문화콘텐츠닷컴』online , 문화콘텐츠닷컴. - "제기",
『종묘대제』online , 종묘제례보존회.
더 읽을거리
- 김종일, 「조선후기 종묘제기와 유기장의 제작기술 연구」, 한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 김종임, 「조선왕실 금속제기 연구 : 종묘제기를 중심으로」, 『미술사학연구』제277호, 한국미술사학회, 2013.
- 손명희, 「조선의 국가 제사를 위한 그릇과 도구」『조선의 국가의례, 오례』, 국립고궁박물관, 2015, 85~136쪽.
- 이귀영, 「종묘제례의 제기와 제수의 진설 원리」, 『한국미술사교육학회지』제27호, 한국미술사교육학회, 2013.
- 하은미, 「종묘제기와 조선시대 제기도설 연구」,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