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대섭-화포와 화약을 제조하는 최무선"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작품 소재) |
|||
(사용자 5명의 중간 판 16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2번째 줄: | 12번째 줄: | ||
}} | }} | ||
=='''정의'''== | =='''정의'''== | ||
− | [[고려]] 후기 무신 [[최무선]]이 [[화통도감 | + | [[고려]] 후기 무신 [[최무선]]이 [[화통도감]]에서 [[화포]]와 [[화약]]을 제조하는 장면을 담은 [[최대섭]]의 민족기록화이다. |
=='''설명'''== | =='''설명'''== | ||
===작품 소재=== | ===작품 소재=== | ||
[[파일:민족기록화 인덱스맵 최대섭-화약제조(최무선)-1979s.jpg|right|450px]] | [[파일:민족기록화 인덱스맵 최대섭-화약제조(최무선)-1979s.jpg|right|450px]] | ||
− | + | 작품 중앙에 위치한 [[최무선|최무선(崔茂宣, 1325~1395)]]을 중심으로 [[화약]] 제조과정이 그려져 있다.<br/> | |
− | 조선 후기 염초제조법 문서인 『[[신전자취염초방]]』과 『[[신전자초방]]』의 설명에 따르면, [[화약]]의 주원료인 [[염초]]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먼저 흙을 모으고(取土), 재를 받아서(取灰) 같은 부피의 비율로 섞는데(交合), 이는 작품 중앙 하단에서 원료를 빻고 있는 사람과 그 오른쪽에 그려진 원료 바구니에서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혼합된 원료를 항아리 안에 펴고 물을 위에 부어 흘러나오는 물을 받아(篩水) 가마에 넣고 달여야 하는데(熬水), 이는 작품 오른편 상단에 그려져 있다. 혼합된 원료를 걸러내어 세 번 끓여 식히면 초석이 생기는데 이는 [[최무선]] 왼편에 검정색 결정으로 묘사되어 있다. 작품 왼쪽 상단에는 이렇게 만들어진 [[화약]]을 사용하는 [[화포]]를 확인할 수 있다. | + | 조선 후기 염초제조법 문서인 『[[신전자취염초방|신전자취염초방(新傳煮取焰硝方)]]』과 『[[신전자초방|신전자초방(新傳煮硝方)]]』의 설명에 따르면, [[화약]]의 주원료인 [[염초]]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먼저 흙을 모으고(취토:取土), 재를 받아서(취회:取灰) 같은 부피의 비율로 섞는데(교합:交合), '''⑧⑨''' 이는 작품 중앙 하단에서 원료를 빻고 있는 사람과 그 오른쪽에 그려진 원료 바구니에서 확인할 수 있다.<br/> |
+ | 그리고 혼합된 원료를 항아리 안에 펴고 물을 위에 부어 흘러나오는 물을 받아(사수:篩水) 가마에 넣고 달여야 하는데(오수:熬水), 이는 '''③⑤⑥''' 작품 오른편 상단에 그려져 있다.<br/> | ||
+ | 혼합된 원료를 걸러내어 세 번 끓여 식히면(재련, 삼련, 합제:再煉, 三煉, 合製) 초석이 생기는데 이는 '''④''' [[최무선]] 왼편에 검정색 결정으로 묘사되어 있다. 작품 왼쪽 상단에는 이렇게 만들어진 [[화약]]을 사용하는 '''① [[화포]]'''를 확인할 수 있다. | ||
===작품 배경=== | ===작품 배경=== | ||
− | 작품의 배경은 1377년([[우왕]] 3) [[최무선]]의 건의로 설치된 [[화통도감|화통도감(火筒都監)]]으로, [[화약]] 및 화기의 제조를 담당했던 임시관청이다. | + | 작품의 배경은 1377년([[우왕]] 3) [[최무선]]의 건의로 설치된 [[화통도감|화통도감(火筒都監)]]으로, [[화약]] 및 화기의 제조를 담당했던 임시관청이다. 1388년([[고려 창왕]]1)에 [[군기시|군기시(軍器寺)]]에 흡수되었다. |
===그림 읽기=== | ===그림 읽기=== | ||
34번째 줄: | 36번째 줄: | ||
=='''지식 관계망'''== | =='''지식 관계망'''== | ||
+ | |||
+ | <!-- | ||
+ | * [https://dh.aks.ac.kr/Encyves/Graph/C025/C025.htm '''"화포와 화약을 제조하는 최무선"(최대섭) 지식관계망'''] | ||
<html> | <html> |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
−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 | +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s://dh.aks.ac.kr/Encyves/Graph/C025/C025.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 </html> | ||
+ | --> | ||
+ | |||
+ | {{ NetworkGraph | title=C025.lst }} | ||
===관계정보=== | ===관계정보=== | ||
97번째 줄: | 105번째 줄: | ||
===관련 민족기록화=== | ===관련 민족기록화=== |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군사 소재 작품" heights=180px style="float:center" >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군사 소재 작품" heights=180px style="float:center" > |
− | 파일:이종상-태종무열왕-1976s.jpg| | + | 파일:정창섭-화랑도의수련-1977s.jpg|576년 [[정창섭-화랑도의 수련]] |
+ | 파일:이종상-태종무열왕-1976s.jpg|660년 [[이종상-태종무열왕]] | ||
파일:최대섭-화약제조(최무선)-1979s.jpg|조선시대 [[최대섭-화포와 화약을 제조하는 최무선]] | 파일:최대섭-화약제조(최무선)-1979s.jpg|조선시대 [[최대섭-화포와 화약을 제조하는 최무선]] | ||
+ | 파일:신영상-백마산성훈련(임경업)-1976s.jpg|1634년 [[신영상-백마산성을 지킨 임경업장군]] | ||
</gallery> | </gallery> | ||
105번째 줄: | 115번째 줄: | ||
===가상현실=== | ===가상현실=== | ||
<html> | <html> | ||
− | <iframe width="100%" height="600" src=" | + | <iframe width="100%" height="600" src="https://dh.aks.ac.kr/encyves/Pavilions/C903/S001/S001.htm" frameborder="0" scrolling="no"></iframe> |
− | </html> | + | </html><br/> |
+ | {{clickable button | [https://dh.aks.ac.kr/encyves/Pavilions/C903/S001/S001.htm 가상 미술관 - 전체 화면 보기] }} | ||
===갤러리=== | ===갤러리=== | ||
121번째 줄: | 132번째 줄: | ||
=='''참고문헌'''== | =='''참고문헌'''== | ||
===인용 및 참조=== | ===인용 및 참조=== | ||
− | # | + | #웹 자원 |
− | #* "[http://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View.do?search_div_id=CP_THE009&cp_code=cp0208&index_id=cp02081490&content_id=cp020814900001&search_left_menu=2 최무선]", <html><online style="color:purple"> | + | #* "[http://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View.do?search_div_id=CP_THE009&cp_code=cp0208&index_id=cp02081490&content_id=cp020814900001&search_left_menu=2 최무선]", 문화원형 라이브러리,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콘텐츠닷컴』<sup>online</sup></online></html>, 한국콘텐츠진흥원. |
− |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4765 화약]",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 #* 고경신,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4765 화약]",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 [[분류:민족기록화]][[분류:작품]][[분류: | + | [[분류:민족기록화]][[분류:작품]][[분류:문헌]] |
2024년 3월 14일 (목) 15:38 기준 최신판
화포와 화약을 제조하는 최무선 | |
작가 | 최대섭 |
---|---|
제작연도 | 1979년 |
규격 | 300호(197x290.9cm) |
유형 | 군사 |
분류 | 유화 |
소장처 | 한국학중앙연구원 |
목차
정의
고려 후기 무신 최무선이 화통도감에서 화포와 화약을 제조하는 장면을 담은 최대섭의 민족기록화이다.
설명
작품 소재
작품 중앙에 위치한 최무선(崔茂宣, 1325~1395)을 중심으로 화약 제조과정이 그려져 있다.
조선 후기 염초제조법 문서인 『신전자취염초방(新傳煮取焰硝方)』과 『신전자초방(新傳煮硝方)』의 설명에 따르면, 화약의 주원료인 염초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먼저 흙을 모으고(취토:取土), 재를 받아서(취회:取灰) 같은 부피의 비율로 섞는데(교합:交合), ⑧⑨ 이는 작품 중앙 하단에서 원료를 빻고 있는 사람과 그 오른쪽에 그려진 원료 바구니에서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혼합된 원료를 항아리 안에 펴고 물을 위에 부어 흘러나오는 물을 받아(사수:篩水) 가마에 넣고 달여야 하는데(오수:熬水), 이는 ③⑤⑥ 작품 오른편 상단에 그려져 있다.
혼합된 원료를 걸러내어 세 번 끓여 식히면(재련, 삼련, 합제:再煉, 三煉, 合製) 초석이 생기는데 이는 ④ 최무선 왼편에 검정색 결정으로 묘사되어 있다. 작품 왼쪽 상단에는 이렇게 만들어진 화약을 사용하는 ① 화포를 확인할 수 있다.
작품 배경
작품의 배경은 1377년(우왕 3) 최무선의 건의로 설치된 화통도감(火筒都監)으로, 화약 및 화기의 제조를 담당했던 임시관청이다. 1388년(고려 창왕1)에 군기시(軍器寺)에 흡수되었다.
그림 읽기
- 그림 위에 마우스를 올려 보세요.
- 온라인 이미지맵 에디터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최대섭-화포와 화약을 제조하는 최무선 | 최대섭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최대섭-화포와 화약을 제조하는 최무선 | 최무선 |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A ekc:depicts B |
최대섭-화포와 화약을 제조하는 최무선 | 화통도감 | A는 B를 배경으로 한다 | A ekc:depicts B |
최대섭-화포와 화약을 제조하는 최무선 | 한국학중앙연구원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최대섭-화포와 화약을 제조하는 최무선 | 인천광역시립박물관 | A는 B에 대여되었다 | A ekc:hasExhibitionAt B |
최무선 | 화통도감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최무선 | 최해산 | A는 아들 B를 두었다 | A ekc:hasSon B |
최해산 | 군기시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화통도감 | 군기시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최무선 | 진포대첩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나세 | 진포대첩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심덕부 | 진포대첩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시간정보
시간정보 | 내용 |
---|---|
1979년 | 최대섭이 최대섭-화포와 화약을 제조하는 최무선을 제작하였다 |
1377년 | 최무선의 건의로 화통도감이 설치되었다 |
1380년 8월 | 최무선이 진포대첩을 지휘하였다 |
1380년 8월 | 나세가 진포대첩을 지휘하였다 |
1380년 8월 | 심덕부가 진포대첩을 지휘하였다 |
공간정보
위도 | 경도 | 내용 |
---|---|---|
37.420575 | 126.6512053 | 인천광역시립박물관이 최대섭-화포와 화약을 제조하는 최무선을 대여하였다 |
37.3915557 | 127.0547403 | 한국학중앙연구원이 최대섭-화포와 화약을 제조하는 최무선을 소장하고 있다 |
관련 민족기록화
576년 정창섭-화랑도의 수련
660년 이종상-태종무열왕
1634년 신영상-백마산성을 지킨 임경업장군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영상
- [NATV]국회방송 한국의 정신 한국 역사상 최초로 화약무기 시대를 열다. 최무선(게시일: 2015년 1월 19일)
주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