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서를 언해하여 백성의 목숨을 구하다"의 두 판 사이의 차이
(→문맥요소) |
(→유용한 정보) |
||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1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개요== | ==개요== | ||
− | + | 2016 장서각 특별전 '한글, 소통과 배려의 문자'에서 언해된 의학서 7건이 소개되었다. 조선 전기에 가난한 백성들은 의원의 진료를 받기 어려웠으며 어려운 한문으로 된 의서를 읽지도 못하였다. 이런 상황에서 의서를 언해하여 보급할 수 있게 한 [[훈민정음]]의 창제는 누구나 쉽게 진단하고 처방할 수 있는 길을 열어준 의료의 대혁신이었다. 전염병, 출산, 식품, 종기 등 다양한 질병을 비롯하여 침과 뜸 같은 치료법까지 의료 전반에 대한 상세한 지식을 담고 있다. 이외에도 구황을 이기는 방법, 말의 병과 여러가지 증상, 고아의 보호 등 한글로 번역된 여러 분야의 서적을 통해 백성의 삶의 질이 한층 나아질 수 있었다. <ref>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 78쪽.</ref> | |
− | 2016 장서각 특별전 '한글, 소통과 배려의 문자' | ||
==내용== | ==내용== | ||
− | === | + | ===의료의 대중화=== |
− | + | 조선시대의 우리나라의 의서는 대체로 중국의 의서를 기본으로 우리의 사정을 참고하여 다시 편찬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다 보니 한자를 사용하는 전문서인 의서에 일반 백성은 접근할 수 없었다. 문자로 인해 접근 자체가 어려웠던 의료 현실에서 [[훈민정음]]의 창제는 모든 백성이 의료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만든 획기적인 사건이었다.<ref>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 84쪽.</ref> | |
===조선시대 의서 언해본의 편찬=== | ===조선시대 의서 언해본의 편찬=== | ||
[[조선 중종]]은 [[김순몽]]등에게 명하여 [[온역|온역(溫疫)]]의 치료에 필요한 | [[조선 중종]]은 [[김순몽]]등에게 명하여 [[온역|온역(溫疫)]]의 치료에 필요한 | ||
− | 처방전을 모아 『[[간이벽온방|간이벽온방(簡易辟瘟方)]]』을 간행하였고, 동시에 한글로 언해하였다. [[홍귀달|홍귀달(洪貴達, 1438~1504)]]은 『[[구급이해방|구급이해방(救急易解方)]]』을 지어 부녀자나 아이들도 책을 보고 치료방법을 깨우칠 수 있도록 하였다. [[조선 선조]]는 [[허준]]에게 명하여 한글로 된 의학서인 『[[언해태산집요]]』, 『[[언해두창집요]]』, 『[[언해구급방]]』 등을 편찬하도록 하였다. 이 언해본 의서들은 『[[동의보감]]』편찬의 밑거름이 되었다. 왕실 여성들이 사용하기 위해 『[[임산예지법]]』과 『[[동의보감내경편언해]]』 등이 편찬되었고, 백성들의 한약 제조 및 복용 지침서인 『[[언해납약증치방]]』도 편찬되었다 | + | 처방전을 모아 『[[간이벽온방|간이벽온방(簡易辟瘟方)]]』을 간행하였고, 동시에 한글로 언해하였다. [[홍귀달|홍귀달(洪貴達, 1438~1504)]]은 『[[구급이해방|구급이해방(救急易解方)]]』을 지어 부녀자나 아이들도 책을 보고 치료방법을 깨우칠 수 있도록 하였다. [[조선 선조]]는 [[허준]]에게 명하여 한글로 된 의학서인 『[[언해태산집요]]』, 『[[언해두창집요]]』, 『[[언해구급방]]』 등을 편찬하도록 하였다. 이 언해본 의서들은 『[[동의보감]]』편찬의 밑거름이 되었다. 왕실 여성들이 사용하기 위해 『[[임산예지법]]』과 『[[동의보감내경편언해]]』 등이 편찬되었고, 백성들의 한약 제조 및 복용 지침서인 『[[언해납약증치방]]』도 편찬되었다.<ref>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 84쪽.</ref> |
− | ===[[언해두창집요]]=== | + | ===『[[언해두창집요]]』=== |
− | + | [[허준]]이 [[조선 선조]]의 명을 받아 [[두창]](천연두)과 관련된 치료법을 저술한 것이다. [[임진왜란]]을 겪으며 의료 대중화에 고심했던 [[조선 선조]]의 애민의식을 엿볼 수 있다. | |
− | ===[[언해태산집요]]=== | + | ===『[[언해태산집요]]』=== |
− | + | [[허준]]이 [[조선 선조]]의 명을 받아 편찬한 산부인과 계열의 의학서이다. 기존에 산부인과 계통의 의학서들이 있었으나. 모두 한문으로 쓰여 부녀자가 보기에는 어려웠으므로 이 책을 편찬하게 되었다. 산부인과와 관련된 질병의 증세와 처방이 한문과 언해문으로 실려있다. | |
− | ===[[태교신기언해]]=== | + | ===『[[태교신기언해]]』=== |
− | + | [[유한규]]의 아내 [[사주당이씨]]가 한문을 짓고 아들인 [[유희]]가 언해를 한 태교 전문 의학서이다. 여타 언해본들과 마찬가지로 한 문장씩 떼어서 먼저 한글로 토를 달고, 이어서 우리말로 옮기는 방식을 취하였다. 이 책은 조선시대에 저술된 최초의 태교전문서로서 이론과 실제(사주당이씨의 경험)를 구비하여 태교의 중요성과 방법을 체계화한 저술로 평가된다. | |
− | ===[[임산예지법]]=== | + | ===『[[임산예지법]]』=== |
− | + | 임신한 여인이 출산 전후에 숙지해야 할 사항들을 정리한 자료이다. 왕실의 출산은 국가의 명운을 짊어질 왕위 계승자를 생산하는 의식이므로 왕실여성의 삶 중에서 큰 비중을 차지한다. [[임산예지법]]은 조선 왕실의 출산 지침을 알려주는 유일한 자료라는 점에서 귀중한 가치를 지닌다. | |
− | ===[[동의보감내경편언해]]=== | + | ===『[[동의보감내경편언해]]』=== |
− | + | [[허준]]이 편찬한 『[[동의보감]]』의 「[[내경편]]」을 언해하여 필사한 책이다. 의녀 등 왕실에서 『[[동의보감]]』을 습득하고 활용하려는 목적으로 편찬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 |
− | ===[[구급간이방]]=== | + | ===『[[구급간이방]]』=== |
− | + | [[윤호]] 등이 [[조선 성종]]의 명을 받아 편찬한 구급 관련 의학서이다. 일반 백성들도 활용해 병을 치료할 수 있도록 방문마다 한글로 언해를 덧붙였다. 이 책은 구급방서 중에서 가장 완비된 것으로 질병을 중풍과 두통 등 127종으로 나누어 그 치료 방문을 모아 엮었다. 조선 초기의 현존하는 몇 안 되는 의서 중 하나로 그 가치가 매우 높다. | |
− | ===[[언해납약증치방]]=== | + | ===『[[언해납약증치방]]』=== |
− | + | [[납약|납약(臘藥)]]의 효능 및 납약을 복용할 때 피해야 하는 사항 등을 기록한 책이다. 이 책에는 [[청심원#우황청심원|우황청심원(牛黃淸心元)]], [[청심원#구미청심원|구미청심원(九味淸心元)]], [[소합원|소합원(蘇合元)]], [[지보단|지보단(至寶丹)]] 등 37종의 [[납약]]이 소개되어 있다. 각각의 [[납약]] 이름 아래에 약의 효능과 복용법을 한문으로 기술한 뒤, 언해문을 덧붙였다. 한문 뒤에 언해문을 병기한 것은 뜻밖의 다급한 상황에 여인들이 [[납약]]을 제대로 활용할 수 있도록 배려한 것이다. | |
==지식 관계망== | ==지식 관계망== | ||
38번째 줄: | 37번째 줄: |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
−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 | +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A204/A204.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 </html> | ||
71번째 줄: | 70번째 줄: | ||
===관계정보=== | ===관계정보=== | ||
− | {|class="wikitable sortable" |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width:100%; background:white; text-align:center" |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 | |- | ||
− | | [[의서를 언해하여 백성의 목숨을 구하다]] || [[언해두창집요]] ||A는 B를 | + | | [[의서를 언해하여 백성의 목숨을 구하다]] || [[언해두창집요]]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
|- | |- | ||
− | | [[의서를 언해하여 백성의 목숨을 구하다]] || [[언해태산집요]] ||A는 B를 | + | | [[의서를 언해하여 백성의 목숨을 구하다]] || [[언해태산집요]]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 | |- | ||
− | | [[의서를 언해하여 백성의 목숨을 구하다]] || [[태교신기언해]] ||A는 B를 | + | | [[의서를 언해하여 백성의 목숨을 구하다]] || [[태교신기언해]]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
|- | |- | ||
− | | [[의서를 언해하여 백성의 목숨을 구하다]] || [[임산예지법]] ||A는 B를 | + | | [[의서를 언해하여 백성의 목숨을 구하다]] || [[임산예지법]]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 | |- | ||
− | | [[의서를 언해하여 백성의 목숨을 구하다]] || [[동의보감내경편언해]] ||A는 B를 | + | | [[의서를 언해하여 백성의 목숨을 구하다]] || [[동의보감내경편언해]]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 | |- | ||
− | | [[의서를 언해하여 백성의 목숨을 구하다]] || [[구급간이방]] ||A는 B를 | + | | [[의서를 언해하여 백성의 목숨을 구하다]] || [[구급간이방]]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 | |- | ||
− | | [[의서를 언해하여 백성의 목숨을 구하다]] || [[언해납약증치방]] ||A는 B를 | + | | [[의서를 언해하여 백성의 목숨을 구하다]] || [[언해납약증치방]]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 | |} | ||
101번째 줄: | 100번째 줄: | ||
| 1466년 || [[임원준]]이 [[구급방]]을 저술하였다. | | 1466년 || [[임원준]]이 [[구급방]]을 저술하였다. | ||
|- | |- | ||
− | | 1489년 || [[임원준]], [[윤호 | + | | 1489년 || [[임원준]], [[윤호]] 등이 [[구급간이방]]을 저술하였다. |
|- | |- | ||
| 1601년 || [[조선 선조]]가 [[언해태산집요 편찬]]을 명령하였다. | | 1601년 || [[조선 선조]]가 [[언해태산집요 편찬]]을 명령하였다. | ||
122번째 줄: | 121번째 줄: | ||
==시각자료== | ==시각자료== | ||
+ | ===갤러리=== | ||
<gallery> | <gallery> | ||
파일:언해두창집요 02.jpg | 언해두창집요 | 파일:언해두창집요 02.jpg | 언해두창집요 | ||
131번째 줄: | 131번째 줄: | ||
파일:언해납약증치방_02.jpg | 언해납약증치방 | 파일:언해납약증치방_02.jpg | 언해납약증치방 | ||
</gallery> | </gallery> | ||
+ | |||
==주석== | ==주석== | ||
<references/> | <references/> | ||
− | == | + | ==참고문헌== |
− | ===더 | + | ===더 읽을 거리=== |
*단행본 | *단행본 | ||
**신동원, 『동의보감과 동아시아 의학사』, 들녘, 2015. | **신동원, 『동의보감과 동아시아 의학사』, 들녘, 2015. | ||
===유용한 정보=== | ===유용한 정보=== | ||
− | *신동원, "[http://jsg.aks.ac.kr/home/academy/generalView.do?searchCondition=&searchWord=&page=1&idx=35 의서를 언해하여 백성을 치료하다]", 장서각 아카데미,『장서각』, 한국학중앙연구원. | + | *신동원, "[http://jsg.aks.ac.kr/home/academy/generalView.do?searchCondition=&searchWord=&page=1&idx=35 의서를 언해하여 백성을 치료하다]", 장서각 아카데미, <html><online style="color:purple">『장서각』<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분류:한글고문서]] | [[분류:한글고문서]] | ||
[[분류:기획기사]] | [[분류:기획기사]] | ||
− |
2017년 11월 22일 (수) 22:19 기준 최신판
목차
개요
2016 장서각 특별전 '한글, 소통과 배려의 문자'에서 언해된 의학서 7건이 소개되었다. 조선 전기에 가난한 백성들은 의원의 진료를 받기 어려웠으며 어려운 한문으로 된 의서를 읽지도 못하였다. 이런 상황에서 의서를 언해하여 보급할 수 있게 한 훈민정음의 창제는 누구나 쉽게 진단하고 처방할 수 있는 길을 열어준 의료의 대혁신이었다. 전염병, 출산, 식품, 종기 등 다양한 질병을 비롯하여 침과 뜸 같은 치료법까지 의료 전반에 대한 상세한 지식을 담고 있다. 이외에도 구황을 이기는 방법, 말의 병과 여러가지 증상, 고아의 보호 등 한글로 번역된 여러 분야의 서적을 통해 백성의 삶의 질이 한층 나아질 수 있었다. [1]
내용
의료의 대중화
조선시대의 우리나라의 의서는 대체로 중국의 의서를 기본으로 우리의 사정을 참고하여 다시 편찬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다 보니 한자를 사용하는 전문서인 의서에 일반 백성은 접근할 수 없었다. 문자로 인해 접근 자체가 어려웠던 의료 현실에서 훈민정음의 창제는 모든 백성이 의료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만든 획기적인 사건이었다.[2]
조선시대 의서 언해본의 편찬
조선 중종은 김순몽등에게 명하여 온역(溫疫)의 치료에 필요한 처방전을 모아 『간이벽온방(簡易辟瘟方)』을 간행하였고, 동시에 한글로 언해하였다. 홍귀달(洪貴達, 1438~1504)은 『구급이해방(救急易解方)』을 지어 부녀자나 아이들도 책을 보고 치료방법을 깨우칠 수 있도록 하였다. 조선 선조는 허준에게 명하여 한글로 된 의학서인 『언해태산집요』, 『언해두창집요』, 『언해구급방』 등을 편찬하도록 하였다. 이 언해본 의서들은 『동의보감』편찬의 밑거름이 되었다. 왕실 여성들이 사용하기 위해 『임산예지법』과 『동의보감내경편언해』 등이 편찬되었고, 백성들의 한약 제조 및 복용 지침서인 『언해납약증치방』도 편찬되었다.[3]
『언해두창집요』
허준이 조선 선조의 명을 받아 두창(천연두)과 관련된 치료법을 저술한 것이다. 임진왜란을 겪으며 의료 대중화에 고심했던 조선 선조의 애민의식을 엿볼 수 있다.
『언해태산집요』
허준이 조선 선조의 명을 받아 편찬한 산부인과 계열의 의학서이다. 기존에 산부인과 계통의 의학서들이 있었으나. 모두 한문으로 쓰여 부녀자가 보기에는 어려웠으므로 이 책을 편찬하게 되었다. 산부인과와 관련된 질병의 증세와 처방이 한문과 언해문으로 실려있다.
『태교신기언해』
유한규의 아내 사주당이씨가 한문을 짓고 아들인 유희가 언해를 한 태교 전문 의학서이다. 여타 언해본들과 마찬가지로 한 문장씩 떼어서 먼저 한글로 토를 달고, 이어서 우리말로 옮기는 방식을 취하였다. 이 책은 조선시대에 저술된 최초의 태교전문서로서 이론과 실제(사주당이씨의 경험)를 구비하여 태교의 중요성과 방법을 체계화한 저술로 평가된다.
『임산예지법』
임신한 여인이 출산 전후에 숙지해야 할 사항들을 정리한 자료이다. 왕실의 출산은 국가의 명운을 짊어질 왕위 계승자를 생산하는 의식이므로 왕실여성의 삶 중에서 큰 비중을 차지한다. 임산예지법은 조선 왕실의 출산 지침을 알려주는 유일한 자료라는 점에서 귀중한 가치를 지닌다.
『동의보감내경편언해』
허준이 편찬한 『동의보감』의 「내경편」을 언해하여 필사한 책이다. 의녀 등 왕실에서 『동의보감』을 습득하고 활용하려는 목적으로 편찬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구급간이방』
윤호 등이 조선 성종의 명을 받아 편찬한 구급 관련 의학서이다. 일반 백성들도 활용해 병을 치료할 수 있도록 방문마다 한글로 언해를 덧붙였다. 이 책은 구급방서 중에서 가장 완비된 것으로 질병을 중풍과 두통 등 127종으로 나누어 그 치료 방문을 모아 엮었다. 조선 초기의 현존하는 몇 안 되는 의서 중 하나로 그 가치가 매우 높다.
『언해납약증치방』
납약(臘藥)의 효능 및 납약을 복용할 때 피해야 하는 사항 등을 기록한 책이다. 이 책에는 우황청심원(牛黃淸心元), 구미청심원(九味淸心元), 소합원(蘇合元), 지보단(至寶丹) 등 37종의 납약이 소개되어 있다. 각각의 납약 이름 아래에 약의 효능과 복용법을 한문으로 기술한 뒤, 언해문을 덧붙였다. 한문 뒤에 언해문을 병기한 것은 뜻밖의 다급한 상황에 여인들이 납약을 제대로 활용할 수 있도록 배려한 것이다.
지식 관계망
중심요소
문맥요소
- Actor-인물: 허준
- Actor-인물: 윤호
- Actor-인물: 조선 선조
- Actor-인물: 조선 성종
- Actor-인물: 사주당이씨
- Actor-인물: 유희
- Actor-인물: 임원준
- Concept-개념: 청심원
- Concept-개념: 납약
- Concept-개념: 소합원
- Concept-개념: 지보단
- Event-사건: 임진왜란
- Object-문헌: 창진집
- Object-문헌: 태산집
- Object-문헌: 구급방
- Object-문헌: 의방유취
- Object-문헌: 동의보감
- Actor-단체: 내의원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의서를 언해하여 백성의 목숨을 구하다 | 언해두창집요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의서를 언해하여 백성의 목숨을 구하다 | 언해태산집요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의서를 언해하여 백성의 목숨을 구하다 | 태교신기언해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의서를 언해하여 백성의 목숨을 구하다 | 임산예지법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의서를 언해하여 백성의 목숨을 구하다 | 동의보감내경편언해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의서를 언해하여 백성의 목숨을 구하다 | 구급간이방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의서를 언해하여 백성의 목숨을 구하다 | 언해납약증치방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시간정보
시간 | 내용 |
---|---|
1434년 | 노중례가 태산집을 저술하였다. |
1445년 | 임원준이 의방유취를 저술하였다. |
세조시기 | 임원준이 창진집을 저술하였다. |
1466년 | 임원준이 구급방을 저술하였다. |
1489년 | 임원준, 윤호 등이 구급간이방을 저술하였다. |
1601년 | 조선 선조가 언해태산집요 편찬을 명령하였다. |
1601년 | 조선 선조가 언해두창집요 편찬을 명령하였다. |
1608년 | 허준이 언해두창집요를 저술하였다. |
1608년 | 허준이 언해태산집요를 저술하였다. |
17세기 | 언해납약증치방이 저술되었다. |
1800년 | 사주당이씨가 태교신기언해를 저술하였다. |
조선후기 | 임산예지법이 저술되었다. |
19세기 | 동의보감내경편언해가 필사되었다. |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 78쪽.
-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 84쪽.
-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 84쪽.
참고문헌
더 읽을 거리
- 단행본
- 신동원, 『동의보감과 동아시아 의학사』, 들녘, 2015.
유용한 정보
- 신동원, "의서를 언해하여 백성을 치료하다", 장서각 아카데미,
『장서각』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