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부식"의 두 판 사이의 차이
(→관련항목) |
(→내용) |
||
(다른 사용자 한 명의 중간 판 8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인물정보 | {{인물정보 | ||
− | |사진= | + | |사진=역사인물초상화_초상_김부식_표준영정.jpg |
− | |사진출처= | + | |사진출처= "[http://www.kculture.or.kr/korean/portrait/portraitView.jsp?sp_seq=53 김부식]", 선현의 표준영정,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민족정보마당』<sup>online</sup></online></html>, 한국문화정보원. |
|대표명칭=김부식 | |대표명칭=김부식 | ||
|한자표기=金富軾 | |한자표기=金富軾 | ||
29번째 줄: | 29번째 줄: | ||
|유형= | |유형= | ||
}} | }} | ||
− | |||
=='''정의'''== | =='''정의'''== | ||
43번째 줄: | 42번째 줄: | ||
관직에서 물러난 후 [[고려 인종|인종]]은 그를 도와줄 8인의 젊은 관료를 보내어 『[[삼국사기|삼국사기(三國史記)]]』의 편찬을 명하였으며, 김부식은 [[고려 인종|인종]]이 죽기 직전인 1145년([[고려 인종|인종]] 23) 50권의 『[[삼국사기]]』를 편찬해 바쳤다. 『[[삼국사기]]』의 편찬체재(編纂體裁)를 스스로 정하였고, 이에 따라 참고직(參考職)의 조수를 시켜 사료를 발췌·정리시켰으며, 사론(史論)은 자신이 직접 쓰기도 하였다. 이 밖에도 김부식은 [[고려 인종|인종]] 초년에 『예종실록(睿宗實錄)』을 편찬하였고, [[고려 의종|의종(毅宗)]] 초년에는 『인종실록(仁宗實錄)』의 편찬도 담당하였다.<ref>정구복,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9275 김부식]",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관직에서 물러난 후 [[고려 인종|인종]]은 그를 도와줄 8인의 젊은 관료를 보내어 『[[삼국사기|삼국사기(三國史記)]]』의 편찬을 명하였으며, 김부식은 [[고려 인종|인종]]이 죽기 직전인 1145년([[고려 인종|인종]] 23) 50권의 『[[삼국사기]]』를 편찬해 바쳤다. 『[[삼국사기]]』의 편찬체재(編纂體裁)를 스스로 정하였고, 이에 따라 참고직(參考職)의 조수를 시켜 사료를 발췌·정리시켰으며, 사론(史論)은 자신이 직접 쓰기도 하였다. 이 밖에도 김부식은 [[고려 인종|인종]] 초년에 『예종실록(睿宗實錄)』을 편찬하였고, [[고려 의종|의종(毅宗)]] 초년에는 『인종실록(仁宗實錄)』의 편찬도 담당하였다.<ref>정구복,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9275 김부식]",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 송나라에서 사신으로 왔던 [[서긍|서긍(徐兢)]]은 『[[고려도경|고려도경(高麗圖經)]]』의 인물조에서 그를 "박학강식(博學强識)해 글을 잘 짓고 고금을 잘 알아 학사의 신복을 받으니 능히 그보다 위에 설 사람이 없다."라고 평하였다. [[의천|대각국사 의천(大覺國師 義天)]]을 만나보기도 하였고, [[윤관|윤관(尹瓘)]]이 지은 [[개성 영통사 대각국사비|영통사대각국사비문(靈通寺大覺國師碑文)]]이 잘못되었다고 문도들에 의해 문제가 제기되자 다시 짓기도 하였다.<ref>정구복,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9275 김부식]",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송나라에서 사신으로 왔던 [[서긍(중국)|서긍(徐兢)]]은 『[[고려도경|고려도경(高麗圖經)]]』의 인물조에서 그를 "박학강식(博學强識)해 글을 잘 짓고 고금을 잘 알아 학사의 신복을 받으니 능히 그보다 위에 설 사람이 없다."라고 평하였다. [[의천|대각국사 의천(大覺國師 義天)]]을 만나보기도 하였고, [[윤관|윤관(尹瓘)]]이 지은 [[개성 영통사 대각국사비|영통사대각국사비문(靈通寺大覺國師碑文)]]이 잘못되었다고 문도들에 의해 문제가 제기되자 다시 짓기도 하였다.<ref>정구복,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9275 김부식]",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고려사|고려사(高麗史)]]』 열전(列傳)에 의하면, 김부식은 20권 분량의 문집을 남겼다고 하나 오늘날 전해지지 않는다. 다만 『[[동문선|동문선(東文選)]]』에 부(賦)·시(詩)·교서(敎書)·제고(制誥)·책(冊)·비답(批答)·표전(表箋)·계(啓)·장(狀)·명(銘)·찬(贊)·기(記)·의(議)·소(疏)·청사(靑詞)에 각각 약간 수가 전할 따름이다. [[최자|최자(崔滋)]]의 『[[보한집|보한집(補閑集)]]』에는 『[[동문선]]』에서 찾아볼 수 없는 시 3수가 수록되어 있다.<ref>권영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34112&cid=41708&categoryId=44531 김부식]", 네이버고전문학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작성일: 2004년 02월 25일.</ref> | 『[[고려사|고려사(高麗史)]]』 열전(列傳)에 의하면, 김부식은 20권 분량의 문집을 남겼다고 하나 오늘날 전해지지 않는다. 다만 『[[동문선|동문선(東文選)]]』에 부(賦)·시(詩)·교서(敎書)·제고(制誥)·책(冊)·비답(批答)·표전(表箋)·계(啓)·장(狀)·명(銘)·찬(贊)·기(記)·의(議)·소(疏)·청사(靑詞)에 각각 약간 수가 전할 따름이다. [[최자|최자(崔滋)]]의 『[[보한집|보한집(補閑集)]]』에는 『[[동문선]]』에서 찾아볼 수 없는 시 3수가 수록되어 있다.<ref>권영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34112&cid=41708&categoryId=44531 김부식]", 네이버고전문학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작성일: 2004년 02월 25일.</ref> | ||
50번째 줄: | 49번째 줄: | ||
김부식(金富軾)이 지은 비문으로는, [[개성 영통사 대각국사비|개성 영통사 대각국사비(開城 靈通寺 大覺國師碑)]], [[묘향산보현사기|묘향산보현사기(妙香山普賢寺記)]], [[안양사칠층탑비|안양사칠층탑비(安養寺七層塔碑)]] 등이 있다. | 김부식(金富軾)이 지은 비문으로는, [[개성 영통사 대각국사비|개성 영통사 대각국사비(開城 靈通寺 大覺國師碑)]], [[묘향산보현사기|묘향산보현사기(妙香山普賢寺記)]], [[안양사칠층탑비|안양사칠층탑비(安養寺七層塔碑)]] 등이 있다. | ||
− | ==''' | + | =='''지식 관계망'''== |
− | === | + | ===관계정보===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70번째 줄: | 69번째 줄: | ||
|- | |- | ||
| [[김부식]] || [[김부의]] || A는 형제 B가 있다 || A ekc:hasBrother B | | [[김부식]] || [[김부의]] || A는 형제 B가 있다 || A ekc:hasBrother B | ||
+ | |- | ||
+ | | [[김부식]] || [[윤언이]] || A는 B와 대립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해동명장전]] || [[김부식]] || A는 B를 언급하였다 || A ekc:mentions B | ||
+ | |- | ||
+ | | [[묘청의 난]] || [[김부식]]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백운소설]] || [[김부식]] || A는 B를 언급하였다 || A ekc:mentions B | ||
+ | |- | ||
+ | | [[김부식]] || [[김군수]] || A는 B의 선조이다 || A ekc:hasDescendant B | ||
|} | |} | ||
=='''시각자료'''== | =='''시각자료'''== | ||
===갤러리=== | ===갤러리=== | ||
− | <gallery mode=packed heights=230px | + | <gallery mode=packed heights=230px> |
+ | 파일:역사인물초상화_초상_김부식_표준영정.jpg|김부식 표준영정<ref>"[http://www.kculture.or.kr/korean/portrait/portraitView.jsp?sp_seq=53 김부식]", 선현의 표준영정,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민족정보마당』<sup>online</sup></online></html>, 한국문화정보원.</ref> | ||
</gallery> | </gallery> | ||
+ | |||
+ | ===영상=== | ||
+ | * NATV 국회방송, "[https://www.youtube.com/embed/fCgwsd07fjs NATV 국회방송 한국의 정신- 69회 김부식]", YouTube, 게시일: 2016년 3월 10일. | ||
+ | <html> | ||
+ | <iframe width="640" height="360" src="https://www.youtube.com/embed/fCgwsd07fjs" frameborder="0" gesture="media" allowfullscreen></iframe> | ||
+ | </html> | ||
=='''주석'''== | =='''주석'''== | ||
81번째 줄: | 97번째 줄: | ||
=='''참고문헌'''== | =='''참고문헌'''== | ||
− | *정구복,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9275 김부식]",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 ===인용 및 참조=== |
− | *정치학대사전편찬위원회, 『21세기 정치학대사전』, 한국사전연구사.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729998&cid=42140&categoryId=42140 김부식]", 21세기 정치학대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 | #웹 자원 |
− | *권영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34112&cid=41708&categoryId=44531 김부식]", 네이버고전문학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작성일: 2004년 02월 25일. | + | #*정구복,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9275 김부식]",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국역 고려사: 열전』, 경인문화사, 2006.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671328&cid=49632&categoryId=49632 김부식]", 국역 고려사: 열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 | #*정치학대사전편찬위원회, 『21세기 정치학대사전』, 한국사전연구사.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729998&cid=42140&categoryId=42140 김부식]", 21세기 정치학대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 | #*권영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34112&cid=41708&categoryId=44531 김부식]", 네이버고전문학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작성일: 2004년 02월 25일. | ||
+ |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국역 고려사: 열전』, 경인문화사, 2006.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671328&cid=49632&categoryId=49632 김부식]", 국역 고려사: 열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
+ | #*"[http://www.kculture.or.kr/korean/portrait/portraitView.jsp?sp_seq=53 김부식]", 선현의 표준영정,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민족정보마당』<sup>online</sup></online></html>, 한국문화정보원. | ||
− | [[분류:인물]] | + | {{틀:역사인물초상화 Top icon}} |
+ | [[분류:역사인물초상화]][[분류:역사인물]][[분류:인물]] |
2022년 9월 3일 (토) 07:47 기준 최신판
김부식(金富軾) | |
대표명칭 | 김부식 |
---|---|
한자표기 | 金富軾 |
생몰년 | 1075년-1151년 |
본관 | 경주(慶州) |
시호 | 문열(文烈) |
호 | 뇌천(雷川) |
자 | 입지(立之) |
시대 | 고려 |
대표저서 | 『삼국사기(三國史記)』 |
부 | 김근(金覲) |
정의
고려 중기의 문신.
내용
김부식(金富軾)은 김근(金覲)의 셋째 아들로, 김부의(金富儀)의 형이자, 김부필(金富弼)과 김부일(金富佾)의 동생이다.
김부식은 1096년(숙종 1) 과거에 급제하였으며, 위계정(魏繼廷)의 천거로 한림원(翰林院)의 직한림(直翰林)에 발탁되었다. 이후 20여 년 동안 한림원 등의 문한직(文翰職)에 종사하면서 자신의 학문을 발전시켰고 한편으로는 예종(睿宗)·인종(仁宗)에게 경사(經史)를 강(講)하기도 하였다. 1116년(예종 11) 7월에 이자량(李資諒)을 따라 송나라에 사신으로 가서 송나라가 대성악(大晟樂)을 보내준 것에 대한 사의를 표하였다. 6개월간 송나라 휘종(徽宗)의 융숭한 대접을 받았고 오는 길에 사마광(司馬光)의 『자치통감(資治通鑑)』 한 질을 가지고 왔다.[1]
1134년(인종 12) 묘청(妙淸)은 금국정벌(金國征伐)과 칭제건원(稱帝建元)을 주장하면서 서경(西京)에서 1135년(인종 13)에 반란을 일으키자 김부식은 진압 책임을 맡아 이듬해 2월에 완전 진압하였다.[2] 그런데 김부식은 묘청의 난을 진압할 때 자신의 막료로서 전공을 세운 윤언이(尹彦頤)를 포상하지 않고 도리어 탄핵해 양주방어사(梁防禦使)로 좌천시켰다. 그 이유는 윤언이가 이전에 주장했던 칭제건원론(稱帝建元論)이 묘청의 난과도 관련이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인종은 1140년(인종 18) 김부식 등 재신과 대간들의 건의를 들어주지 않고 사면령을 반포하였다. 그 결과 김부식은 정치보복을 염려해 세 번이나 사직상소를 올려 관직에서 물러났다.[3]
관직에서 물러난 후 인종은 그를 도와줄 8인의 젊은 관료를 보내어 『삼국사기(三國史記)』의 편찬을 명하였으며, 김부식은 인종이 죽기 직전인 1145년(인종 23) 50권의 『삼국사기』를 편찬해 바쳤다. 『삼국사기』의 편찬체재(編纂體裁)를 스스로 정하였고, 이에 따라 참고직(參考職)의 조수를 시켜 사료를 발췌·정리시켰으며, 사론(史論)은 자신이 직접 쓰기도 하였다. 이 밖에도 김부식은 인종 초년에 『예종실록(睿宗實錄)』을 편찬하였고, 의종(毅宗) 초년에는 『인종실록(仁宗實錄)』의 편찬도 담당하였다.[4]
송나라에서 사신으로 왔던 서긍(徐兢)은 『고려도경(高麗圖經)』의 인물조에서 그를 "박학강식(博學强識)해 글을 잘 짓고 고금을 잘 알아 학사의 신복을 받으니 능히 그보다 위에 설 사람이 없다."라고 평하였다. 대각국사 의천(大覺國師 義天)을 만나보기도 하였고, 윤관(尹瓘)이 지은 영통사대각국사비문(靈通寺大覺國師碑文)이 잘못되었다고 문도들에 의해 문제가 제기되자 다시 짓기도 하였다.[5]
『고려사(高麗史)』 열전(列傳)에 의하면, 김부식은 20권 분량의 문집을 남겼다고 하나 오늘날 전해지지 않는다. 다만 『동문선(東文選)』에 부(賦)·시(詩)·교서(敎書)·제고(制誥)·책(冊)·비답(批答)·표전(表箋)·계(啓)·장(狀)·명(銘)·찬(贊)·기(記)·의(議)·소(疏)·청사(靑詞)에 각각 약간 수가 전할 따름이다. 최자(崔滋)의 『보한집(補閑集)』에는 『동문선』에서 찾아볼 수 없는 시 3수가 수록되어 있다.[6]
비문의 찬자
김부식(金富軾)이 지은 비문으로는, 개성 영통사 대각국사비(開城 靈通寺 大覺國師碑), 묘향산보현사기(妙香山普賢寺記), 안양사칠층탑비(安養寺七層塔碑) 등이 있다.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김부식 표준영정 | 김부식 | A는 B를 묘사하였다 | A ekc:depicts B |
개성 영통사 대각국사비 | 김부식 |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 A ekc:writer B |
묘향산보현사기 | 김부식 |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 A ekc:writer B |
안양사칠층탑비 | 김부식 |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 A ekc:writer B |
삼국사기 | 김부식 | A는 B가 저술하였다 | A dcterms:creator B |
김부식 | 김부필 | A는 형제 B가 있다 | A ekc:hasBrother B |
김부식 | 김부일 | A는 형제 B가 있다 | A ekc:hasBrother B |
김부식 | 김부의 | A는 형제 B가 있다 | A ekc:hasBrother B |
김부식 | 윤언이 | A는 B와 대립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해동명장전 | 김부식 | A는 B를 언급하였다 | A ekc:mentions B |
묘청의 난 | 김부식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백운소설 | 김부식 | A는 B를 언급하였다 | A ekc:mentions B |
김부식 | 김군수 | A는 B의 선조이다 | A ekc:hasDescendant B |
시각자료
갤러리
김부식 표준영정[7]
영상
- NATV 국회방송, "NATV 국회방송 한국의 정신- 69회 김부식", YouTube, 게시일: 2016년 3월 10일.
주석
- ↑ 정구복, "김부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정치학대사전편찬위원회, 『21세기 정치학대사전』, 한국사전연구사. 온라인 참조: "김부식", 21세기 정치학대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 정구복, "김부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정구복, "김부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정구복, "김부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권영민, "김부식", 네이버고전문학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작성일: 2004년 02월 25일. - ↑ "김부식", 선현의 표준영정,
『한민족정보마당』online , 한국문화정보원.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웹 자원
- 정구복, "김부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정치학대사전편찬위원회, 『21세기 정치학대사전』, 한국사전연구사. 온라인 참조: "김부식", 21세기 정치학대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권영민, "김부식", 네이버고전문학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작성일: 2004년 02월 25일. -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국역 고려사: 열전』, 경인문화사, 2006. 온라인 참조: "김부식", 국역 고려사: 열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김부식", 선현의 표준영정,
『한민족정보마당』online , 한국문화정보원.
- 정구복, "김부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