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씨부인 분재문기"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한글고문헌 샘플 |이미지= |대표명칭= 이씨부인 분재문기 |한자명칭= |로마자명칭= |영문명칭= Madame Yi’s document of land and servant distributio...)
 
잔글 (장서각 한글특별전 내용)
 
(사용자 7명의 중간 판 36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한글고문헌 샘플
 
{{한글고문헌 샘플
|이미지=  
+
|이미지= 한글팀 적모이씨 한글분재기.jpg
 
|대표명칭= 이씨부인 분재문기
 
|대표명칭= 이씨부인 분재문기
 
|한자명칭=  
 
|한자명칭=  
 
|로마자명칭=  
 
|로마자명칭=  
|영문명칭= Madame Yi’s document of land and servant distribution
+
|영문명칭= Madame Yi's document of land and servant distribution
|작자=이씨부인
+
|작자=최동집 처 여강이씨
 
|작성시기=  
 
|작성시기=  
|간행시기=1644년(인조22)
+
|간행시기=1644년
 
|간행처=
 
|간행처=
 
|기탁처=
 
|기탁처=
17번째 줄: 17번째 줄:
 
|수량= 1장
 
|수량= 1장
 
|표기문자= 한글
 
|표기문자= 한글
|필드수= 14
+
|해독문= 이씨부인 분재문기 (해독)
}}
+
|필드수= 15
</noinclude>
+
}} </noinclude>
 +
=='''정의'''==
 +
1644년(조선 인조 22) 4월 10일, 적모 이씨가 일곱 자녀에게 전답과 노비를 분재하기 위해 한글로 작성한 문서이다.
  
==개요==
+
=='''내용'''==
1644년(인조22), 4월 10일, 적모(嫡母) 이씨가 일곱 자녀에게 전답과 노비를 분재하기 위해 한글로 작성한 문서이다.  
+
===장서각 한글특별전 내용===
 +
[[적모 이씨]]는 [[최동집]](崔東㠍)의 처 [[최동집 처 여강이씨 |여강이씨(驪江李氏)]]로, 이 문서는 '적모이씨'라고 한글로 쓰고 도장을 찍었으며, 증인과 필집은 따로 기록된 것이 없는 것으로 보아 이씨가 직접 작성했음을 알 수 있다. 재산을 별급(別給)받은 7명의 자녀는 적모(嫡母) 이씨의 소생이 아닌 서자녀들로, 적모가 서자녀에게 별급한 일은 아주 이례적인 경우이다. 족보에는 적자로 [[최위남]](崔衛南)이 있고, 그 아래로 서자녀 7남매인 [[최재남]](崔載南), [[최제남]](崔濟南), [[최여남]](崔汝南), [[최직남]](崔直南), [[최국남]](崔國南), [[최세남]](崔世南), 그리고 [[서연]](徐兗)의 처(妻)가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족보와 분재기에 기록된 이들의 차서(次序)에는 서로 차이가 있다. <REF>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 174쪽.</REF>
  
 +
===부연 설명===
 +
본 [[이씨부인 분재문기]]의 원소장처는 대구 칠계 경주최씨 백불암종중이다.<REF>"[http://yn.ugyo.net/dir/list?uci=KSAC%2bA02%2bKSM-XE.1644.2714-20100731.K271408693_0 적모 이씨 한글 분재기]",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학자료센터 영남권역센터』<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경주최씨 백불암종택은 대구광역시 동구 둔산동의 옻골마을에 위치하며, [[최흥원 |백불암(百弗庵) 최흥원(崔興遠, 1705~1786)]]을 불천위로 모시고 있다. 1616년(광해군 8) [[최동집]](崔東㠍, 1586~1661)이 이곳에 정착한 뒤 그의 후손들이 세거하여 경주최씨 동성마을을 이루었다. 옻골에 세거하여 옻골최씨라고도 한다.<ref>"[http://yn.ugyo.net/knowledge/viewPop?id=60 경주최씨 백불암종택]",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학자료센터 영남권역센터』<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내용==
+
{{연계자원정보
1644년(인조22), 4월 10일, 적모(嫡母) 이씨가 일곱 자녀에게 전답과 노비를 분재하기 위해 한글로 작성한 문서이다. 적모 이씨는 [[최동집]](崔東㠍)의 처 [[여강이씨]](驪江李氏)로, 이 문서는 ‘[[적모이씨]]’라고 한글로 쓰고 도장을 찍었으며, 증인과 필집은 따로 기록된 것이 없는 것으로 보아 이씨가 직접 작성했음을 알 수 있다. 재산을 별급받은 7명의 자녀는 적모 이씨의 소생이 아닌 서자녀들로, 서자녀에게 적모가 별급한 것은 아주 특별한 경우이다. 족보에는 적자로 [[최위남]](崔衛南)이 있고, 그 아래로 서자녀 7남매인 [[최재남]](崔載南), [[최제남]](崔濟南), [[최여남]](崔汝南), [[최직남]](崔直南), [[최국남]](崔國南), [[최세남]](崔世南), 그리고 [[서연]](徐兗)의 처(妻)가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족보와 분재기에 기록된 이들의 차서(次序)에는 다소 차이가 발견된다. <REF>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06.28, 174쪽.</REF>
+
|연계자원1=[[이씨부인 분재문기 (해독)]]
 
+
|연계자원2=
 +
|연계자원3=
 +
|연계자원4=
 +
|연계자원5=
 +
}}
  
==관련항목==
+
=='''지식 관계망'''==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white;
+
===관계정보===
!중심||width="33%"|연결정보||width="33%"|대상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text-align:center;"
 +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PAGENAME}} ||편찬자||이씨부인
+
| [[이씨부인 분재문기]] || [[최동집 처 여강이씨]] || A는 B에 의해 작성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
|{{PAGENAME}} ||편찬자||여강이씨
+
| [[이씨부인]] || [[최동집 처 여강이씨]] || A는 B와 유사하다 || A owl:sameAs B
 
|-
 
|-
|{{PAGENAME}} ||편찬자||적모이씨
+
| [[적모이씨]] || [[최동집 처 여강이씨]] || A는 B와 유사하다 || A owl:sameAs B
 
|-
 
|-
|{{PAGENAME}} ||인물||최동집
+
| [[최동집]] || [[여강이씨]] || A는 B의 남편이다 || A ekc:hasWife B
 
|-
 
|-
|{{PAGENAME}} ||인물||최위남
+
| [[최위남]] || [[이씨부인 분재문기]] || A는 B에 언급되었다 || A ekc:isMentionedIn B
 
|-
 
|-
|{{PAGENAME}} ||인물||최재남
+
| [[최재남]] || [[이씨부인 분재문기]] || A는 B에 언급되었다 || A ekc:isMentionedIn B
 
|-
 
|-
|{{PAGENAME}} ||인물||최제남
+
| [[최제남]] || [[이씨부인 분재문기]] || A는 B에 언급되었다 || A ekc:isMentionedIn B
 
|-
 
|-
|{{PAGENAME}} ||인물||최여남
+
| [[최여남]] || [[이씨부인 분재문기]] || A는 B에 언급되었다 || A ekc:isMentionedIn B
 
|-
 
|-
|{{PAGENAME}} ||인물||최직남
+
| [[최직남]] || [[이씨부인 분재문기]] || A는 B에 언급되었다 || A ekc:isMentionedIn B
 
|-
 
|-
|{{PAGENAME}} ||인물||최국남
+
| [[최국남]] || [[이씨부인 분재문기]] || A는 B에 언급되었다 || A ekc:isMentionedIn B
 
|-
 
|-
|{{PAGENAME}} ||인물||최세남
+
| [[최세남]] || [[이씨부인 분재문기]] || A는 B에 언급되었다 || A ekc:isMentionedIn B
 
|-
 
|-
|{{PAGENAME}} ||인물||서연
+
| [[서연의 처]] || [[이씨부인 분재문기]] || A는 B에 언급되었다 || A ekc:isMentionedIn B
 
|-
 
|-
|{{PAGENAME}} ||소장처||안동대학교박물관
 
 
|}
 
|}
  
==시간정보==
+
===시간정보===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white;  
+
!style="width:20%px"|시간정보!!style="width:80%px"|내용
!중심||width="33%"|시간정보명||width="33%"|시간값
 
 
|-
 
|-
|{{PAGENAME}}||간행년||1644년
+
|1644년|| [[이씨부인 분재문기]]가 작성되었다.
 
|-
 
|-
|{{PAGENAME}}||간행년||인조22년
 
 
|}
 
|}
  
==공간정보==
+
===공간정보===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white;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중심||width="20%"|연결정보||width="20%"|공간정보이름||width="20%"|경도||width="20%"|위도
+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
|-
 +
|36.542696||128.797034||[[이씨부인 분재문기]]는 [[안동대학교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
 
|-
|{{PAGENAME}} ||소장처||안동대학교박물관||36.542696||128.797034
 
 
|}
 
|}
  
==참고문헌==
+
=='''시각자료'''==
 +
===갤러리===
 +
<gallery>
 +
파일:한글팀 적모이씨 한글분재기.jpg | 적모이씨 한글분재기
 +
</gallery>
  
==주석==
+
=='''주석'''==
 
<references/>
 
<references/>
 
+
<!--
 
+
===참고문헌===
 +
-->
 
[[분류:한글고문서]]
 
[[분류:한글고문서]]
 +
[[분류:전시자료]] [[분류:문헌]]

2017년 12월 10일 (일) 16:36 기준 최신판

이씨부인 분재문기
한글팀 적모이씨 한글분재기.jpg
영문명칭 Madame Yi's document of land and servant distribution
작자 최동집 처 여강이씨
간행시기 1644년
소장처 안동대학교박물관
유형 고문서
크기(세로×가로) 43.0×76.5㎝
판본 필사본
수량 1장
표기문자 한글


정의

1644년(조선 인조 22) 4월 10일, 적모 이씨가 일곱 자녀에게 전답과 노비를 분재하기 위해 한글로 작성한 문서이다.

내용

장서각 한글특별전 내용

적모 이씨최동집(崔東㠍)의 처 여강이씨(驪江李氏)로, 이 문서는 '적모이씨'라고 한글로 쓰고 도장을 찍었으며, 증인과 필집은 따로 기록된 것이 없는 것으로 보아 이씨가 직접 작성했음을 알 수 있다. 재산을 별급(別給)받은 7명의 자녀는 적모(嫡母) 이씨의 소생이 아닌 서자녀들로, 적모가 서자녀에게 별급한 일은 아주 이례적인 경우이다. 족보에는 적자로 최위남(崔衛南)이 있고, 그 아래로 서자녀 7남매인 최재남(崔載南), 최제남(崔濟南), 최여남(崔汝南), 최직남(崔直南), 최국남(崔國南), 최세남(崔世南), 그리고 서연(徐兗)의 처(妻)가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족보와 분재기에 기록된 이들의 차서(次序)에는 서로 차이가 있다. [1]

부연 설명

이씨부인 분재문기의 원소장처는 대구 칠계 경주최씨 백불암종중이다.[2] 경주최씨 백불암종택은 대구광역시 동구 둔산동의 옻골마을에 위치하며, 백불암(百弗庵) 최흥원(崔興遠, 1705~1786)을 불천위로 모시고 있다. 1616년(광해군 8) 최동집(崔東㠍, 1586~1661)이 이곳에 정착한 뒤 그의 후손들이 세거하여 경주최씨 동성마을을 이루었다. 옻골에 세거하여 옻골최씨라고도 한다.[3]


연계 자원 보러 가기
이씨부인 분재문기 (해독)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이씨부인 분재문기 최동집 처 여강이씨 A는 B에 의해 작성되었다 A dcterms:creator B
이씨부인 최동집 처 여강이씨 A는 B와 유사하다 A owl:sameAs B
적모이씨 최동집 처 여강이씨 A는 B와 유사하다 A owl:sameAs B
최동집 여강이씨 A는 B의 남편이다 A ekc:hasWife B
최위남 이씨부인 분재문기 A는 B에 언급되었다 A ekc:isMentionedIn B
최재남 이씨부인 분재문기 A는 B에 언급되었다 A ekc:isMentionedIn B
최제남 이씨부인 분재문기 A는 B에 언급되었다 A ekc:isMentionedIn B
최여남 이씨부인 분재문기 A는 B에 언급되었다 A ekc:isMentionedIn B
최직남 이씨부인 분재문기 A는 B에 언급되었다 A ekc:isMentionedIn B
최국남 이씨부인 분재문기 A는 B에 언급되었다 A ekc:isMentionedIn B
최세남 이씨부인 분재문기 A는 B에 언급되었다 A ekc:isMentionedIn B
서연의 처 이씨부인 분재문기 A는 B에 언급되었다 A ekc:isMentionedIn B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644년 이씨부인 분재문기가 작성되었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6.542696 128.797034 이씨부인 분재문기안동대학교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1.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 174쪽.
  2. "적모 이씨 한글 분재기", 『한국학자료센터 영남권역센터』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3. "경주최씨 백불암종택", 『한국학자료센터 영남권역센터』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