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씨부인 원정"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한글고문헌 샘플 |이미지= |대표명칭= 정씨부인 원정 |한자명칭= |로마자명칭= |영문명칭= An appeal of Kim, a widow of Yi Heungseon |작자= 정씨부...) |
잔글 (→장서각 한글특별전 내용) |
||
(사용자 5명의 중간 판 4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5번째 줄: | 5번째 줄: | ||
|로마자명칭= | |로마자명칭= | ||
|영문명칭= An appeal of Kim, a widow of Yi Heungseon | |영문명칭= An appeal of Kim, a widow of Yi Heungseon | ||
− | |작자= | + | |작자= [[미망인 정씨]] |
|작성시기= | |작성시기= | ||
− | |간행시기= 1876년 | + | |간행시기= 1876년 |
|간행처= | |간행처= | ||
|기탁처= | |기탁처= | ||
− | |소장처= 우리한글박물관 | + | |소장처= [[우리한글박물관]] |
|청구기호= | |청구기호= | ||
− | |유형= | + | |유형= 고문서ㅁ |
|크기(세로×가로)= 97.5×56.0㎝ | |크기(세로×가로)= 97.5×56.0㎝ | ||
|판본= 필사본 | |판본= 필사본 | ||
20번째 줄: | 20번째 줄: | ||
}} | }} | ||
</noinclude> | </noinclude> | ||
+ | =='''정의'''== | ||
+ | 1876년(조선 고종 13) 윤5월에 [[미망인 정씨]]가 [[공주관아]]에 올린 [[원정|원정]]이다. | ||
− | == | + | =='''내용'''== |
− | + | ===장서각 한글특별전 내용=== | |
+ | 충청도 공주 정안면 도현리에 사는 [[미망인 정씨]]는 자식과 손자가 다 죽어 선조의 제사를 받들 사람이 없어서 일가 가운데 한 사람을 계후로 삼았다. 그런데 친척 조카 [[신낙균|신낙균(申洛均)]]이 종가의 재산에 욕심을 내어 계후자를 파양(罷養)시키고 자신의 손자로 계후하였다. [[신낙균]]은 문서를 위조하여 [[미망인 정씨|정씨]]가 생전에 마련한 전답(田畓), 봉사조의 전답, 손녀에게 분재해 준 전답 등을 모두 팔아버렸다. 이에 [[미망인 정씨|정씨]]는 지난 번에 감영에 의송(議送)을 올려, [[신낙균]]이 도둑질하여 팔아버린 전답을 모두 찾아주고, 이후의 폐단을 막기 위하여 입지(立旨)를 성급(成給)해 주라는 감영의 처분을 받은 바 있었다. 병자년(1876)에 [[미망인 정씨|정씨]]는 다시 공주의 관아에 원정을 올려서 자신이 방매하거나 분재한 전답에 대하여 입지를 성급해 주고 [[신낙균]]이 이후 흉악한 일을 못하도록 수표를 받아 줄 것을 요청하였다. 이에 대하여 관에서는 감영의 제사(題辭)에 따라 입지를 성급해 주라는 처분을 내렸다.<REF>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 168~169쪽.</REF> | ||
+ | ===[[미망인 정씨]]와 조카 [[신낙균]]의 재산 싸움=== | ||
+ | [[정씨부인 원정]]은 1876년(고종 13)에 일어난 [[미망인 정씨]]와 친척 조카 [[신낙균]] 사이의 재산 다툼이다. 위 내용에서도 알 수 있듯이 이전부터 재산에 따른 법정 다툼이 이어져 왔고, [[미망인 정씨]]는 상당부분 재산을 되찾은 것으로 보인다. 사실 [[신낙균]]은 1870년(고종 7)에 이미 무신겸 선전관으로 관직에 올라와 있는 상태였다. | ||
+ | <ref>조창래(역), 『승정원일기』 고종 7년(1870) 7월 10일, [http://db.itkc.or.kr/itkcdb/text/nodeViewIframe.jsp?bizName=MS&jwId=K07&moId=070&daId=100&gaLid=141&gaId=&yoId=&ilId=&leId= 좌목],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고전종합 DB』<sup>online</sup></online></html>, 한국고전번역원. 최종확인: 2017년 05월 06일</ref> | ||
+ | 그는 막강한 세력을 이용하여 이 같은 일을 벌일 수 있었을 것이다. 이에 [[미망인 정씨]]는 확실한 재산 보전을 위해서 1876년에 직접 충청감사 [[조병식]]에게 [[상언]]을 보냈고, | ||
+ | <ref>홍광훈 심우섭(공역), 『승정원일기』 고종 13년(1876) 윤5월 24일, [http://db.itkc.or.kr/itkcdb/text/nodeViewIframe.jsp?bizName=MS&jwId=K13&moId=051&daId=240&gaLid=477&gaId=&yoId=&ilId=&leId= 좌목],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고전종합 DB』<sup>online</sup></online></html>, 한국고전번역원. 최종확인: 2017년 05월 06일</ref> | ||
+ | 결국 [[신낙균]]의 일이 조정에까지 올라가 그해 6월 12일 장형 100대에 강원도로 3년 유배형에 처해진 것이다. | ||
+ | <ref>신용남 조창래 (공역), 『승정원일기』 고종 13년(1876) 6월 12일, [http://db.itkc.or.kr/itkcdb/text/nodeViewIframe.jsp?bizName=MS&jwId=K13&moId=060&daId=120&gaLid=189&gaId=&yoId=&ilId=&leId= 좌목],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고전종합 DB』<sup>online</sup></online></html>, 한국고전번역원. 최종확인: 2017년 05월 06일</ref> | ||
− | = | + | {{연계자원정보 |
− | + | |연계자원1=[[정씨부인 원정 (해독)]] | |
+ | |연계자원2= | ||
+ | |연계자원3= | ||
+ | |연계자원4= | ||
+ | |연계자원5= | ||
+ | }} | ||
+ | =='''지식 관계망'''== | ||
− | == | + | ===관계정보=== |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 |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text-align:center;" |
− | ! | + |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 |- | ||
+ | | [[정씨부인 원정]] || [[미망인 정씨]] || A는 B에 의해 작성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
|- | |- | ||
− | | | + | | [[미망인 정씨]] || [[조병식]]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 | | [[정씨부인 원정]] || [[신낙균]] || A는 B를 언급하였다 || A ekc:mentions B |
|- | |- | ||
− | | | + | | [[정씨부인 원정]] || [[우리한글박물관]] || A는 B에 소장되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 |- | ||
− | |{ | + | |} |
+ | <!-- | ||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white; | ||
+ | !중심||width="33%"|연결정보||width="33%"|대상 | ||
|- | |- | ||
− | | | + | |[[정씨부인 원정]] ||편찬자||정씨부인 |
|- | |- | ||
− | | | + | |[[정씨부인 원정]] ||인물||신낙균 |
|- | |- | ||
− | | | + | |[[정씨부인 원정]] ||지명||공주관아 |
|- | |- | ||
− | | | + | |[[정씨부인 원정]] ||소장처||우리한글박물관 |
|} | |} | ||
+ | --> | ||
− | ==시간정보== | + | ===시간정보=== |
− |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
+ | !style="width:20%px"|시간정보!!style="width:80%px"|내용 | ||
+ | |- | ||
+ | |1876년||[[정씨부인 원정]]이 작성되었다 | ||
+ | |} | ||
+ | <!--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white;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white; | ||
!중심||width="33%"|시간정보명||width="33%"|시간값 | !중심||width="33%"|시간정보명||width="33%"|시간값 | ||
|- | |- | ||
− | | | + | |[[정씨부인 원정]]||간행년||1876년 |
|- | |- | ||
− | | | + | |[[정씨부인 원정]]||간행년||고종13년 |
|} | |} | ||
+ | --> | ||
− | ==공간정보== | + | ===공간정보=== |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
+ |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 ||
+ | |- | ||
+ | |37.074883||127.858322||[[정씨부인 원정]]은 [[우리한글박물관]]에 소장되었다 | ||
+ | |} | ||
+ | <!--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white;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white; | ||
!중심||width="20%"|연결정보||width="20%"|공간정보이름||width="20%"|경도||width="20%"|위도 | !중심||width="20%"|연결정보||width="20%"|공간정보이름||width="20%"|경도||width="20%"|위도 | ||
|- | |- | ||
− | | | + | |[[정씨부인 원정]] ||소장처||우리한글박물관||37.074883||127.858322 |
|} | |} | ||
− | + | --> | |
− | == | + | =='''주석'''== |
− | |||
− | |||
<references/> | <references/> | ||
+ | =='''참고문헌'''== | ||
+ | ===더 읽을 거리=== | ||
+ | *논문 | ||
+ | **홍동현 외6인, 『동학농민혁명사 일지』, 동학농민혁명참여자명예회복심의위원회, 2006. | ||
+ | **이영학, 「1880년대 조선정부의 농업정책」, 『한국학연구』40,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6, 335-368쪽. | ||
+ | **박형우, 여인석(공저), 「제중원 일차년도 보고서」, 『延世醫史學 』, 제3권 1호,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의사학과 의학사연구소, 1999, 1-44쪽. | ||
[[분류:한글고문서]] | [[분류:한글고문서]] | ||
+ | [[분류:전시자료]] [[분류:문헌]] |
2017년 12월 10일 (일) 13:58 기준 최신판
정씨부인 원정 | |
영문명칭 | An appeal of Kim, a widow of Yi Heungseon |
---|---|
작자 | 미망인 정씨 |
간행시기 | 1876년 |
소장처 | 우리한글박물관 |
유형 | 고문서ㅁ |
크기(세로×가로) | 97.5×56.0㎝ |
판본 | 필사본 |
수량 | 1장 |
표기문자 | 한글 |
목차
정의
1876년(조선 고종 13) 윤5월에 미망인 정씨가 공주관아에 올린 원정이다.
내용
장서각 한글특별전 내용
충청도 공주 정안면 도현리에 사는 미망인 정씨는 자식과 손자가 다 죽어 선조의 제사를 받들 사람이 없어서 일가 가운데 한 사람을 계후로 삼았다. 그런데 친척 조카 신낙균(申洛均)이 종가의 재산에 욕심을 내어 계후자를 파양(罷養)시키고 자신의 손자로 계후하였다. 신낙균은 문서를 위조하여 정씨가 생전에 마련한 전답(田畓), 봉사조의 전답, 손녀에게 분재해 준 전답 등을 모두 팔아버렸다. 이에 정씨는 지난 번에 감영에 의송(議送)을 올려, 신낙균이 도둑질하여 팔아버린 전답을 모두 찾아주고, 이후의 폐단을 막기 위하여 입지(立旨)를 성급(成給)해 주라는 감영의 처분을 받은 바 있었다. 병자년(1876)에 정씨는 다시 공주의 관아에 원정을 올려서 자신이 방매하거나 분재한 전답에 대하여 입지를 성급해 주고 신낙균이 이후 흉악한 일을 못하도록 수표를 받아 줄 것을 요청하였다. 이에 대하여 관에서는 감영의 제사(題辭)에 따라 입지를 성급해 주라는 처분을 내렸다.[1]
미망인 정씨와 조카 신낙균의 재산 싸움
정씨부인 원정은 1876년(고종 13)에 일어난 미망인 정씨와 친척 조카 신낙균 사이의 재산 다툼이다. 위 내용에서도 알 수 있듯이 이전부터 재산에 따른 법정 다툼이 이어져 왔고, 미망인 정씨는 상당부분 재산을 되찾은 것으로 보인다. 사실 신낙균은 1870년(고종 7)에 이미 무신겸 선전관으로 관직에 올라와 있는 상태였다. [2] 그는 막강한 세력을 이용하여 이 같은 일을 벌일 수 있었을 것이다. 이에 미망인 정씨는 확실한 재산 보전을 위해서 1876년에 직접 충청감사 조병식에게 상언을 보냈고, [3] 결국 신낙균의 일이 조정에까지 올라가 그해 6월 12일 장형 100대에 강원도로 3년 유배형에 처해진 것이다. [4]
연계 자원 보러 가기 |
• 정씨부인 원정 (해독) |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정씨부인 원정 | 미망인 정씨 | A는 B에 의해 작성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미망인 정씨 | 조병식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정씨부인 원정 | 신낙균 | A는 B를 언급하였다 | A ekc:mentions B |
정씨부인 원정 | 우리한글박물관 | A는 B에 소장되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시간정보
시간정보 | 내용 |
---|---|
1876년 | 정씨부인 원정이 작성되었다 |
공간정보
위도 | 경도 | 내용 |
---|---|---|
37.074883 | 127.858322 | 정씨부인 원정은 우리한글박물관에 소장되었다 |
주석
-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 168~169쪽.
- ↑ 조창래(역), 『승정원일기』 고종 7년(1870) 7월 10일, 좌목,
『한국고전종합 DB』online , 한국고전번역원. 최종확인: 2017년 05월 06일 - ↑ 홍광훈 심우섭(공역), 『승정원일기』 고종 13년(1876) 윤5월 24일, 좌목,
『한국고전종합 DB』online , 한국고전번역원. 최종확인: 2017년 05월 06일 - ↑ 신용남 조창래 (공역), 『승정원일기』 고종 13년(1876) 6월 12일, 좌목,
『한국고전종합 DB』online , 한국고전번역원. 최종확인: 2017년 05월 06일
참고문헌
더 읽을 거리
- 논문
- 홍동현 외6인, 『동학농민혁명사 일지』, 동학농민혁명참여자명예회복심의위원회, 2006.
- 이영학, 「1880년대 조선정부의 농업정책」, 『한국학연구』40,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6, 335-368쪽.
- 박형우, 여인석(공저), 「제중원 일차년도 보고서」, 『延世醫史學 』, 제3권 1호,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의사학과 의학사연구소, 1999, 1-44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