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배"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관계정보)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3번째 줄: | 3번째 줄: | ||
|사진= 궁중기록화_물품_근배_영조정순왕후가례도감의궤하_중박.png | |사진= 궁중기록화_물품_근배_영조정순왕후가례도감의궤하_중박.png | ||
|사진출처= 국립중앙박물관 외규장각 의궤(http://uigwe.museum.go.kr) | |사진출처= 국립중앙박물관 외규장각 의궤(http://uigwe.museum.go.kr) | ||
− | |대표명칭= | + | |대표명칭= 근배 |
|한자표기= 巹杯 | |한자표기= 巹杯 | ||
|영문명칭= | |영문명칭= | ||
13번째 줄: | 13번째 줄: | ||
|관련단체= | |관련단체= | ||
|관련장소= | |관련장소= | ||
− | |관련물품= [[ | + | |관련물품= [[동도금작|동도금작(銅鍍金爵)]], [[쌍이단엽잔|쌍이단엽잔(雙耳單葉盞)]], [[쌍이단엽황금잔|쌍이단엽황금잔(雙耳單葉黃金盞)]], [[은봉병|은봉병(銀鳳甁)]] |
|관련유물유적= | |관련유물유적= | ||
}} | }} | ||
=='''정의'''== | =='''정의'''== | ||
− | 가례(嘉禮)에서 왕과 왕비가 서로 주고받아 마시는 [http://folkency.nfm.go.kr/life/dic_index.jsp?P_MENU=04&DIC_ID=8415&ref=T2&S_idx=9&P_INDEX=13&cur_page=1 합환주(合歡酒)]를 담는 표주박 잔이다. | + | 조선시대 왕실 의례인 가례(嘉禮)에서 왕과 왕비가 서로 주고받아 마시는 [http://folkency.nfm.go.kr/life/dic_index.jsp?P_MENU=04&DIC_ID=8415&ref=T2&S_idx=9&P_INDEX=13&cur_page=1 합환주(合歡酒)]를 담는 표주박 잔이다. |
=='''내용'''== | =='''내용'''== | ||
가례(嘉禮)의 [[동뢰|동뢰(同牢)]]에서 사용되었다.<br/> | 가례(嘉禮)의 [[동뢰|동뢰(同牢)]]에서 사용되었다.<br/> | ||
세 번 술잔을 바꿔 마시는 의식[합근례(合巹禮)]에서 마지막 잔은 표주박으로 만든 근배를 사용하였다.<br/> | 세 번 술잔을 바꿔 마시는 의식[합근례(合巹禮)]에서 마지막 잔은 표주박으로 만든 근배를 사용하였다.<br/> | ||
− | 근배는 | + | 근배는 안팎에 붉은색 연지(臙脂)를 칠하고, 잔의 입에는 은선(銀線)을 둘렀다. 잔의 좌우에는 은사(銀絲)를 구부린 형태로 장식하였다.<br/> |
받침대는 천은(天銀)으로 만들고 도금(鍍金)하였다.<br/> | 받침대는 천은(天銀)으로 만들고 도금(鍍金)하였다.<br/> | ||
31번째 줄: | 31번째 줄: |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 |- | ||
− | | | + | | 근배(巹杯) || [[동뢰|동뢰(同牢)]] || A는 B에 사용되었다 || A ekc:isUsedIn B |
|- | |- | ||
− | | | + | | 근배(巹杯) || [[쌍이단엽잔|쌍이단엽잔(雙耳單葉盞)]] || A는 B와 같이 사용되었다 || A ekc:goesWith B |
|- | |- | ||
− | | | + | | 근배(巹杯) || [[쌍이단엽황금잔|쌍이단엽황금잔(雙耳單葉黃金盞)]] || A는 B와 같이 사용되었다 || A ekc:goesWith B |
|- | |- | ||
− | | | + | | 근배(巹杯) || [[동도금작|동도금작(銅鍍金爵)]] || A는 B와 같이 사용되었다 || A ekc:goesWith B |
|- | |- | ||
− | | | + | | 근배(巹杯) || [[은봉병|은봉병(銀鳳甁)]] || A는 B와 같이 사용되었다 || A ekc:goesWith B |
|- | |- | ||
− | | | + | | 근배(巹杯) || [[영조정순왕후가례도감의궤|『영조정순왕후가례도감의궤(英祖貞純王后嘉禮都監儀軌)』]] || B는 A에 그려져 있다 || B ekc:isDepictedIn A |
|- | |- | ||
− | | | + | | 근배(巹杯) || [[철종철인왕후가례도감의궤|『철종철인왕후가례도감의궤(哲宗哲仁王后嘉禮都監儀軌)』]] || B는 A에 그려져 있다 || B ekc:isDepictedIn A |
|- | |- | ||
− | | | + | | 근배(巹杯) || [[순종순정황후가례도감의궤|『순종순정황후가례도감의궤(純宗純貞皇后嘉禮都監儀軌)』]] || B는 A에 그려져 있다 || B ekc:isDepictedIn A |
|} | |} | ||
66번째 줄: | 66번째 줄: | ||
* 이민아, "[http://kyujanggak.snu.ac.kr/dohae/sub/schDetail.jsp?no=D0145&category=A&sWord=근배 근배(巹杯)]", <html><online style="color:purple">『조선시대 왕실문화 도해사전』<sup>online</sup></online></html>,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 이민아, "[http://kyujanggak.snu.ac.kr/dohae/sub/schDetail.jsp?no=D0145&category=A&sWord=근배 근배(巹杯)]", <html><online style="color:purple">『조선시대 왕실문화 도해사전』<sup>online</sup></online></html>,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
* "[http://yoksa.aks.ac.kr/jsp/ee/View.jsp?ee10no=EE10_0001_003_032_00515 근배(巹杯)]", <html><online style="color:purple">『장서각 디지털아카이브』<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http://yoksa.aks.ac.kr/jsp/ee/View.jsp?ee10no=EE10_0001_003_032_00515 근배(巹杯)]", <html><online style="color:purple">『장서각 디지털아카이브』<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 | |||
− | |||
− | |||
− | |||
[[분류:궁중기록화]] | [[분류:궁중기록화]] | ||
[[분류:물품]] | [[분류:물품]] |
2017년 10월 27일 (금) 23:06 기준 최신판
근배(巹杯) | |
대표명칭 | 근배 |
---|---|
한자표기 | 巹杯 |
유형 | 의례 물품 |
시대 | 조선 |
용도 | 가례(嘉禮)-혼례(婚禮)에 사용 |
관련물품 | 동도금작(銅鍍金爵), 쌍이단엽잔(雙耳單葉盞), 쌍이단엽황금잔(雙耳單葉黃金盞), 은봉병(銀鳳甁) |
정의
조선시대 왕실 의례인 가례(嘉禮)에서 왕과 왕비가 서로 주고받아 마시는 합환주(合歡酒)를 담는 표주박 잔이다.
내용
가례(嘉禮)의 동뢰(同牢)에서 사용되었다.
세 번 술잔을 바꿔 마시는 의식[합근례(合巹禮)]에서 마지막 잔은 표주박으로 만든 근배를 사용하였다.
근배는 안팎에 붉은색 연지(臙脂)를 칠하고, 잔의 입에는 은선(銀線)을 둘렀다. 잔의 좌우에는 은사(銀絲)를 구부린 형태로 장식하였다.
받침대는 천은(天銀)으로 만들고 도금(鍍金)하였다.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근배(巹杯) | 동뢰(同牢) | A는 B에 사용되었다 | A ekc:isUsedIn B |
근배(巹杯) | 쌍이단엽잔(雙耳單葉盞) | A는 B와 같이 사용되었다 | A ekc:goesWith B |
근배(巹杯) | 쌍이단엽황금잔(雙耳單葉黃金盞) | A는 B와 같이 사용되었다 | A ekc:goesWith B |
근배(巹杯) | 동도금작(銅鍍金爵) | A는 B와 같이 사용되었다 | A ekc:goesWith B |
근배(巹杯) | 은봉병(銀鳳甁) | A는 B와 같이 사용되었다 | A ekc:goesWith B |
근배(巹杯) | 『영조정순왕후가례도감의궤(英祖貞純王后嘉禮都監儀軌)』 | B는 A에 그려져 있다 | B ekc:isDepictedIn A |
근배(巹杯) | 『철종철인왕후가례도감의궤(哲宗哲仁王后嘉禮都監儀軌)』 | B는 A에 그려져 있다 | B ekc:isDepictedIn A |
근배(巹杯) | 『순종순정황후가례도감의궤(純宗純貞皇后嘉禮都監儀軌)』 | B는 A에 그려져 있다 | B ekc:isDepictedIn A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