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해납약증치방"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잔글 (『언해납약증치방(諺解臘藥症治方)』에 대하여)
 
(사용자 6명의 중간 판 21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20번째 줄: 20번째 줄:
 
}}
 
}}
 
</noinclude>
 
</noinclude>
 
 
 
=='''정의'''==
 
=='''정의'''==
[[납약]]의 효능 및 납약을 복용할 때 피해야 하는 사항 등을 기록한
+
[[납약]]의 효능 및 납약을 복용할 때 피해야 하는 사항 등을 기록한 책이다.
  
 
=='''내용'''==
 
=='''내용'''==
 
===장서각 한글특별전 내용===
 
===장서각 한글특별전 내용===
[[납약|납약(臘藥)]]의 효능 및 납약을 복용할 때 피해야 하는 사항 등을 기록한 책이다. 언해문의 한글 표기 특징으로 보아 17세기경에 발간된 것으로 추정된다. 서두에 37종의 약재명을 열거한 목록이 실려 있다.
+
언해문의 한글 표기 특징으로 보아 17세기경에 발간된 것으로 추정된다. 서두에 37종의 약재명을 열거한 목록이 실려 있다. [[납약|납약(臘藥)]]이란 해마다 동지 후 [[납일|납일(臘日)]]이 되면 [[내의원|내의원(內醫院)]]에서 [[청심원]], [[소합원]] 등을 제조하여 왕실에 올리던 상비약을 말한다. 임금은 이렇게 환약으로 제조된 납약을 근신(近臣)들에게 가정상비약의 용도로 하사하였다. 이 책에는 [[청심원#우황청심원|우황청심원(牛黃淸心元)]], [[청심원#구미청심원|구미청심원(九味淸心元)]], [[소합원|소합원(蘇合元)]], [[지보단|지보단(至寶丹)]] 등 37종의 [[납약]]이 소개되어 있다. 각각의 [[납약]] 이름 아래에 약의 효능과 복용법을 한문으로 기술한 뒤, 언해문을 덧붙였다. 한문 뒤에 언해문을 병기한 것은 뜻밖의 다급한 상황에 여인들도 [[납약]]을 제대로 활용할 수 있도록 배려한 것이다.<REF>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 87쪽.</REF>
[[납약]]이란 해마다 12월 [[납일|납일(臘日)]]이 되면 [[내의원|내의원(內醫院)]]에서 [[청심원]], [[소합원]] 등을 제조하여 왕실에 올리거나, 혹은 왕실에서 근신(近臣)에게 내려주는 가정상비약을 말한다. 매년 [[납일]]에 [[내의원]]에서 환약을 제조하여 올리면, 임금이 신하들에게 상비약의 용도로 하사하였다.  
+
 
이 책에는 [[청심원#우황청심원|우황청심원(牛黃淸心元)]], [[청심원#구미청심원|구미청심원(九味淸心元)]], [[소합원|소합원(蘇合元)]], [[지보단|지보단(至寶丹)]] 등 37종의 [[납약]]이 소개되어 있다. 각각의 [[납약]] 이름 아래에 약의 효능과 복용법을 한문으로 기술한 뒤, 언해문을 덧붙였다. 한문 뒤에 언해문을 병기한 것은 뜻밖의 다급한 상황에 여인들이 [[납약]]을 제대로 활용할 수 있도록 배려한 것이다.<REF>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06.28, 87쪽.</REF>
+
===『[[언해납약증치방|언해납약증치방(諺解臘藥症治方)]]』에 대하여===
 +
『[[언해납약증치방|언해납약증치방(諺解臘藥症治方)]]』은 일종의 투약지침서인『[[납약증치방]]』을 언해한 것이다. 응급상황을 대비하여, 비상약을 미리 만들어 놓았다가 긴급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약 제제 방법과 복용법 그리고 금기사항을 기록하였다. 본래 [[납약]]은 조선시대 세시 풍속으로 날씨가 추워져 약재의 부패 및 변이를 막을 수 있는 때인 12월을 택하여 한 해 동안 쓸 수 있는 응급약을 만든 것을 말한다. 납일에 내리는 눈은 약이 된다고 하여 환약을 만들 때 눈 녹인 물을 쓰기도 하였다. 이 약은 왕실에 진상된 후 사대부들에게 골고루 나누어주었다. 이렇듯 애초에는 궁중과 사대부만 사용하던 투약지침서를 일반 백성들도 알고 활용할 수 있도록 한글로 번역하여 배포한 것이 『[[언해납약증치방]]』이다. 현재 학계에서는 『[[태의선생안]]』의 기록에 의거하여 [[허준]](1539~1615)이 저술한 것으로 보는 것이 지배적인데 그 근거로는 『[[동의보감]]』에서 나오는 약재의 종류와 『[[납약증치방]]』에 수록된 약재가 두 종류를 제외하고 모두 일치하기 때문이다. 현재 존재하는 판본은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규장각 한국학연구원]]과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이화여대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REF>이정화, 「《납약증치방》과 《언해납약증치방》 현보존의 서지적 연구」, 『서지학』 vol. 56, 2013, 353-369쪽.</REF>
  
===『언해납약증치방(諺解臘藥症治方)』에 대하여===
+
{{연계자원정보
『언해납약증치방(諺解臘藥症治方)』은 본래 응급상황을 대비하여, 미리 약재를 미리 만들어 놓았다가, 긴급하게 필요시 활용할 수 있도록, 한약 제제 방법과 복용법 그리고 금기사항을 기록한 일종의 투약지침서인 『[[납약증치방]]』을 언해한 것이다. 본래 [[납약|납약(臘藥)]]은 조선시대 세시 풍속으로 매년 12월 날씨가 추워져 약재의 부패 및 변이를 막을 수 있었으니, 이 때를 노려서 한 해 동안 쓸 수 있는 응급약을 만든 것을 말한다. 그리고 이것을 왕실과 사대부들에게 골고루 나누어 준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동지 뒤 셋째 미일(未日)을 [[납일|납일(臘日)]]이라 하며, 이때 궁중의 [[내의원]](內醫院)에서 환약(丸藥)을 지어 올리면 임금이 이것을 신하들에게 나누어 주었던 것이다. 그리고 [[납일]]에 내리는 눈은 약이 된다고 하여 환약을 만들 때 녹인 물을 쓰기도 하였다. 즉 이것을 다시 말하면 궁중과 사대부만 사용하던 투약지침서를 한글로 번역하여 일반 백성들도 사용할 수 있게 전파 한 것이다. 현재 학계에서는 『[[태의선생안]]』의 기록에 의거하여 [[허준]](1539~1615)이 저술한 것으로 보는 것이 지배적인데 그 근거로는 『[[동의보감]]』에서 나오는 약재의 종류와 『[[납약증치방]]』에 수록된 약재가 두 종류를 제외하고 모두 일치하기 때문이다. 현재 존재하는 판본은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규장각 한국학연구원]]과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이화여대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REF>이정화, 「《납약증치방》과 《언해납약증치방》 현보존의 서지적 연구」, 『서지학』 vol. 56, 2013, 353-369쪽.</REF>
+
|연계자원1=[[의서를 언해하여 백성의 목숨을 구하다]]
 +
|연계자원2=
 +
|연계자원3=
 +
|연계자원4=
 +
|연계자원5=
 +
}}
  
 
=='''지식 관계망'''==
 
=='''지식 관계망'''==
 
+
* '''의서를 언해하여 백성의 목숨을 구하다 지식관계망'''
===관련항목===
+
<html>
{|class="wikitable sortable"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A204/A204.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
* '''[http://dh.aks.ac.kr/Encyves/Graph/A034/A034.htm 언해납약증치방 지식관계망]'''
 +
<!--
 +
<html>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A034/A034.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
-->
 +
===관계정보===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text-align:center;"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언해납약증치방]]||[[납약증치방]]||A는 B를 언해하였다||17세기
+
|[[언해납약증치방]]||[[납약증치방]]||A는 B의 언해본이다||A edm:isDerivativeOf B
 +
|-
 +
|[[언해납약증치방]]||[[청심원]]||A는 B를 언급하였다||A ekc:mentions B
 +
|-
 +
|[[언해납약증치방]]||[[소합원]]||A는 B를 언급하였다||A ekc:mentions B
 +
|-
 +
|[[언해납약증치방]]||[[납약]]||A는 B를 언급하였다||A ekc:mentions B
 
|-
 
|-
|[[언해납약증치방]]||[[청심원]]||A는 B를 언급했다||
+
|[[언해납약증치방]]||[[지보단]]||A는 B를 언급하였다||A ekc:mentions B
 
|-
 
|-
|[[언해납약증치방]]||[[소합원]]||A는 B를 언급했다||
+
|[[납약증치방]]||[[동의보감]]||A는 B를 언급하였다||A ekc:mentions B
 
|-
 
|-
|[[언해납약증치방]]||[[납약]]||A는 B를 언급했다||
+
|[[동의보감]]||[[허준]]||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A dcterms:creator B
 
|-
 
|-
|[[언해납약증치방]]||[[지보단]]||A는 B를 언급했다||
+
|[[언해납약증치방]]||[[서울대학교 규장각]]||A는 B에 소장되었다||A edm:currentLocation B
 
|-
 
|-
|[[납약증치방]]||[[동의보감]]||A는 B와 관련이 있다||
+
|[[언해납약증치방]]||[[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A는 B에 소장되었다||A edm:currentLocation B
 
|-
 
|-
|[[허준]]||[[동의보감]]||A는 B를 저술했다||
+
|[[언해납약증치방]]||[[이화여자대학교 도서관]]||A는 B에 소장되었다||A edm:currentLocation B
 
|}
 
|}
  
70번째 줄: 93번째 줄:
 
|37.391959||127.054387||[[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은 [[언해납약증치방]]을 소장한다
 
|37.391959||127.054387||[[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은 [[언해납약증치방]]을 소장한다
 
|-
 
|-
|37.561858||126.946797||[[이화여자대학교]][[언해납약증치방]]을 소장한다
+
|37.561858||126.946797||[[이화여자대학교 도서관]][[언해납약증치방]]을 소장한다
 
|}
 
|}
 
<!--googlemap height="250" lat="37.392230" lon="127.054384" type="terrain"  zoom="14" icon="http://maps.google.com/mapfiles/marker.png">
 
<!--googlemap height="250" lat="37.392230" lon="127.054384" type="terrain"  zoom="14" icon="http://maps.google.com/mapfiles/marker.png">
 
37.459942, 126.951905  [[서울대학교 규장각]]
 
37.459942, 126.951905  [[서울대학교 규장각]]
 
37.392230, 127.054384,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37.392230, 127.054384,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37.561858, 126.946797  [[이화여자대학교]]
+
37.561858, 126.946797  [[이화여자대학교 도서관]]
 
</googlemap-->
 
</googlemap-->
  
91번째 줄: 114번째 줄:
 
===더 읽을 거리===
 
===더 읽을 거리===
 
*논문  
 
*논문  
**이정화, 「《납약증치방》과 《언해납약증치방》 현보존의 서지적 연구」, 『서지학』vol 56, 2013, 353-369쪽.
+
**이정화, 「《납약증치방》과 《언해납약증치방》 현보존의 서지적 연구」, 『서지학』 vol.56, 한국서지학회, 2013, 353-369쪽.
**신동원, 「臘藥, 《언해납약증치방》 그리고 허준」, 『韓國醫學史會志』 vol13, 2000, 23~28쪽.
+
**신동원, 「臘藥, 《언해납약증치방》 그리고 허준」, 『韓國醫學史會志』 vol.13, 한국의사학회, 2000, 23-28쪽.
**박지연, 「문헌별 한약 ‘약명’ 사용 양상 연구:  15-17세기 의약서 언해본 자료를 중심으로」, 『語文學』,Vol.113, 2011, 25~71쪽.
+
**박지연, 「문헌별 한약 ‘약명’ 사용 양상 연구:  15-17세기 의약서 언해본 자료를 중심으로」, 『語文學』 vol.113, 한국어문학회, 2011, 25-71쪽.
  
 
[[분류:한글고문서]]
 
[[분류:한글고문서]]
[[분류:장원석]]
+
[[분류:전시자료]] [[분류:문헌]]
[[분류:이창섭]]
 
[[분류:전시자료]]
 

2017년 12월 8일 (금) 01:47 기준 최신판

언해납약증치방
한글팀 언해납약증치방 02.jpg
한자명칭 諺解臘藥症治方
영문명칭 A book about the effects and precautions of pills
작자 미상(허준으로 추정)
작성시기 17세기
간행시기 조선후기
소장처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청구기호 C7-78
유형 고서
크기(세로×가로) 28×19.8㎝
판본 목판본
수량 1冊
표기문자 한글, 한자


정의

납약의 효능 및 납약을 복용할 때 피해야 하는 사항 등을 기록한 책이다.

내용

장서각 한글특별전 내용

언해문의 한글 표기 특징으로 보아 17세기경에 발간된 것으로 추정된다. 서두에 37종의 약재명을 열거한 목록이 실려 있다. 납약(臘藥)이란 해마다 동지 후 납일(臘日)이 되면 내의원(內醫院)에서 청심원, 소합원 등을 제조하여 왕실에 올리던 상비약을 말한다. 임금은 이렇게 환약으로 제조된 납약을 근신(近臣)들에게 가정상비약의 용도로 하사하였다. 이 책에는 우황청심원(牛黃淸心元), 구미청심원(九味淸心元), 소합원(蘇合元), 지보단(至寶丹) 등 37종의 납약이 소개되어 있다. 각각의 납약 이름 아래에 약의 효능과 복용법을 한문으로 기술한 뒤, 언해문을 덧붙였다. 한문 뒤에 언해문을 병기한 것은 뜻밖의 다급한 상황에 여인들도 납약을 제대로 활용할 수 있도록 배려한 것이다.[1]

언해납약증치방(諺解臘藥症治方)』에 대하여

언해납약증치방(諺解臘藥症治方)』은 일종의 투약지침서인『납약증치방』을 언해한 것이다. 응급상황을 대비하여, 비상약을 미리 만들어 놓았다가 긴급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약 제제 방법과 복용법 그리고 금기사항을 기록하였다. 본래 납약은 조선시대 세시 풍속으로 날씨가 추워져 약재의 부패 및 변이를 막을 수 있는 때인 12월을 택하여 한 해 동안 쓸 수 있는 응급약을 만든 것을 말한다. 납일에 내리는 눈은 약이 된다고 하여 환약을 만들 때 눈 녹인 물을 쓰기도 하였다. 이 약은 왕실에 진상된 후 사대부들에게 골고루 나누어주었다. 이렇듯 애초에는 궁중과 사대부만 사용하던 투약지침서를 일반 백성들도 알고 활용할 수 있도록 한글로 번역하여 배포한 것이 『언해납약증치방』이다. 현재 학계에서는 『태의선생안』의 기록에 의거하여 허준(1539~1615)이 저술한 것으로 보는 것이 지배적인데 그 근거로는 『동의보감』에서 나오는 약재의 종류와 『납약증치방』에 수록된 약재가 두 종류를 제외하고 모두 일치하기 때문이다. 현재 존재하는 판본은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이화여대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2]


연계 자원 보러 가기
의서를 언해하여 백성의 목숨을 구하다


지식 관계망

  • 의서를 언해하여 백성의 목숨을 구하다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언해납약증치방 납약증치방 A는 B의 언해본이다 A edm:isDerivativeOf B
언해납약증치방 청심원 A는 B를 언급하였다 A ekc:mentions B
언해납약증치방 소합원 A는 B를 언급하였다 A ekc:mentions B
언해납약증치방 납약 A는 B를 언급하였다 A ekc:mentions B
언해납약증치방 지보단 A는 B를 언급하였다 A ekc:mentions B
납약증치방 동의보감 A는 B를 언급하였다 A ekc:mentions B
동의보감 허준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A dcterms:creator B
언해납약증치방 서울대학교 규장각 A는 B에 소장되었다 A edm:currentLocation B
언해납약증치방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A는 B에 소장되었다 A edm:currentLocation B
언해납약증치방 이화여자대학교 도서관 A는 B에 소장되었다 A edm:currentLocation B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7세기 언해납약증치방이 간행되었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7.459942 126.951905 서울대학교 규장각언해납약증치방을 소장한다
37.391959 127.054387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언해납약증치방을 소장한다
37.561858 126.946797 이화여자대학교 도서관언해납약증치방을 소장한다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1.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 87쪽.
  2. 이정화, 「《납약증치방》과 《언해납약증치방》 현보존의 서지적 연구」, 『서지학』 vol. 56, 2013, 353-369쪽.

참고문헌

더 읽을 거리

  • 논문
    • 이정화, 「《납약증치방》과 《언해납약증치방》 현보존의 서지적 연구」, 『서지학』 vol.56, 한국서지학회, 2013, 353-369쪽.
    • 신동원, 「臘藥, 《언해납약증치방》 그리고 허준」, 『韓國醫學史會志』 vol.13, 한국의사학회, 2000, 23-28쪽.
    • 박지연, 「문헌별 한약 ‘약명’ 사용 양상 연구: 15-17세기 의약서 언해본 자료를 중심으로」, 『語文學』 vol.113, 한국어문학회, 2011, 25-71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