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욕"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6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7번째 줄: 7번째 줄:
 
|이칭=  
 
|이칭=  
 
|유형= 의례
 
|유형= 의례
|관련개념= [[흉례]]([[상례]])
+
|관련개념= [[흉례]], [[상례]]
 
}}
 
}}
  
 
=='''정의'''==
 
=='''정의'''==
국장(國葬)에서 쌀뜨물로 시신(屍身)의 머리를 감기고[沐] 단향(檀香)을 달인 물로 몸을 씻기는[浴] 의식으로, 사망한 날 거행한다.<ref>『國朝五禮儀』 卷7, 「凶禮」 ‘沐浴’</ref>
+
조선시대 국장(國葬)에서 쌀뜨물로 시신(屍身)의 머리를 감기고[沐] 단향(檀香)을 달인 물로 몸을 씻기는[浴] 의식으로, 승하한 날에 거행한다.<ref>『國朝五禮儀』 卷7, 「凶禮」 ‘沐浴’</ref>
  
 
=='''내용'''==
 
=='''내용'''==
[[왕]]의 시신은 [[내시|내사(內侍)]]가 행하고 내상(內喪)의 경우 여관(女官)이 행한다. [[내시]]가 휘장으로 대행(大行)<ref>대행(大行): 왕이나 왕비(王妃)가 죽은 뒤 시호(諡號)를 아직 올리기 전의 칭호(稱號)이다.</ref>이 누워 있는 안쪽을 가리고, 휘장 안에는 평상(平牀)을 설치하며, 백면포(白綿布)로 만든 요(褥)와 자리[席], 베개[枕]를 놓는다. 안과 밖의 휘장을 설치해 막고 중간에 문을 만들어, [[왕비]]와 [[내명부(內命婦)]]가 곡(哭)하는 자리를 만들었다. [[내시]]가 손을 씻고 대행을 상으로 옮기고, 머리를 남쪽으로 한 다음 겹이불을 덮는다. [[목욕]]을 시작하기 전 [[공조|공조(工曹)]]는 새로 제작한 [[분|분(盆)]]과 [[반|반(槃)]] 등을 공급하고, [[상의원|상의원(尙衣院)]]은 생사(生絲)로 짠 [[명의|명의(明衣)]]와 [[건|건(巾)]],빗 등을 준비해 놓는다. 내시는 기장쌀뜨물인 양미번(粱米潘)과 단향(檀香)을 달인 탕(湯)을 [[분|분(盆)]]에 담아 [[반|반(槃)]], [[선|선(鐥)]]을 가지고 들어가려 할 때 내시가 [[왕세자]]와 [[대군]] 이하를 휘장 밖의 자리에 나아가 북향하여 곡하게 한다.<ref>『國朝五禮儀』 卷7, 「凶禮」 ‘沐浴’; 이현진, 『왕의 죽음, 정조의 국장』, 글항아리, 2015, 99~100쪽.</ref>
+
[[왕]]의 시신은 [[내시|내시(內侍)]]가 행하고 왕실 여성이 승하한 내상(內喪)의 경우 여관(女官)이 행한다. [[내시]]가 휘장으로 대행(大行)<ref>대행(大行): 왕이나 왕비(王妃)가 죽은 뒤 시호(諡號)를 아직 올리기 전의 칭호(稱號)이다.</ref>이 누워 있는 안쪽을 가리고, 휘장 안에는 평상(平牀)을 설치하며, 백면포(白綿布)로 만든 요(褥)와 자리[席], 베개[枕]를 놓는다. 안과 밖의 휘장을 설치해 막고 중간에 문을 만들어, [[왕비]]와 [[내명부(內命婦)]]가 곡(哭)하는 자리를 만든다. [[내시]]가 손을 씻고 대행을 상으로 옮기고, 머리를 남쪽으로 한 다음 겹이불을 덮는다. [[목욕]]을 시작하기 전 [[공조|공조(工曹)]]는 새로 제작한 [[분|분(盆)]]과 [[반|반(槃)]] 등을 공급하고, [[상의원|상의원(尙衣院)]]은 생사(生絲)로 짠 [[명의|명의(明衣)]]와 [[건|건(巾)]],빗 등을 준비해 놓는다. 내시는 기장쌀뜨물인 양미번(粱米潘)과 단향(檀香)을 달인 탕(湯)을 [[분|분(盆)]]에 담아 [[반|반(槃)]], [[선|선(鐥)]]을 가지고 들어가면서 [[왕세자]]와 [[대군]] 이하를 휘장 밖의 자리에 나아가 북향하여 곡하게 한다. [[내시]]는 양미번으로 대행의 머리를 감기고[沐] 빗질하여 수건으로 닦은 후 자주색 초(綃)로 만든 끈[紫綃纓]으로 묶는다. 이 때 떨어진 머리카락은 모아서 주머니에 담는다. 수염을 다듬고 손톱을 깎아 작은 주머니[小囊]에 담는다. 4인이 이불을 들어 올리면 2인이 단향을 달인 탕물로 몸을 씻기고[浴] 상체와 하체를 각각 다른 수건으로 닦는다. 발톱을 깎아 작은 주머니에 담는데, [[대렴|대렴(大斂)]] 때 [[재궁]] 안에 넣는다. 다음 [[명의|명의(明衣)]]를 입히고 네모난 수건[方巾]으로 얼굴을 덮고 나서 겹으로 된 이불을 덮는다. 목욕시킨 물과 수건, 빗 등을 미리 파 놓은 구덩이에 묻으면 의식이 끝난다.<ref>『國朝五禮儀』 卷7, 「凶禮」 ‘沐浴’; 이현진, 『왕의 죽음, 정조의 국장』, 글항아리, 2015, 99~100쪽.</ref>
<br />
 
<br />
 
[[내시]]는 기장쌀뜨물로 대행의 머리를 감기고[沐] 빗질하고 수건으로 닦은 후 자주색 초(綃)로 만든 끈[紫綃纓]으로 묶는다. 이 때 떨어진 머리카락은 주머니에 담는다. 수염을 다듬고 손톱을 깎아 작은 주머니[小囊]에 담는다. 4인이 이불을 들어 올리면 2인이 단향을 달인 탕물로 몸을 씻기고[浴] 상체와 하체를 각각 다른 수건으로 닦는다. 발톱을 깎아 작은 주머니에 담는데, [[대렴|대렴(大斂)]] 때 [[재궁]] 안에 넣는다. 다음 [[명의|명의(明衣)]]를 입히고 네모난 수건[方巾]으로 얼굴을 덮고 나서 겹으로 된 이불을 덮는다. 목욕시킨 물과 수건, 빗은 미리 파 놓은 구덩이에 묻으면 의식이 끝난다.<ref>『國朝五禮儀』 卷7, 「凶禮」 ‘沐浴’; 이현진, 『왕의 죽음, 정조의 국장』, 글항아리, 2015, 99~100쪽.</ref>
 
  
 
=='''지식 관계망'''==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관계정보===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항목A!!항목B!!관계!!비고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왕]] || '''{{PAGENAME}}''' || A는 B에 참여하였다 ||  
+
| [[왕]] || 목욕 || A는 B를 참여하였다 || A ekc:participates B
 
|-
 
|-
| [[왕비]] || '''{{PAGENAME}}''' || A는 B에 참여하였다 ||  
+
| [[왕비]] || 목욕 || A는 B를 참여하였다 || A ekc:participates B
 
|-
 
|-
| [[왕세자]] || '''{{PAGENAME}}''' || A는 B에 참여하였다 ||  
+
| [[왕세자]] || 목욕 || A는 B를 참여하였다 || A ekc:participates B
 
|-
 
|-
| [[백관]] || '''{{PAGENAME}}''' || A는 B에 참여하였다 ||  
+
| [[백관]] || 목욕 || A는 B를 참여하였다 || A ekc:participates B
 
|-
 
|-
| [[내명부]] || '''{{PAGENAME}}''' || A는 B에 참여하였다 ||  
+
| [[내명부]] || 목욕 || A는 B를 참여하였다 || A ekc:participates B
 +
|-
 +
| [[상례]] || 목욕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
 
=='''시각자료'''==
 
===갤러리===
 
 
===영상===
 
  
 
=='''주석'''==
 
=='''주석'''==
56번째 줄: 50번째 줄:
 
* 최규순, 「傳統 喪禮에서의 復과 復衣에 나타난 多面的 성격」, 『한국학논총』 V.34,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0.
 
* 최규순, 「傳統 喪禮에서의 復과 復衣에 나타난 多面的 성격」, 『한국학논총』 V.34,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0.
 
* 최진덕, 「『주자가례』와 죽음의 유학적 이해」, 『정신문화연구』 제23권 제3호, 한국정신문화연구원, 2000.
 
* 최진덕, 「『주자가례』와 죽음의 유학적 이해」, 『정신문화연구』 제23권 제3호, 한국정신문화연구원, 2000.
 
===더 읽을거리===
 
 
===유용한 정보===
 
  
 
[[분류:궁중기록화]] [[분류:개념]] [[분류:의례]]
 
[[분류:궁중기록화]] [[분류:개념]] [[분류:의례]]

2017년 11월 4일 (토) 10:06 기준 최신판

목욕
(沐浴)
대표명칭 목욕
한자표기 沐浴
유형 의례
관련개념 흉례, 상례



정의

조선시대 국장(國葬)에서 쌀뜨물로 시신(屍身)의 머리를 감기고[沐] 단향(檀香)을 달인 물로 몸을 씻기는[浴] 의식으로, 승하한 날에 거행한다.[1]

내용

의 시신은 내시(內侍)가 행하고 왕실 여성이 승하한 내상(內喪)의 경우 여관(女官)이 행한다. 내시가 휘장으로 대행(大行)[2]이 누워 있는 안쪽을 가리고, 휘장 안에는 평상(平牀)을 설치하며, 백면포(白綿布)로 만든 요(褥)와 자리[席], 베개[枕]를 놓는다. 안과 밖의 휘장을 설치해 막고 중간에 문을 만들어, 왕비내명부(內命婦)가 곡(哭)하는 자리를 만든다. 내시가 손을 씻고 대행을 상으로 옮기고, 머리를 남쪽으로 한 다음 겹이불을 덮는다. 목욕을 시작하기 전 공조(工曹)는 새로 제작한 분(盆)반(槃) 등을 공급하고, 상의원(尙衣院)은 생사(生絲)로 짠 명의(明衣)건(巾),빗 등을 준비해 놓는다. 내시는 기장쌀뜨물인 양미번(粱米潘)과 단향(檀香)을 달인 탕(湯)을 분(盆)에 담아 반(槃), 선(鐥)을 가지고 들어가면서 왕세자대군 이하를 휘장 밖의 자리에 나아가 북향하여 곡하게 한다. 내시는 양미번으로 대행의 머리를 감기고[沐] 빗질하여 수건으로 닦은 후 자주색 초(綃)로 만든 끈[紫綃纓]으로 묶는다. 이 때 떨어진 머리카락은 모아서 주머니에 담는다. 수염을 다듬고 손톱을 깎아 작은 주머니[小囊]에 담는다. 4인이 이불을 들어 올리면 2인이 단향을 달인 탕물로 몸을 씻기고[浴] 상체와 하체를 각각 다른 수건으로 닦는다. 발톱을 깎아 작은 주머니에 담는데, 대렴(大斂)재궁 안에 넣는다. 다음 명의(明衣)를 입히고 네모난 수건[方巾]으로 얼굴을 덮고 나서 겹으로 된 이불을 덮는다. 목욕시킨 물과 수건, 빗 등을 미리 파 놓은 구덩이에 묻으면 의식이 끝난다.[3]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목욕 A는 B를 참여하였다 A ekc:participates B
왕비 목욕 A는 B를 참여하였다 A ekc:participates B
왕세자 목욕 A는 B를 참여하였다 A ekc:participates B
백관 목욕 A는 B를 참여하였다 A ekc:participates B
내명부 목욕 A는 B를 참여하였다 A ekc:participates B
상례 목욕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주석

  1. 『國朝五禮儀』 卷7, 「凶禮」 ‘沐浴’
  2. 대행(大行): 왕이나 왕비(王妃)가 죽은 뒤 시호(諡號)를 아직 올리기 전의 칭호(稱號)이다.
  3. 『國朝五禮儀』 卷7, 「凶禮」 ‘沐浴’; 이현진, 『왕의 죽음, 정조의 국장』, 글항아리, 2015, 99~100쪽.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
  •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 『주자가례(朱子家禮)』
  • 이현진, 「영조대 왕실 喪葬禮의 정비와 『國朝喪禮補編』」, 『韓國思想史學』 37, 한국사상사학회, 2011.
  • 이현진, 「정조 초 영조의 國葬 절차와 의미」, 『泰東古典硏究』 27,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2011.
  • 이현진, 『왕의 죽음, 정조의 국장』, 글항아리, 2015.
  • 이현진, 『조선왕실의 상장례』, 신구문화사, 2017.
  • 임민혁, 「조선초기 『國朝五禮儀』 흉례의 구조와 의례적 성격」, 『역사와 실학』 50 , 2013.
  • 鄭鐘秀, 『朝鮮初期 喪葬儀禮 硏究』,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4.
  • 최규순, 「傳統 喪禮에서의 復과 復衣에 나타난 多面的 성격」, 『한국학논총』 V.34,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0.
  • 최진덕, 「『주자가례』와 죽음의 유학적 이해」, 『정신문화연구』 제23권 제3호, 한국정신문화연구원,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