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내용) |
(→지식관계망)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1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25번째 줄: | 25번째 줄: | ||
=='''내용'''== | =='''내용'''== | ||
− | 통일대사(通一大師)의 속성은 김씨(金氏)로 선조는 계림(鷄林) 사람이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97870&cid=40942&categoryId=33382 괴산 각연사 통일대사 탑비]", 두산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신라 말에 당나라로 유학하였으며, 귀국하여 [[고려|고려 태조]]의 존숭을 받았다고 한다.<ref>안성두,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9394 통일]",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또한 대사가 왕실에서 불법을 강론하면 그의 법문을 듣기 위해 각지에서 사람들이 구름같이 몰려들었다고 한다. 대사가 입적하자 [[고려 광종|광종]]이 '통일대사(通一大師)'라는 시호를 내리고, 당시 한림원(翰林院)의 학사였던 [[김정언|김정언(金正彦)]]에게 비문을 짓게 하였다. 958년([[고려 광종|광종]] 9) 통일대사의 제자 석총훈(釋聰訓), 석훈우(釋訓又) 등이 탑비를 건립하였다. <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97870&cid=40942&categoryId=33382 괴산 각연사 통일대사 탑비]", 두산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 | 통일대사(通一大師)의 속성은 김씨(金氏)로 선조는 계림(鷄林) 사람이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97870&cid=40942&categoryId=33382 괴산 각연사 통일대사 탑비]", 두산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 | {{blockquote | ||
+ | |속세의 성은 김씨(金氏)이니 그 선조는 경주(慶州) 사람이다. ……… 의(義)를 일찍부터 갖추었으며, 곧은 규범을 지켜 깨끗하고 ……… 아이들과 장난할 때도 늘 노성(老成)한 사람을 본받았다. | ||
+ | |출처=임세권, 이우태, "각연사통일대사탑비", 『한국금석문집성 21: 고려5 비문5』, 한국국학진흥원, 2014, 12쪽. 온라인 참조: "[http://www.krpia.co.kr/product/main;jsessionid=9D11B9A1645E04A3207CA9F97B6F3C2B?plctId=PLCT00006043#none 한국금석문집성 21: 고려5 비문5]", <html><online style="color:purple">『KRpia - 한국의 지식콘텐츠』<sup>online</sup></online></html>, 누리미디어. | ||
+ | }} | ||
+ | |||
+ | 신라 말에 당나라로 유학하였으며, 귀국하여 [[고려 태조|고려 태조]]의 존숭을 받았다고 한다.<ref>안성두,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9394 통일]",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또한 대사가 왕실에서 불법을 강론하면 그의 법문을 듣기 위해 각지에서 사람들이 구름같이 몰려들었다고 한다. | ||
+ | {{blockquote | ||
+ | |중국에 들어가 ……… 그 뜻이 깊어 현묘(玄妙)한 말 ……… 손을 잡고 ……… 선(禪)의 아들이 많았고, 법(法)의 손자들이 빛났다. 혜수(惠水)의 ……… 오고 가는 것이 끝이 ……… 포(包)에 ……… 구름이 옛 산으로 돌아오니, 마침 돌아오는 배를 만나 그로 인하여 동쪽으로 노를 저어 왔다. ……… 혜가(惠柯)에서 빼어났고, ……………… 맞이하여 받들었다. ……… 우리 태(太) ……… 군복 한 벌을 ……… 손을 잡고 ……… 덕(德)이 ……… 동쪽 숲을 바라보며 목을 늘어뜨리고, 남쪽 시내를 향하여 ……… 부처가 열반을 마음으로 인증(認證)하였으니 어찌 ……… 태조가 흔연(欣然)히 사관(舍館)으로 맞이하여 이르기를 ……… 물과 돌로 ……… 태조가 이에 ……… 염부(閻浮)를 굳게 하고 ……… 이에 길이 ……… 의 현주(玄珠) ……… 장벽(牆壁) ……… 의 위에서 닻줄을 풀고 ……… 배우는 무리들이 벼와 삼처럼 줄지어 찾아왔고, 벗들도 많이 ……… 적적(寂寂)함을 얻었다. 진공(眞空)의 가르침과 사람을 이끄는 말은 마음은 넉넉한 마음에 ……… 마니(摩尼)의 보배 구슬을 ……… 그 선(禪)의 바라밀(波羅密)은 ……… 부처가 어찌 씨가 있겠는가. | ||
+ | |출처=임세권, 이우태, "각연사통일대사탑비", 『한국금석문집성 21: 고려5 비문5』, 한국국학진흥원, 2014, 13쪽. 온라인 참조: "[http://www.krpia.co.kr/product/main;jsessionid=9D11B9A1645E04A3207CA9F97B6F3C2B?plctId=PLCT00006043#none 한국금석문집성 21: 고려5 비문5]", <html><online style="color:purple">『KRpia - 한국의 지식콘텐츠』<sup>online</sup></online></html>, 누리미디어. | ||
+ | }} | ||
+ | |||
+ | 대사가 입적하자 [[고려 광종|광종]]이 '통일대사(通一大師)'라는 시호를 내리고, 당시 한림원(翰林院)의 학사였던 [[김정언|김정언(金正彦)]]에게 비문을 짓게 하였다. 958년([[고려 광종|광종]] 9) 통일대사의 제자 석총훈(釋聰訓), 석훈우(釋訓又) 등이 탑비를 건립하였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97870&cid=40942&categoryId=33382 괴산 각연사 통일대사 탑비]", 두산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
+ | {{blockquote | ||
+ | |나는 장차 멀리 가려 하니 ……… 공(空)을 보고 ……… 어찌 근본을 잊는 곳으로 사람을 이끌겠는가. 이에 ……… 이튿날 보리산(菩提山)에 신좌(神座)를 받들어 모셨다. ……… 왕(王)이 듣고서 선방(禪房)이 ……… 개탄하여 ……… 고삐를 나란히 하여 ……… 이름 없는 ……… 에서 어찌 ……… "좋다" 는 왕(王)의 제가가 있었다. 드디어 한림학사 김(金) ……… 에게 명하여 ……… | ||
+ | |출처=임세권, 이우태, "각연사통일대사탑비", 『한국금석문집성 21: 고려5 비문5』, 한국국학진흥원, 2014, 13쪽. 온라인 참조: "[http://www.krpia.co.kr/product/main;jsessionid=9D11B9A1645E04A3207CA9F97B6F3C2B?plctId=PLCT00006043#none 한국금석문집성 21: 고려5 비문5]", <html><online style="color:purple">『KRpia - 한국의 지식콘텐츠』<sup>online</sup></online></html>, 누리미디어. | ||
+ | }} | ||
[[괴산 각연사]]에는 통일대사의 비와 승탑인 [[괴산 각연사 통일대사탑비]]와 [[괴산 각연사 통일대사탑]]이 남아있다. 그러나 탑비는 마멸이 심하여 판독이 어려운 상태이다. | [[괴산 각연사]]에는 통일대사의 비와 승탑인 [[괴산 각연사 통일대사탑비]]와 [[괴산 각연사 통일대사탑]]이 남아있다. 그러나 탑비는 마멸이 심하여 판독이 어려운 상태이다. | ||
=='''지식관계망'''== | =='''지식관계망'''== | ||
− | " | + | *'''통일대사 지식관계망''' |
+ | <html> | ||
+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
+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
+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D022/monk_tongil.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 | </html> | ||
===관련항목=== | ===관련항목=== | ||
36번째 줄: | 57번째 줄: |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 |- | ||
− | | [[괴산 각연사 통일대사탑비]] || [[통일]] || A는 B를 위한 비이다 || | + | | [[괴산 각연사 통일대사탑비]] || [[통일]] || A는 B를 위한 비이다 || A ekc:isSteleOf B |
− | |||
− | |||
|- | |- | ||
− | | [[ | + | | [[괴산 각연사 통일대사탑]] || [[통일]] || A는 B를 위한 승탑이다 || A ekc:isStupaOf B |
|- | |- | ||
− | | [[통일]] || [[ | + | | [[통일]] || [[괴산 각연사]] || A는 B에서 주석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통일]] || [[고려 | + | | [[통일]] || [[고려 태조]]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56번째 줄: | 75번째 줄: | ||
=='''시각자료'''== | =='''시각자료'''== | ||
===갤러리=== | ===갤러리=== | ||
+ | <gallery mode=packed heights=120px caption='통일대사'> | ||
+ | 파일:BHST_Gagyeonsa_Tongil_stele-gwibu.jpg|통일대사탑비 귀부 | ||
+ | 파일:BHST_Gagyeonsa_Tongil_stele-isu.jpg|통일대사탑비 이수 | ||
+ | </gallery> | ||
=='''주석'''== | =='''주석'''== | ||
61번째 줄: | 84번째 줄: | ||
=='''참고문헌'''== | =='''참고문헌'''== | ||
+ | *임세권, 『한국금석문집성 21: 고려5 비문5』, 한국국학진흥원, 2014. 온라인 참조: "[http://www.krpia.co.kr/product/main;jsessionid=9D11B9A1645E04A3207CA9F97B6F3C2B?plctId=PLCT00006043#none 한국금석문집성 21]", 한국금석문집성 21: 고려5 비문5, <html><online style="color:purple">『KRpia - 한국의 지식콘텐츠』<sup>online</sup></online></html>, 누리미디어. | ||
+ | *"[http://gsm.nricp.go.kr/_third/user/frame.jsp?View=search&No=4&ksmno=3115 괴산각연사통일대사탑비]", 금석문 세부정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sup>online</sup></online></html>, 국립문화재연구소. |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97870&cid=40942&categoryId=33382 괴산 각연사 통일대사 탑비]", 두산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97870&cid=40942&categoryId=33382 괴산 각연사 통일대사 탑비]", 두산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
*안성두,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9394 통일]",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안성두,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9394 통일]",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2017년 11월 21일 (화) 00:05 기준 최신판
통일(通一) | |
대표명칭 | 통일 |
---|---|
한자 | 通一 |
생몰년 | 미상-미상 |
시호 | 통일(通一) |
성씨 | 김씨(金氏) |
출신지 | 황해도 재령 |
승탑 | 괴산 각연사 통일대사탑 |
승탑비 | 괴산 각연사 통일대사탑비 |
정의
신라 말 고려 초의 승려
내용
통일대사(通一大師)의 속성은 김씨(金氏)로 선조는 계림(鷄林) 사람이다.[1]
속세의 성은 김씨(金氏)이니 그 선조는 경주(慶州) 사람이다. ……… 의(義)를 일찍부터 갖추었으며, 곧은 규범을 지켜 깨끗하고 ……… 아이들과 장난할 때도 늘 노성(老成)한 사람을 본받았다. | ||
출처: 임세권, 이우태, "각연사통일대사탑비", 『한국금석문집성 21: 고려5 비문5』, 한국국학진흥원, 2014, 12쪽. 온라인 참조: "한국금석문집성 21: 고려5 비문5", |
신라 말에 당나라로 유학하였으며, 귀국하여 고려 태조의 존숭을 받았다고 한다.[2] 또한 대사가 왕실에서 불법을 강론하면 그의 법문을 듣기 위해 각지에서 사람들이 구름같이 몰려들었다고 한다.
중국에 들어가 ……… 그 뜻이 깊어 현묘(玄妙)한 말 ……… 손을 잡고 ……… 선(禪)의 아들이 많았고, 법(法)의 손자들이 빛났다. 혜수(惠水)의 ……… 오고 가는 것이 끝이 ……… 포(包)에 ……… 구름이 옛 산으로 돌아오니, 마침 돌아오는 배를 만나 그로 인하여 동쪽으로 노를 저어 왔다. ……… 혜가(惠柯)에서 빼어났고, ……………… 맞이하여 받들었다. ……… 우리 태(太) ……… 군복 한 벌을 ……… 손을 잡고 ……… 덕(德)이 ……… 동쪽 숲을 바라보며 목을 늘어뜨리고, 남쪽 시내를 향하여 ……… 부처가 열반을 마음으로 인증(認證)하였으니 어찌 ……… 태조가 흔연(欣然)히 사관(舍館)으로 맞이하여 이르기를 ……… 물과 돌로 ……… 태조가 이에 ……… 염부(閻浮)를 굳게 하고 ……… 이에 길이 ……… 의 현주(玄珠) ……… 장벽(牆壁) ……… 의 위에서 닻줄을 풀고 ……… 배우는 무리들이 벼와 삼처럼 줄지어 찾아왔고, 벗들도 많이 ……… 적적(寂寂)함을 얻었다. 진공(眞空)의 가르침과 사람을 이끄는 말은 마음은 넉넉한 마음에 ……… 마니(摩尼)의 보배 구슬을 ……… 그 선(禪)의 바라밀(波羅密)은 ……… 부처가 어찌 씨가 있겠는가. | ||
출처: 임세권, 이우태, "각연사통일대사탑비", 『한국금석문집성 21: 고려5 비문5』, 한국국학진흥원, 2014, 13쪽. 온라인 참조: "한국금석문집성 21: 고려5 비문5", |
대사가 입적하자 광종이 '통일대사(通一大師)'라는 시호를 내리고, 당시 한림원(翰林院)의 학사였던 김정언(金正彦)에게 비문을 짓게 하였다. 958년(광종 9) 통일대사의 제자 석총훈(釋聰訓), 석훈우(釋訓又) 등이 탑비를 건립하였다.[3]
나는 장차 멀리 가려 하니 ……… 공(空)을 보고 ……… 어찌 근본을 잊는 곳으로 사람을 이끌겠는가. 이에 ……… 이튿날 보리산(菩提山)에 신좌(神座)를 받들어 모셨다. ……… 왕(王)이 듣고서 선방(禪房)이 ……… 개탄하여 ……… 고삐를 나란히 하여 ……… 이름 없는 ……… 에서 어찌 ……… "좋다" 는 왕(王)의 제가가 있었다. 드디어 한림학사 김(金) ……… 에게 명하여 ……… | ||
출처: 임세권, 이우태, "각연사통일대사탑비", 『한국금석문집성 21: 고려5 비문5』, 한국국학진흥원, 2014, 13쪽. 온라인 참조: "한국금석문집성 21: 고려5 비문5", |
괴산 각연사에는 통일대사의 비와 승탑인 괴산 각연사 통일대사탑비와 괴산 각연사 통일대사탑이 남아있다. 그러나 탑비는 마멸이 심하여 판독이 어려운 상태이다.
지식관계망
- 통일대사 지식관계망
관련항목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괴산 각연사 통일대사탑비 | 통일 | A는 B를 위한 비이다 | A ekc:isSteleOf B |
괴산 각연사 통일대사탑 | 통일 | A는 B를 위한 승탑이다 | A ekc:isStupaOf B |
통일 | 괴산 각연사 | A는 B에서 주석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통일 | 고려 태조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시간정보
시간정보 | 내용 |
---|---|
958년 | 통일대사의 탑비가 건립되었다. |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 ↑ "괴산 각연사 통일대사 탑비",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 안성두, "통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괴산 각연사 통일대사 탑비",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참고문헌
- 임세권, 『한국금석문집성 21: 고려5 비문5』, 한국국학진흥원, 2014. 온라인 참조: "한국금석문집성 21", 한국금석문집성 21: 고려5 비문5,
『KRpia - 한국의 지식콘텐츠』online , 누리미디어. - "괴산각연사통일대사탑비", 금석문 세부정보,
『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online , 국립문화재연구소. - "괴산 각연사 통일대사 탑비",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안성두, "통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괴산 각연사 통일대사 탑비",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