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종"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지식관계망) |
|||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1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26번째 줄: | 26번째 줄: | ||
=='''내용'''== | =='''내용'''== | ||
===가계와 탄생=== | ===가계와 탄생=== | ||
− | 지종은 930년에 태어났다. 스님의 휘는 지종(智宗), 자는 | + | 지종은 930년에 태어났다. 스님의 휘는 지종(智宗), 자는 신측(神則), 속성은 전주 이씨(全州 李氏)이다. 아버지의 이름은 행순(行順)이다. |
{{blockquote| | {{blockquote| | ||
스님의 휘(諱)는 지종(智宗)이고, 자(字)는 신측(神則)이며, 속성(俗姓)은 이씨(李氏)로 전주(全州) 출신이다. 아버지의 이름은 행순(行順)이니, 항상 의리를 품고 어진 마음을 가지며 겸손하고 욕심이 없었으니 마치 개제(愷悌)한 군자(君子)가 항상 복을 구하되 자신에게 돌리지 아니하며, 마음이 영화(榮華)에 유혹되지 않는 구루장인(痀僂丈人)이 스스로 정신을 응집(凝集)하여 도덕이 높았으니 그 사람과 같았다. 어머니는 김씨(金氏)니 그 칭송 받음이 양홍(梁鴻)의 처(妻)와 같고, 그 명망은 노래자(老萊子)의 부인과 같았다. | 스님의 휘(諱)는 지종(智宗)이고, 자(字)는 신측(神則)이며, 속성(俗姓)은 이씨(李氏)로 전주(全州) 출신이다. 아버지의 이름은 행순(行順)이니, 항상 의리를 품고 어진 마음을 가지며 겸손하고 욕심이 없었으니 마치 개제(愷悌)한 군자(君子)가 항상 복을 구하되 자신에게 돌리지 아니하며, 마음이 영화(榮華)에 유혹되지 않는 구루장인(痀僂丈人)이 스스로 정신을 응집(凝集)하여 도덕이 높았으니 그 사람과 같았다. 어머니는 김씨(金氏)니 그 칭송 받음이 양홍(梁鴻)의 처(妻)와 같고, 그 명망은 노래자(老萊子)의 부인과 같았다. | ||
48번째 줄: | 48번째 줄: | ||
===구법유학=== | ===구법유학=== | ||
− | 959년 오월(吳越)에 유학하여 [[영명사|영명사(永明寺)]]의 [[연수|연수(延壽)]] 문하에서 2년 동안 수학하여 [[연수]]로부터 심인(心印)을 전해 받았다. 961-968년까지의 7년 동안 [[국청사|국청사(國淸寺)]]의 [[ | + | 959년 오월(吳越)에 유학하여 [[영명사|영명사(永明寺)]]의 [[연수|연수(延壽)]] 문하에서 2년 동안 수학하여 [[연수]]로부터 심인(心印)을 전해 받았다. 961-968년까지의 7년 동안 [[국청사|국청사(國淸寺)]]의 [[의적|정광의적(淨光義寂)]]으로부터 『[[대정혜론|대정혜론(大定慧論)]]』을 배워 [[천태종|천태교(天台敎)]]를 전수받았다. 귀국 직전의 2년 동안 [[전교원|전교원(傳敎院)]]에서 『[[대정혜론]]』과 『[[법화경]]』 등을 강의하여 명성을 떨쳤다.<ref>김상현,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4390 지종]",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blockquote| | {{blockquote| | ||
어느 덧 오월국(吳越國)에 도착하여 먼저 영명사(永明寺) 연수선사(延壽禪師)를 친견하니, 연수선사가 묻기를, “법(法)을 구하러 왔는가, 일을 보러 왔는가?”하고 물었다. 스님께서 대답하기를, “법(法)을 구하러 왔습니다.”하니 연수스님이 말하기를, “법(法)은 본래 둘이 없어서 모래 수와 같이 많은 세계에 두루하거늘 어찌 수고로움을 무릅쓰고 바다를 건너 여기까지 왔는가?” 스님이 대답하기를, “이미 모래 수와 같이 많은 세계에 가득하다면 여기까지 찾아온들 무슨 상관이 있습니까.”라 하였다. | 어느 덧 오월국(吳越國)에 도착하여 먼저 영명사(永明寺) 연수선사(延壽禪師)를 친견하니, 연수선사가 묻기를, “법(法)을 구하러 왔는가, 일을 보러 왔는가?”하고 물었다. 스님께서 대답하기를, “법(法)을 구하러 왔습니다.”하니 연수스님이 말하기를, “법(法)은 본래 둘이 없어서 모래 수와 같이 많은 세계에 두루하거늘 어찌 수고로움을 무릅쓰고 바다를 건너 여기까지 왔는가?” 스님이 대답하기를, “이미 모래 수와 같이 많은 세계에 가득하다면 여기까지 찾아온들 무슨 상관이 있습니까.”라 하였다. | ||
77번째 줄: | 77번째 줄: | ||
}} | }} | ||
− | [[고려 목종|목종]]은 광천편소지각지만원묵선사(光天遍炤至覺智滿圓默禪師)라는 호를 더하고, [[개성 불은사|불은사(佛恩寺)]] [[개성 | + | [[고려 목종|목종]]은 광천편소지각지만원묵선사(光天遍炤至覺智滿圓默禪師)라는 호를 더하고, [[개성 불은사|불은사(佛恩寺)]], [[개성 외제석원|외제석원(外帝釋院)]] 등에서 머물게 하였다. [[고려 현종|현종]]은 대선사(大禪師)를 제수하고, [[개성 광명사|광명사(廣明寺)]]에 주석하도록 청하였으며, 적연(寂然)이라는 법호를 주었다. 1012년(현종 3) 왕사(王師)가 되었으며, 3년 후에는 보화(普化)라는 법호를 받았다.<ref>김상현,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4390 지종]",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blockquote| | {{blockquote| | ||
목종(穆宗)이 선왕(先王)의 뜻을 받들어 불교에 귀의하고, 스님과 사자(師資)의 승연(勝緣)을 맺고 학의(鶴儀)를 보살펴서 잠시도 흠모(欽慕)하지 않는 때가 없으며, 해마다 스님에게 홍패(鴻霈)한 정성을 드리우지 않는 해가 없었다. 또한 ‘광천편소지각지만원묵선사(光天遍炤至覺智滿圓黙禪師)’라는 법칭(法稱)을 첨가하고 수놓은 가사를 하사하는 한편 불은사(佛恩寺)의 주지를 겸하게 하였다. 그리고 호국사(護國寺)·외제원(外帝院) 등도 주지를 역임한 사원들이다. 금상(今上)이신 현종(顯宗)이 신라 천년사직(千年社稷)의 창성했던 운(運)에 응하여 신도(神圖)를 이어받아 나라를 다스리며, 십이행법륜(十二行法輪)을 전하여 크게 불교를 넓혔다. 따라서 의용(義龍)을 소집하여 구름처럼 뛰게 하고 율호(律虎)를 불러 바람과 같이 날도록 불교중흥을 위해 맹활약을 하도록 격려하고 대선사(大禪師)의 법계를 제수하고는 청하여 광명사(廣明寺)에 주석하게 하고 법칭(法稱)을 적연(寂然)이라 진납(進納)하였다. | 목종(穆宗)이 선왕(先王)의 뜻을 받들어 불교에 귀의하고, 스님과 사자(師資)의 승연(勝緣)을 맺고 학의(鶴儀)를 보살펴서 잠시도 흠모(欽慕)하지 않는 때가 없으며, 해마다 스님에게 홍패(鴻霈)한 정성을 드리우지 않는 해가 없었다. 또한 ‘광천편소지각지만원묵선사(光天遍炤至覺智滿圓黙禪師)’라는 법칭(法稱)을 첨가하고 수놓은 가사를 하사하는 한편 불은사(佛恩寺)의 주지를 겸하게 하였다. 그리고 호국사(護國寺)·외제원(外帝院) 등도 주지를 역임한 사원들이다. 금상(今上)이신 현종(顯宗)이 신라 천년사직(千年社稷)의 창성했던 운(運)에 응하여 신도(神圖)를 이어받아 나라를 다스리며, 십이행법륜(十二行法輪)을 전하여 크게 불교를 넓혔다. 따라서 의용(義龍)을 소집하여 구름처럼 뛰게 하고 율호(律虎)를 불러 바람과 같이 날도록 불교중흥을 위해 맹활약을 하도록 격려하고 대선사(大禪師)의 법계를 제수하고는 청하여 광명사(廣明寺)에 주석하게 하고 법칭(法稱)을 적연(寂然)이라 진납(進納)하였다. | ||
90번째 줄: | 90번째 줄: | ||
}} | }} | ||
− | =='''지식관계망'''== | + | =='''지식 관계망'''== |
− | " | + | *'''원공국사 지종 지식관계망''' |
+ | <html> | ||
+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
+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
+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D020/monk_jijong.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 | </html> | ||
− | === | + | ===관계정보===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 |- | ||
− | | [[원주 거돈사지 원공국사탑비]] || [[지종]] || A는 B를 위한 비이다 || | + | | [[원주 거돈사지 원공국사탑비]] || [[지종]] || A는 B를 위한 비이다 || A ekc:isSteleOf B |
|- | |- | ||
− | | [[원주 거돈사지 원공국사탑비]] || [[원주 거돈사지]] || A는 B에 있다 || | + | | [[원주 거돈사지 원공국사탑비]] || [[원주 거돈사지]] || A는 B에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 |- | ||
− | | [[원주 거돈사지 원공국사탑]] || [[지종]] || A는 B를 위한 승탑이다 || | + | | [[원주 거돈사지 원공국사탑]] || [[지종]] || A는 B를 위한 승탑이다 || A ekc:isStupaOf B |
|- | |- | ||
− | | [[원주 거돈사지 원공국사탑]] || [[원주 거돈사지]] || A는 B에 | + | | [[원주 거돈사지 원공국사탑]] || [[원주 거돈사지]] || A는 B에 있었다 || A edm:formerLocation B |
|- | |- | ||
− | | [[ | + | | [[원주 거돈사지 원공국사탑]] || [[국립중앙박물관]] || A는 B에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 |- | ||
− | | [[ | + | | [[홍범]] || [[지종]]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 | |- | ||
− | | [[ | + | | [[경철]] || [[지종]]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 | |- | ||
− | | [[지종]] || [[개성 | + | | [[지종]] || [[개성 영통사]] || A는 B에서 계를 받았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지종]] || [[ | + | | [[지종]] || [[개성 사나사]] || A는 B에서 수행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지종]] || [[ | + | | [[지종]] || [[문경 봉암사]] || A는 B에서 수행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 + | | [[지종]] || [[영명사]] || A는 B에서 수행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 + | | [[연수]] || [[지종]]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 | |- | ||
− | | [[ | + | | [[지종]] || [[국청사]] || A는 B에서 수행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 + | | [[의적]] || [[지종]]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 | |- | ||
− | | [[지종]] || [[고려 | + | | [[지종]] || [[고려 광종]]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지종]] || [[고려 | + | | [[지종]] || [[고려 경종]]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지종]] || [[고려 | + | | [[지종]] || [[고려 목종]]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지종]] || [[ | + | | [[지종]] || [[고려 현종]]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지종]] || [[ | + | | [[지종]] || [[적석사]] || A는 B에서 주석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지종]] || [[개성 | + | | [[지종]] || [[개성 불은사]] || A는 B에서 주석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지종]] || [[개성 광명사]] || A는 B에서 주석하였다 || | + | | [[지종]] || [[개성 외제석원]] || A는 B에서 주석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지종]] || [[개성 광명사]] || A는 B에서 주석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시각자료'''== | + | =='''시각자료'''== |
− | |||
===가상현실=== | ===가상현실=== | ||
===갤러리=== | ===갤러리=== | ||
− | + | <gallery mode=packed heights=250px> | |
− | + | 파일:BHST_Geodonsaji_Wongong_stele.jpg|원공국사탑비 | |
+ | 파일:BHST_Geodonsaji_Wongong_stupa-replica.jpg|원공국사탑(복제) | ||
+ | </gallery> | ||
=='''주석'''== | =='''주석'''== |
2017년 11월 27일 (월) 01:26 기준 최신판
지종(智宗) | |
대표명칭 | 지종 |
---|---|
한자 | 智宗 |
생몰년 | 930년(태조 13)-1018년(현종 9) |
시호 | 원공(圓空) |
호 | 혜월(慧月) |
법호 | 적연(寂然) |
탑호 | 승묘(勝妙) |
자 | 신칙(神則) |
성씨 | 이씨(李氏) |
본관 | 전주(全州) |
승탑 | 원주 거돈사지 원공국사탑 |
승탑비 | 원주 거돈사지 원공국사탑비 |
목차
정의
고려시대의 승려.
내용
가계와 탄생
지종은 930년에 태어났다. 스님의 휘는 지종(智宗), 자는 신측(神則), 속성은 전주 이씨(全州 李氏)이다. 아버지의 이름은 행순(行順)이다.
출가수행
937년(태조 20) 개경의 사나사(舍那寺)에 머물고 있던 인도 승려 홍범삼장(弘梵三藏)에게서 머리를 깎았다. 홍범삼장이 그 해에 인도로 돌아가자 광화사(廣化寺)의 경철(景哲)에게 수업하였고, 946년(정종 1) 영통사(靈通寺)의 관단(官壇)에서 구족계를 받았다.[1]
953년(광종 4) 희양산(熙陽山)의 형초선사(逈超禪師)를 만나 환대를 받았고, 954년 승과(僧科)에 합격하였다.[2]
구법유학
959년 오월(吳越)에 유학하여 영명사(永明寺)의 연수(延壽) 문하에서 2년 동안 수학하여 연수로부터 심인(心印)을 전해 받았다. 961-968년까지의 7년 동안 국청사(國淸寺)의 정광의적(淨光義寂)으로부터 『대정혜론(大定慧論)』을 배워 천태교(天台敎)를 전수받았다. 귀국 직전의 2년 동안 전교원(傳敎院)에서 『대정혜론』과 『법화경』 등을 강의하여 명성을 떨쳤다.[3]
귀국 및 활동
970년에 귀국하자 광종은 대사(大師)의 법계를 사하고, 금광선원(金光禪院)에 머물게 하였으며, 975년 중대사(重大師)를 더하고 마납가사(磨衲袈裟)를 시여하였다.[4]
경종이 즉위하여 삼중대사(三重大師)를 제수하고, 수정염주(水晶念珠)를 하사하였다. 성종은 적석사(積石寺)로 옮겨 거주하게 하고, 혜월(慧月)이라는 호를 내렸다. 990년(성종 9)부터 5년 동안 궁중에서 설법하고, 마납가사를 하사받았다.[5]
목종은 광천편소지각지만원묵선사(光天遍炤至覺智滿圓默禪師)라는 호를 더하고, 불은사(佛恩寺), 외제석원(外帝釋院) 등에서 머물게 하였다. 현종은 대선사(大禪師)를 제수하고, 광명사(廣明寺)에 주석하도록 청하였으며, 적연(寂然)이라는 법호를 주었다. 1012년(현종 3) 왕사(王師)가 되었으며, 3년 후에는 보화(普化)라는 법호를 받았다.[6]
입적
1012년(현종 3) 왕사(王師)가 되었으며, 3년 후에는 보화(普化)라는 법호를 받았다. 1018년 원주 현계산 거돈사(居頓寺)로 옮겼다가 입적하였다.[7]
지식 관계망
- 원공국사 지종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원주 거돈사지 원공국사탑비 | 지종 | A는 B를 위한 비이다 | A ekc:isSteleOf B |
원주 거돈사지 원공국사탑비 | 원주 거돈사지 | A는 B에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원주 거돈사지 원공국사탑 | 지종 | A는 B를 위한 승탑이다 | A ekc:isStupaOf B |
원주 거돈사지 원공국사탑 | 원주 거돈사지 | A는 B에 있었다 | A edm:formerLocation B |
원주 거돈사지 원공국사탑 | 국립중앙박물관 | A는 B에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홍범 | 지종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경철 | 지종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지종 | 개성 영통사 | A는 B에서 계를 받았다 | A edm:isRelatedTo B |
지종 | 개성 사나사 | A는 B에서 수행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지종 | 문경 봉암사 | A는 B에서 수행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지종 | 영명사 | A는 B에서 수행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연수 | 지종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지종 | 국청사 | A는 B에서 수행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의적 | 지종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지종 | 고려 광종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지종 | 고려 경종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지종 | 고려 목종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지종 | 고려 현종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지종 | 적석사 | A는 B에서 주석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지종 | 개성 불은사 | A는 B에서 주석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지종 | 개성 외제석원 | A는 B에서 주석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지종 | 개성 광명사 | A는 B에서 주석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주석
- ↑ 김상현, "지종",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김상현, "지종",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김상현, "지종",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김상현, "지종",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김상현, "지종",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김상현, "지종",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김상현, "지종",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 김상현, "지종",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곽철환, 『시공 불교사전』, 시공사, 2003. 온라인 참조: "지종", 용어해설,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한국문화유산답사회, 『답사여행의 길잡이 7 - 경기남부와 남한강』, 돌배게, 2012. 온라인참조: "원공국사", 답사여행의 길잡이 7 - 경기남부와 남한강,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