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성 개국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참고문헌) |
|||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7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22번째 줄: | 22번째 줄: | ||
경기도 개성시 독암동 탄현문(炭峴門) 밖에 있었던 절.<ref>김위석,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1588 개국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경기도 개성시 독암동 탄현문(炭峴門) 밖에 있었던 절.<ref>김위석,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1588 개국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내용'''== | =='''내용'''== | ||
− | [[고려 태조]]가 935년([[고려 태조|태조]] 18)에 창건한 국찰(國刹)이다. 지금은 절터만 남아 있으나, 태조 이래 역대 왕들이 | + | [[고려 태조]]가 935년([[고려 태조|태조]] 18)에 창건한 국찰(國刹)이다. 지금은 절터만 남아 있으나, 태조 이래 역대 왕들이 참배했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25525 개국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 | 946년 [[고려 정종|정종]]은 불사리(佛舍利)를 봉안하였고, [[고려 성종|성종]]은 공신 [[서희|서희(徐熙)]]가 이곳에서 병이 들자 친히 나가서 곡식 | + | 946년 [[고려 정종|정종]]은 불사리(佛舍利)를 봉안하였고, [[고려 성종|성종]]은 공신 [[서희|서희(徐熙)]]가 이곳에서 병이 들자 친히 나가서 곡식 천 섬과 말 세 필, 왕의 옷 일습을 시납(施納)하고 완쾌하기를 빌었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25525 개국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 | 1018년([[고려 현종|현종]] 9)에는 개국사의 불탑을 중수하고 사리를 | + | 1018년([[고려 현종|현종]] 9)에는 개국사의 불탑을 중수하고 사리를 봉안했으며, 계단(戒壇)을 만들어 3,200명의 승려를 제도하기도 했다. 1083년 [[고려 문종|문종]]은 송나라에서 가져온 대장경(大藏經)을 태자에게 봉안하게 했다. [[고려 예종|예종]] 때는 [[고려 숙종|숙종]]과 [[명의왕후|명의왕후(明懿王后)]]의 영정을 봉안했고, [[고려 고종|고종]] 때는 [[고려 성종|성종]]의 영정을 봉안했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25525 개국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 | 몽골이 침입했을 때 소실되어 오랫동안 | + | 몽골이 침입했을 때 소실되어 오랫동안 복구하지 못하다가, [[고려 충숙왕|충숙왕]] 때인 1323-1325년에 남산종(南山宗)의 종사(宗師) [[목헌|목헌(木軒)]]이 중창했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25525 개국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 | 절터에 남아 있던 [[개성 개국사 석등|석등(石燈)]]은 [[고려박물관]] | + | 절터에 남아 있던 [[개성 개국사 석등|석등(石燈)]]은 [[고려박물관]] 야외 전시장에 옮겨 세웠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25525 개국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 | ==''' | + | =='''지식 관계망'''== |
===관계정보=== | ===관계정보===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 |- | ||
+ | | [[개성 개국사]] || [[고려 태조]] || A는 B가 창건하였다 || 935년 | ||
+ | |- | ||
+ | | [[개성 개국사]] || [[서희]]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
+ | |} | ||
+ | |||
+ | ===시간정보=== | ||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
+ | !style="width:20%"|시간정보!!style="width:80%"|내용 | ||
+ | |- | ||
+ | | 935년 || [[고려 태조]]가 [[개성 개국사|개국사]]를 창건하였다. | ||
+ | |- | ||
+ | | 946년|| [[고려 정종]]은 [[개성 개국사|개국사]]에 불사리를 봉안하였다. | ||
+ | |- | ||
+ | | 1083년 || [[고려 문종]]은 송나라에서 가져온 대장경을 [[개성 개국사|개국사]]에 봉안하게 하였다. | ||
+ | |- | ||
+ | | 1323-1325년|| [[목헌]]이 [[개성 개국사|개국사]]를 중창하였다. | ||
|- | |- | ||
|} | |} |
2024년 4월 11일 (목) 23:16 기준 최신판
개성 개국사 (開城 開國寺) |
|
대표명칭 | 개성 개국사 |
---|---|
영문명칭 | Gaeguksa Temple, Gaeseong |
한자 | 開城 開國寺 |
주소 | 경기도 개성시 독암동 |
건립시기 | 935년 |
창건자 | 고려 태조 |
정의
경기도 개성시 독암동 탄현문(炭峴門) 밖에 있었던 절.[1]
내용
고려 태조가 935년(태조 18)에 창건한 국찰(國刹)이다. 지금은 절터만 남아 있으나, 태조 이래 역대 왕들이 참배했다.[2]
946년 정종은 불사리(佛舍利)를 봉안하였고, 성종은 공신 서희(徐熙)가 이곳에서 병이 들자 친히 나가서 곡식 천 섬과 말 세 필, 왕의 옷 일습을 시납(施納)하고 완쾌하기를 빌었다.[3]
1018년(현종 9)에는 개국사의 불탑을 중수하고 사리를 봉안했으며, 계단(戒壇)을 만들어 3,200명의 승려를 제도하기도 했다. 1083년 문종은 송나라에서 가져온 대장경(大藏經)을 태자에게 봉안하게 했다. 예종 때는 숙종과 명의왕후(明懿王后)의 영정을 봉안했고, 고종 때는 성종의 영정을 봉안했다.[4]
몽골이 침입했을 때 소실되어 오랫동안 복구하지 못하다가, 충숙왕 때인 1323-1325년에 남산종(南山宗)의 종사(宗師) 목헌(木軒)이 중창했다.[5]
절터에 남아 있던 석등(石燈)은 고려박물관 야외 전시장에 옮겨 세웠다.[6]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개성 개국사 | 고려 태조 | A는 B가 창건하였다 | 935년 |
개성 개국사 | 서희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시간정보
시간정보 | 내용 |
---|---|
935년 | 고려 태조가 개국사를 창건하였다. |
946년 | 고려 정종은 개국사에 불사리를 봉안하였다. |
1083년 | 고려 문종은 송나라에서 가져온 대장경을 개국사에 봉안하게 하였다. |
1323-1325년 | 목헌이 개국사를 중창하였다. |
주석
- ↑ 김위석, "개국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개국사",
『두산백과』online . - ↑ "개국사",
『두산백과』online . - ↑ "개국사",
『두산백과』online . - ↑ "개국사",
『두산백과』online . - ↑ "개국사",
『두산백과』online .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