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대학교 박물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내용)
 
(사용자 4명의 중간 판 28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장소정보
 
{{장소정보
|사진=
+
|사진= 한글팀 국립안동대학교박물관 01.jpg
|사진출처=
+
|사진출처= 조규복,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9388 국립안동대학교박물관]",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대표명칭= 국립안동대학교박물관
 
|대표명칭= 국립안동대학교박물관
 
|한자표기=國立安東大學校博物館
 
|한자표기=國立安東大學校博物館
10번째 줄: 10번째 줄:
 
|위도= 36.542671
 
|위도= 36.542671
 
|경도= 128.797013
 
|경도= 128.797013
|관련인물= [[ ]]
+
|관련인물=  
 
|관련단체=
 
|관련단체=
 
|관련장소=
 
|관련장소=
17번째 줄: 17번째 줄:
 
}}
 
}}
 
==정의==
 
==정의==
경상북도 안동시 경동로(송천동)에 위치한 국립안동대학교 부속 박물관.<ref> 조규복,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9388  국립안동대학교박물(國立安東大學校博物館)]",<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경상북도 안동시 경동로(송천동)에 위치한 국립안동대학교 부속 박물관이다.<ref> 조규복,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9388  국립안동대학교박물관(國立安東大學校博物館)]",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내용==
 
==내용==
 +
<!--
 
===개설 및 설립목적===
 
===개설 및 설립목적===
안동을 중심으로 한 경북 북부지역의 고고, 역사, 민속, 고미술, 고건축 등 유ㆍ무형의 문화유산을 조사, 정리, 연구, 전시하여 학생들의 학습과 교수들의 연구 및 지역문화 활성화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한다.<ref> 조규복,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9388  국립안동대학교박물(國立安東大學校博物館)]",<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안동을 중심으로 한 경북 북부지역의 고고, 역사, 민속, 고미술, 고건축 등 유ㆍ무형의 문화유산을 조사, 정리, 연구, 전시하여 학생들의 학습과 교수들의 연구 및 지역문화 활성화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한다.<ref> 조규복,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9388  국립안동대학교박물관(國立安東大學校博物館)]",<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연원 및 변천===
 
===연원 및 변천===
1979년 3월 국립안동대학교 개교와 더불어 개관하였다. 1985년 10월, 안동대학교 캠퍼스가 명륜동에서 송천동으로 이전하면서 박물관도 함께 옮겨왔으며, 전시실은 도서관 4층과 본관 3층을 거쳐 2006년 도서관 신축과 함께 옛 도서관 3, 4층 건물로 옮겨와서 현재에 이른다.<ref> 조규복,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9388  국립안동대학교박물(國立安東大學校博物館)]",<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1979년 3월 국립안동대학교 개교와 더불어 개관하였다. 1985년 10월, 안동대학교 캠퍼스가 명륜동에서 송천동으로 이전하면서 박물관도 함께 옮겨왔다. 전시실은 도서관 4층과 본관 3층을 거쳐 2006년 도서관 신축과 함께 옛 도서관 3, 4층 건물로 옮겨와서 현재에 이른다.<ref> 조규복,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9388  국립안동대학교박물관(國立安東大學校博物館)]",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현황===
+
===박물관 현황===
홍극가묘 출토복식(중요민속자료 제40호)을 비롯해 12,000여점의 유물을 소장하고 있다. 상설전시실, 특별전시실, 야외전시장, 역동서원 등에서 유물들을 전시하고 있다. 2008년 재개관한 상설전시실은 선사시대부터 근·현대에 이르기까지 ‘안동의 역사와 문화’를 체계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꾸며졌다. 특별전시실은 박물관 4층에 위치하며 매년 1∼2회 전통문화와 관련된 주제로 전시회를 개최한다. 야외전시장은 박물관 건물 앞에 펼쳐진 잔디밭에 자리하고 있는데, 안동 석사자(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19호)를 비롯하여 약 40여점의 석조유물이 전시되어 있다. 역동서원은 퇴계이황 선생이 중심이 되어 1567년(명종22년)에 건립한 안동지역 최초의 서원으로 과거와 현재의 교육기관이 공존한다는 점에서도 남다른 의미를 지닌다. 연구사업으로는 안동을 비롯해 영주·예천·의성지역 등의 유적들을 조사하여 경북 북부지역의 역사와 문화를 밝혀 줄 실마리를 제공하고 있다. 교육사업으로는 안동대학교 신입생을 대상으로 한 자기개발과 진로설계 과목을 지도함과 동시에 매년 박물관 관련 사진전을 개최하여 입상작에는 장학금을 지급함으로서 학생들에게 전통문화에 대한 관심과 이해를 고취시키는데 일익을 담당하고 있다.<ref> 조규복,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9388  국립안동대학교박물(國立安東大學校博物館)]",<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홍극가묘출토복식(洪克家墓出土服飾) 4점(중요민속자료 제40호)을 비롯하여 소장 유물이 12,000여점에 이른다.  
 +
상설전시실, 특별전시실, 야외전시장, 역동서원 등에서 유물들을 전시하고 있다. 2008년 재개관한 상설전시실은 선사시대부터 근·현대에 이르기까지 '안동의 역사와 문화'를 체계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꾸며졌다.
 +
특별전시실은 박물관 4층에 위치하며 매년 1∼2회 전통문화와 관련된 주제로 전시회를 개최한다.
 +
야외전시장은 박물관 건물 앞에 펼쳐진 잔디밭에 자리하고 있는데, [[안동 석사자|안동 석사자(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19호)]]를 비롯하여 약 40여점의 석조유물이 전시되어 있다.<ref> 조규복,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9388  국립안동대학교박물관(國立安東大學校博物館)]",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박물관 주도 사업===
 +
연구사업으로는 안동을 비롯해 영주·예천·의성지역 등의 유적들을 조사하여 경북 북부지역의 역사와 문화를 밝혀 줄 실마리를 제공하고 있다. <br/>
 +
교육사업으로는 안동대학교 신입생을 대상으로 한 자기개발과 진로설계 과목을 지도함과 동시에 매년 박물관 관련 사진전을 개최하여 입상작에는 장학금을 지급함으로서 학생들에게 전통문화에 대한 관심과 이해를 고취시키는데 일익을 담당하고 있다.<ref> 조규복,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9388  국립안동대학교박물관(國立安東大學校博物館)]",<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의의와 평가===
 
===의의와 평가===
학생 및 일반인들에게 경북 북부지역의 문화를 이해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고 있다. 소장유물 가운데 부인이 병든 남편의 쾌유를 기원하며 자신의 머리카락을 잘라 만든 미투리와 부부간의 애절한 사랑을 담은 한글편지는 『내셔널지오그래픽』(2007년 11월호), 『엔티쿼티』(2009년 3월호), 『아케올로지』(2010년 3/4월호), 중국 국영 CCTV-4(2009년 1월) 등을 통해 소개되어 우리문화를 외국에 소개하는 징검다리 역할을 하였다.<ref> 조규복,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9388  국립안동대학교박물(國立安東大學校博物館)]",<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학생 및 일반인들에게 경북 북부지역의 문화를 이해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고 있다. 소장유물 가운데 부인이 병든 남편의 쾌유를 기원하며 자신의 머리카락을 잘라 만든 미투리와 부부간의 애절한 사랑을 담은 한글편지는 『내셔널지오그래픽』(2007년 11월호), 『엔티쿼티』(2009년 3월호), 『아케올로지』(2010년 3/4월호), 중국 국영 CCTV-4(2009년 1월) 등을 통해 소개되어 우리문화를 외국에 소개하는 징검다리 역할을 하였다.<ref> 조규복,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9388  국립안동대학교박물관(國立安東大學校博物館)]",<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문제점===
 +
2017년 08월 16일 현재 안동대학교 박물관 홈페이지(http://museum.andong.ac.kr/)는 접속이 불가능한 상태이다.
 +
-->
  
2017년 08월 16일 현재 안동대학교 박물관 홈페이지(http://museum.andong.ac.kr/)는 연결이 안되고 있다.
+
==지식 관계망==
 +
*'''아내가 죽은 남편 이응태에게 보낸 편지 지식관계망'''
 +
<html>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A145/A145.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관계정보===
{|class="wikitable sortable"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text-align:center;"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 [[이씨부인 분재문기]]|| {{PAGENAME}} ||  A는 B에 소장되었다 ||  
+
| [[이씨부인 분재문기]] || [[안동대학교 박물관]] || A는 B에 소장되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
| [[아내가 죽은 남편 이응태에게 보낸 편지]] || [[안동대학교 박물관]] ||  A는 B에 소장되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
| [[홍극가 묘 출토복식 4점]] || [[안동대학교 박물관]] ||  A는 B에 소장되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 [[아내가 죽은 남편 이응태에게 보낸 편지]]|| {{PAGENAME}} ||  A는 B에 소장되었다 ||  
+
| [[안동 석사자]] || [[안동대학교 박물관]] ||  A는 B에 소장되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
 
|}
 +
 +
=='''시각자료'''==
 +
===갤러리===
 +
<gallery>
 +
파일: 한글팀 국립안동대학교박물관 01.jpg|국립안동대학교박물관 전경
 +
파일: 한글팀 국립안동대학교박물관 전시실 01.jpg|국립안동대학교박물관 전시실 내부
 +
파일: 한글팀 국립안동대학교박물관 전시실 02.jpg|국립안동대학교박물관 전시실 내부
 +
파일: 한글팀 국립안동대학교박물관 전시실 03.jpg|국립안동대학교박물관 전시실 내부
 +
</gallery>
  
 
==주석==
 
==주석==
 
<references/>   
 
<references/>   
 +
 +
==참고문헌==
 +
===유용한 정보===
 +
*  "[http://www.andong.ac.kr/index.sko?menuCd=AA05006004000&contentsSid=155  부속시설이용안내]",  대학생활,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립안동대학교』<sup>online</sup></online></html>, 국립안동대학교.
 +
 
[[분류:한글고문서]] [[분류:장소]]
 
[[분류:한글고문서]] [[분류:장소]]

2017년 11월 24일 (금) 00:50 기준 최신판

국립안동대학교박물관(國立安東大學校博物館)
조규복, "국립안동대학교박물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대표명칭 국립안동대학교박물관
한자표기 國立安東大學校博物館
영문명칭 Andong National University Museum
유형 박물관, 국립박물관
주소 경상북도 안동시 경동로 1375 (송천동) 안동대학교
관련유물유적 이씨부인 분재문기, 아내가 죽은 남편 이응태에게 보낸 편지


정의

경상북도 안동시 경동로(송천동)에 위치한 국립안동대학교 부속 박물관이다.[1]

내용

연원 및 변천

1979년 3월 국립안동대학교 개교와 더불어 개관하였다. 1985년 10월, 안동대학교 캠퍼스가 명륜동에서 송천동으로 이전하면서 박물관도 함께 옮겨왔다. 전시실은 도서관 4층과 본관 3층을 거쳐 2006년 도서관 신축과 함께 옛 도서관 3, 4층 건물로 옮겨와서 현재에 이른다.[2]

박물관 현황

홍극가묘출토복식(洪克家墓出土服飾) 4점(중요민속자료 제40호)을 비롯하여 소장 유물이 12,000여점에 이른다. 상설전시실, 특별전시실, 야외전시장, 역동서원 등에서 유물들을 전시하고 있다. 2008년 재개관한 상설전시실은 선사시대부터 근·현대에 이르기까지 '안동의 역사와 문화'를 체계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꾸며졌다. 특별전시실은 박물관 4층에 위치하며 매년 1∼2회 전통문화와 관련된 주제로 전시회를 개최한다. 야외전시장은 박물관 건물 앞에 펼쳐진 잔디밭에 자리하고 있는데, 안동 석사자(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19호)를 비롯하여 약 40여점의 석조유물이 전시되어 있다.[3]

지식 관계망

  • 아내가 죽은 남편 이응태에게 보낸 편지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이씨부인 분재문기 안동대학교 박물관 A는 B에 소장되었다 A edm:currentLocation B
아내가 죽은 남편 이응태에게 보낸 편지 안동대학교 박물관 A는 B에 소장되었다 A edm:currentLocation B
홍극가 묘 출토복식 4점 안동대학교 박물관 A는 B에 소장되었다 A edm:currentLocation B
안동 석사자 안동대학교 박물관 A는 B에 소장되었다 A edm:currentLocation B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1. 조규복, "국립안동대학교박물관(國立安東大學校博物館)",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조규복, "국립안동대학교박물관(國立安東大學校博物館)",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3. 조규복, "국립안동대학교박물관(國立安東大學校博物館)",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유용한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