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기록화관 개관

"최대섭-화포와 화약을 제조하는 최무선"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내용)
 
(사용자 7명의 중간 판 100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5번째 줄: 5번째 줄:
 
|작가= [[최대섭]]
 
|작가= [[최대섭]]
 
|제작연도= 1979년
 
|제작연도= 1979년
|규격= 300호(290.9x197cm)
+
|규격= 300호(197x290.9cm)
|유형= 고려
+
|유형= 군사
 
|분류= 유화
 
|분류= 유화
 
|소장처= [[한국학중앙연구원]]
 
|소장처= [[한국학중앙연구원]]
|필드수=7
+
|필드수=8
 
}}
 
}}
=='''개요'''==
+
=='''정의'''==
 +
[[고려]] 후기 무신 [[최무선]]이 [[화통도감]]에서 [[화포]]와 [[화약]]을 제조하는 장면을 담은 [[최대섭]]의 민족기록화이다.
 +
 
 +
=='''설명'''==
 +
===작품 소재===
 +
[[파일:민족기록화 인덱스맵 최대섭-화약제조(최무선)-1979s.jpg|right|450px]]
 +
작품 중앙에 위치한 [[최무선|최무선(崔茂宣, 1325~1395)]]을 중심으로 [[화약]] 제조과정이 그려져 있다.<br/>
 +
조선 후기 염초제조법 문서인  『[[신전자취염초방|신전자취염초방(新傳煮取焰硝方)]]』과  『[[신전자초방|신전자초방(新傳煮硝方)]]』의 설명에 따르면, [[화약]]의 주원료인 [[염초]]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먼저 흙을 모으고(취토:取土), 재를 받아서(취회:取灰) 같은 부피의 비율로 섞는데(교합:交合), '''⑧⑨''' 이는 작품 중앙 하단에서 원료를 빻고 있는 사람과 그 오른쪽에 그려진 원료 바구니에서 확인할 수 있다.<br/>
 +
그리고 혼합된 원료를 항아리 안에 펴고 물을 위에 부어 흘러나오는 물을 받아(사수:篩水) 가마에 넣고 달여야 하는데(오수:熬水), 이는 '''③⑤⑥''' 작품 오른편 상단에 그려져 있다.<br/>
 +
혼합된 원료를 걸러내어 세 번 끓여 식히면(재련, 삼련, 합제:再煉, 三煉, 合製) 초석이 생기는데 이는 '''④''' [[최무선]] 왼편에 검정색 결정으로 묘사되어 있다. 작품 왼쪽 상단에는 이렇게 만들어진 [[화약]]을 사용하는 '''① [[화포]]'''를 확인할 수 있다.
 +
 
 +
===작품 배경===
 +
작품의 배경은 1377년([[우왕]] 3) [[최무선]]의 건의로 설치된 [[화통도감|화통도감(火筒都監)]]으로, [[화약]] 및 화기의 제조를 담당했던 임시관청이다. 1388년([[고려 창왕]]1)에 [[군기시|군기시(軍器寺)]]에 흡수되었다.
 +
 
 +
===그림 읽기===
 +
*그림 위에 마우스를 올려 보세요.
 +
*[http://maschek.hu/imagemap/imgmap/ 온라인 이미지맵 에디터]
 
<imagemap>
 
<imagemap>
 
파일:최대섭-화약제조(최무선)-1979s.jpg |최대섭 「화약제조(최무선)」 1979|800px|center
 
파일:최대섭-화약제조(최무선)-1979s.jpg |최대섭 「화약제조(최무선)」 1979|800px|center
rect 240 135 326 319 [[최무선]]
+
poly 289 124 270 141 276 144 272 167 245 179 239 187 235 199 237 233 242 247 249 254 242 284 242 311 250 317 250 343 246 349 246 368 242 374 244 385 241 388 239 400 245 412 242 435 237 450 242 465 249 474 261 469 259 455 260 448 261 429 264 415 279 402 277 400 281 400 284 418 282 429 282 435 299 435 300 410 294 400 300 400 299 345 285 343 287 329 324 323 321 308 329 304 317 253 337 245 329 210 320 198 311 178 304 174 297 168 314 154 304 128 297 125 [[최무선]]
rect 381 49 675 95 [[화통도감]]
+
poly 156 153 156 160 156 162 182 165 193 166 191 160 156 154 156 154 [[화포]]
 +
poly 132 101 109 91 104 101 100 103 98 106 116 116 120 125 127 128 135 131 134 102 134 102 [[화포]]
 
</imagemap>
 
</imagemap>
'''화포와 화약을 제조하는 최무선'''은 [[박정희]] 대통령 재임중인 1979년에 문화정책의 일환으로 그려진 그림으로, [[최대섭]] 화백의 작품이다. 현재 [[한국학중앙연구원]]에 소장되어 있다.<br/>
 
고려시대 배경의 민족기록화 열 한 작품 중 하나로, [[고려]] 후기 무신 [[최무선]]이 [[화통도감|화통도감(火筒都監)]]에서 화약을 제조하는 장면을 담았다.<br/>
 
<center>[[민족기록화 작품 시각화 예시]]</center>
 
 
=='''내용'''==
 
작품의 배경은 화약과 화약무기를 연구하고 제조하는 [[화통도감|화통도감(火筒都監)]]으로,
 
 
그림 왼편에 검정 돌은 염초이고,
 
설치를 조정에 건의하였다. 이에 1377년([[우왕]] 3) 10월 화통도감이 설치되어 화약과 화약무기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를 시작할 수 있게 되었으며 [[최무선]]은 [[화통도감]]에서 총포류·발사류·로켓병기 등 모두 18종의 화약무기를 개발하였다.
 
 
중앙에 그려진 인물은 [[고려]] 후기 왜구를 토벌한 무신인 [[최무선]]으로, 그는 14세기 중엽 왜구가 창궐하자 화약의 필요성을 절감하였고, 수입에 의존하던 화약 제조와 총기 제작의 국산화를 결심했다.<br/>
 
그러나 화약 재료 가운데 하나인 염초는 여러 공정을 거쳐야 하기 때문에 구하기도 어려울 뿐 아니라 만드는 방법이나 재료에 따라 성능에도 차이가 많았다. [[최무선]]은 염초 제작 방법을 알아내기 위해 중국으로 건너가 [[이원|이원(李元)]]으로부터 염초를 흙에서 추출하는 방법을 배워 드디어 화약을 만드는 데 성공하였다.
 
화약을 이용하여 화전(火箭)과 같은 간단한 무기를 실험해 본 결과 자신감을 얻은 [[최무선]]은
 
뿐만 아니라 1380년 왜구가 500여척의 선박을 이끌고 금강 하구의 [[진포]]로 쳐들어온 [[진포대첩]]때 원수 [[나세|나세(羅世)]], [[심덕부|심덕부(沈德符)]]와 함께 각종 화기로 무장한 선박을 이끌고 나가 싸워 큰 공을 세웠다.<br/>
 
 
다른 작품들과 달리 전경과 중경을 격퇴당하는 적군의 모습으로 가득 채우고 이를 검은 색의 거친 윤곽선과 전체적인 붉은 톤으로 묘사함으로써 보는 이의 긴장감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그러나 널려있는 적군의 시체, 총포의 폭음과 인마(人馬)의 절규로 가득한 아비규환의 상황은 잔혹한 죽음에 대한 보편적인 반감(反感)이나 비애가 아닌 적의 파멸을 통한 아군의 승리를 역으로 강하게 전달한다.<ref>박혜성, 「1960-1970년대 민족기록화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논문, 2003년, 92-93쪽.</ref><br/>
 
일반적인 민족기록화는 주요 장수나 아군을 중앙에 배치하여 중심으로 삼고 아군의 시점에서 적군의 공격을 막아내거나 추격하는 구도로 그려져 있다. 그러나 이 작품의 경우 원근감을 이용하여 화폭을 상하로 이등분하여 하단의 중앙에는 일본의 전통 투구인 가부토를 쓴 귀신 모양을 한 왜장이 한손에는 흰 빛의 일본도를 치켜 들고 있다. 왜장이 탄 말은 사나운 표정으로 울부짖고 있고, 왜장의 왼편에는 등 뒤에 여러 대의 화살을 맞고 고통스럽게 죽아 가는 왜병의 모습과 쓰려져 가는 말을 표현하였다.<br/>
 
작품 상단 왼쪽 끝에는 푸른 색으로 칠해진 [[남강]]이 보이고, 왜군의 주요 공격 지점이었던 동문과 북문을 두축으로 성을 공격하는 적군에 각종 무기로 반격하는 조선군의 모습을 볼 수 있다. 1차 [[진주성싸움]]에서 왜군은 대나무로 만든 사다리와 나무 방패를 이용하여 성을 공격하였는데, 이 작품의 여러 곳에서 대나무 방패 뒤에 숨어 성을 향해 조총을 발사하는 왜군과 사다리를 타고 성안으로 진입하려는 적의 모습을 볼 수 있다.<br/>
 
[[김시민]] 장군은 백성들에게 군복을 입히고 군기(軍旗)를 여럿 세워 병력을 많아 보이게 하는 심리전을 걸었는데, 그림에서도 성안에 노랑,파랑,적색의 용대기들이 수 없이 나부끼는 모습을 볼 수 있다.
 
  
=='''관련 민족기록화'''==
+
=='''지식 관계망'''==
고려시대 배경 작품
 
<gallery>
 
파일:이인영-안융진담판(서희)-1976s.jpg|[[이인영-안융진 담판을 하는 서희]]
 
파일:이용환-귀주대첩(강감찬)-1975s.jpg|[[이용환-귀주대첩]]
 
파일:안재후-여진정벌(윤관)-1975s.jpg|[[안재후-여진정벌]]
 
파일:김서봉-삼별초대몽항쟁-1975s.jpg|[[김서봉-삼별초의 대몽항전]]
 
파일:김태-오라산성함락(이성계)-1975s.jpg|[[김태-동령부 오라산성의 공함]]
 
파일:문학진-쌍성수복(유인우)-1975s.jpg|[[문학진-쌍성수복]]
 
파일:박창돈-홍산전투(최영)-1976s.jpg|[[박창돈-최영장군의 홍산전투]]
 
파일:박성환-예성강도-1978s.jpg|[[박성환-예성강도]]
 
파일:최대섭-고려대장경판각-1977s.jpg|[[최대섭-고려대장경]]
 
파일:문학진-고려청자-1977s.jpg|[[문학진-고려청자]]
 
파일:최대섭-화약제조(최무선)-1979s.jpg|[[최대섭-화포와 화약을 제조하는 최무선]]
 
</gallery>
 
  
=='''추출정보'''==
+
<!--
===작품정보 연결망===
+
* [https://dh.aks.ac.kr/Encyves/Graph/C025/C025.htm '''"화포와 화약을 제조하는 최무선"(최대섭) 지식관계망''']
 
<html>
 
<html>
<iframe width="100%" height="600px" src="http://digerati.aks.ac.kr/Graph/w09/w09i.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s://dh.aks.ac.kr/Encyves/Graph/C025/C025.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html>
 
</html>
 +
-->
 +
 +
{{ NetworkGraph | title=C025.lst }}
  
===관련항목===
+
===관계정보===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white;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노드||width="33%"|관계||width="33%"|노드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 [[최대섭-화포와 화약을 제조하는 최무선]] || [[최대섭]]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
 +
| [[최대섭-화포와 화약을 제조하는 최무선]] ||  [[최무선]] ||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A ekc:depicts B
 +
|- 
 +
| [[최대섭-화포와 화약을 제조하는 최무선]]  || [[화통도감]]|| A는 B를 배경으로 한다 || A ekc:depicts B
 +
|-
 +
| [[최대섭-화포와 화약을 제조하는 최무선]] || [[한국학중앙연구원]]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
| [[최대섭-화포와 화약을 제조하는 최무선]] || [[인천광역시립박물관]] ||  A는 B에 대여되었다 || A ekc:hasExhibitionAt B
 +
|-
 +
| [[최무선]]  || [[화통도감]]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최무선]]  || [[최해산]] || A는 아들 B를 두었다 ||  A ekc:hasSon B
 +
|- 
 +
| [[최해산]] ||  [[군기시]]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화통도감]] || [[군기시]]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PAGENAME}} || ~에 의해 그려지다|| [[최대섭]]
+
|[[최무선]] || [[진포대첩]]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PAGENAME}} || ~에 소장되어 있다 || [[한국학중앙연구원]]
+
|[[나세]] || [[진포대첩]]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PAGENAME}} || ~을 소재로 삼다 || [[최무선]]
+
|[[심덕부]] || [[진포대첩]]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PAGENAME}} || ~을 소재로 삼다 || [[화통도감]]
 
 
|}
 
|}
  
 
===시간정보===
 
===시간정보===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white;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중심||width="33%"|시간정보명||width="33%"|시간값
+
!style="width:20%"|시간정보!!style="width:80%"|내용
 +
|-
 +
|1979년 || [[최대섭]]이 [[최대섭-화포와 화약을 제조하는 최무선]]을 제작하였다
 +
|-
 +
|1377년 || [[최무선]]의 건의로 [[화통도감]]이 설치되었다
 +
|-
 +
|1380년 8월 || [[최무선]]이 [[진포대첩]]을 지휘하였다
 +
|-
 +
|1380년 8월 || [[나세]]가 [[진포대첩]]을 지휘하였다
 +
|-
 +
|1380년 8월 || [[심덕부]]가 [[진포대첩]]을 지휘하였다
 
|-
 
|-
|{{PAGENAME}}||제작연도|| 1979년
 
 
|}
 
|}
  
 
===공간정보===
 
===공간정보===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white;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중심||width="20%"|연결정보||width="20%"|공간정보이름||width="20%"|경도||width="20%"|위도
+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
|-
 +
|37.420575||126.6512053||[[인천광역시립박물관]]이 [[최대섭-화포와 화약을 제조하는 최무선]]을 대여하였다 
 +
|-
 +
|37.3915557 || 127.0547403 ||[[한국학중앙연구원]]이 [[최대섭-화포와 화약을 제조하는 최무선]]을 소장하고 있다
 
|-
 
|-
|{{PAGENAME}} ||소장처|| [[한국학중앙연구원]] ||37.3915557 || 127.0547403
 
 
|}
 
|}
  
 +
===관련 민족기록화===
 +
<gallery mode=packed caption="군사 소재 작품"  heights=180px  style="float:center" >
 +
파일:정창섭-화랑도의수련-1977s.jpg|576년 [[정창섭-화랑도의 수련]]
 +
파일:이종상-태종무열왕-1976s.jpg|660년 [[이종상-태종무열왕]]
 +
파일:최대섭-화약제조(최무선)-1979s.jpg|조선시대 [[최대섭-화포와 화약을 제조하는 최무선]]
 +
파일:신영상-백마산성훈련(임경업)-1976s.jpg|1634년 [[신영상-백마산성을 지킨 임경업장군]]
 +
</gallery>
 +
 +
=='''시각자료'''==
 +
===가상현실===
 +
<html>
 +
<iframe width="100%" height="600" src="https://dh.aks.ac.kr/encyves/Pavilions/C903/S001/S001.htm" frameborder="0" scrolling="no"></iframe>
 +
</html><br/>
 +
{{clickable button | [https://dh.aks.ac.kr/encyves/Pavilions/C903/S001/S001.htm 가상 미술관 - 전체 화면 보기] }}
 +
 +
===갤러리===
 +
 +
===영상===
 +
*'''[NATV]국회방송 한국의 정신 한국 역사상 최초로 화약무기 시대를 열다. 최무선(게시일: 2015년 1월 19일)'''
 +
<html>
 +
<iframe width="640" height="360" src="https://www.youtube.com/embed/b9qnieZxeaQ"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
 +
=='''주석'''==
 +
<references/>
  
 
=='''참고문헌'''==
 
=='''참고문헌'''==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725180&cid=49345&categoryId=49345 문화콘텐츠닷컴 (문화원형백과 한민족 전투)]
+
===인용 및 참조===
*박혜성, 「1960-1970년대 민족기록화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논문, 2003년.
+
#웹 자원
 +
#* "[http://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View.do?search_div_id=CP_THE009&cp_code=cp0208&index_id=cp02081490&content_id=cp020814900001&search_left_menu=2 최무선]", 문화원형 라이브러리,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콘텐츠닷컴』<sup>online</sup></online></html>, 한국콘텐츠진흥원.
 +
#* 고경신,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4765 화약]",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주석'''==
 
  
[[분류:민족기록화]][[분류:작품]][[분류:고려]]
+
[[분류:민족기록화]][[분류:작품]][[분류:문헌]]

2024년 3월 14일 (목) 15:38 기준 최신판


화포와 화약을 제조하는 최무선
최대섭-화약제조(최무선)-1979s.jpg
작가 최대섭
제작연도 1979년
규격 300호(197x290.9cm)
유형 군사
분류 유화
소장처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고려 후기 무신 최무선화통도감에서 화포화약을 제조하는 장면을 담은 최대섭의 민족기록화이다.

설명

작품 소재

민족기록화 인덱스맵 최대섭-화약제조(최무선)-1979s.jpg

작품 중앙에 위치한 최무선(崔茂宣, 1325~1395)을 중심으로 화약 제조과정이 그려져 있다.
조선 후기 염초제조법 문서인 『신전자취염초방(新傳煮取焰硝方)』과 『신전자초방(新傳煮硝方)』의 설명에 따르면, 화약의 주원료인 염초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먼저 흙을 모으고(취토:取土), 재를 받아서(취회:取灰) 같은 부피의 비율로 섞는데(교합:交合), ⑧⑨ 이는 작품 중앙 하단에서 원료를 빻고 있는 사람과 그 오른쪽에 그려진 원료 바구니에서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혼합된 원료를 항아리 안에 펴고 물을 위에 부어 흘러나오는 물을 받아(사수:篩水) 가마에 넣고 달여야 하는데(오수:熬水), 이는 ③⑤⑥ 작품 오른편 상단에 그려져 있다.
혼합된 원료를 걸러내어 세 번 끓여 식히면(재련, 삼련, 합제:再煉, 三煉, 合製) 초석이 생기는데 이는 최무선 왼편에 검정색 결정으로 묘사되어 있다. 작품 왼쪽 상단에는 이렇게 만들어진 화약을 사용하는 화포를 확인할 수 있다.

작품 배경

작품의 배경은 1377년(우왕 3) 최무선의 건의로 설치된 화통도감(火筒都監)으로, 화약 및 화기의 제조를 담당했던 임시관청이다. 1388년(고려 창왕1)에 군기시(軍器寺)에 흡수되었다.

그림 읽기

최무선화포화포최대섭 「화약제조(최무선)」 1979
이 그림에 대한 정보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최대섭-화포와 화약을 제조하는 최무선 최대섭 A는 B가 그렸다 A dcterms:creator B
최대섭-화포와 화약을 제조하는 최무선 최무선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A ekc:depicts B
최대섭-화포와 화약을 제조하는 최무선 화통도감 A는 B를 배경으로 한다 A ekc:depicts B
최대섭-화포와 화약을 제조하는 최무선 한국학중앙연구원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최대섭-화포와 화약을 제조하는 최무선 인천광역시립박물관 A는 B에 대여되었다 A ekc:hasExhibitionAt B
최무선 화통도감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최무선 최해산 A는 아들 B를 두었다 A ekc:hasSon B
최해산 군기시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화통도감 군기시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최무선 진포대첩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나세 진포대첩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심덕부 진포대첩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979년 최대섭최대섭-화포와 화약을 제조하는 최무선을 제작하였다
1377년 최무선의 건의로 화통도감이 설치되었다
1380년 8월 최무선진포대첩을 지휘하였다
1380년 8월 나세진포대첩을 지휘하였다
1380년 8월 심덕부진포대첩을 지휘하였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7.420575 126.6512053 인천광역시립박물관최대섭-화포와 화약을 제조하는 최무선을 대여하였다
37.3915557 127.0547403 한국학중앙연구원최대섭-화포와 화약을 제조하는 최무선을 소장하고 있다

관련 민족기록화

시각자료

가상현실


가상 미술관 - 전체 화면 보기

갤러리

영상

  • [NATV]국회방송 한국의 정신 한국 역사상 최초로 화약무기 시대를 열다. 최무선(게시일: 2015년 1월 19일)

주석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1. 웹 자원
    • "최무선", 문화원형 라이브러리, 『문화콘텐츠닷컴』online, 한국콘텐츠진흥원.
    • 고경신, "화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