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장도감"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폐지되기까지) |
(→참고문헌) |
||
(사용자 4명의 중간 판 7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개념정보 | {{개념정보 | ||
− | |사진= | + | |사진= 민족팀_일러_관청.png |
|사진출처= | |사진출처= | ||
|대표명칭=대장도감 | |대표명칭=대장도감 | ||
11번째 줄: | 11번째 줄: | ||
=='''정의'''== | =='''정의'''== | ||
− | 고려시대 [[재조대장경]](再雕大藏經)의 판각 업무를 담당한 | + | 고려시대 [[재조대장경]](再雕大藏經)의 판각 업무를 담당한 관청이다.<ref>천혜봉,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4690 대장도감]",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내용'''== | =='''내용'''== | ||
===설치 및 운영=== | ===설치 및 운영=== | ||
− | 1232년(고종 19) 몽골의 침략으로 [[부인사 | + | 1232년([[고려 고종]] 19) 몽골의 침략으로 [[대구 부인사|대구 부인사(符仁寺)]]에 소장하고 있던 『[[초조대장경]](初雕大藏經)』이 소실되었다. 조정에서는 대장경을 다시 조판하기 위해 1236년에 대장도감을 설치하였다. 피난의 도읍인 강화에 본사(本司)를 설치하여 업무를 주관하고 진주(晉州) 관내인 남해현(南海縣)에 분사(分司)를 두어 일을 분담하였다. 2016년에는 지금의 경북 김천시 개령면 일대에 '개령분사대장도감'이 설치됐다는 연구결과가 나와 분사(分司)가 남해뿐만이 아닌 전국 여러 곳에 위치했다는 주장이 힘을 얻고 있다.<ref>이강일,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6/06/30/0200000000AKR20160630149900053.HTML?input=1195m 팔만대장경 김천에서도 판각했다]", 『연합뉴스』, 2016년 6월 30일.</ref> |
===폐지=== | ===폐지=== | ||
『[[고려사]]』1309년 3월 기록에는 대장도감에 관한 내용이 있다. | 『[[고려사]]』1309년 3월 기록에는 대장도감에 관한 내용이 있다. | ||
{{Blockquote|전농사(典農司)에서 거두어들인 여러 사사전(寺社田) 및 문서[卷]가 있는 공신전(功臣田)의 조(租)는 모두 되돌려주게 하고, 그 나머지 전조(田租)는 용문창(龍門倉)으로 옮겨 보관하되, 쌀[米] 300석(石)은 대장도감(大藏都監)과 선원사(禪源社)에 나누어 주도록 하라.|출처="[http://db.history.go.kr/KOREA/search/searchResult.do?sort=levelId&dir=ASC&start=-1&limit=20&page=1&itemIds=&indexSearch=N&codeIds=PERIOD-0-3&synonym=off&chinessChar=on&searchTermImages=%EB%8C%80%EC%9E%A5%EB%8F%84%EA%B0%90&searchKeywordType=BI&searchKeywordMethod=EQ&searchKeyword=%EB%8C%80%EC%9E%A5%EB%8F%84%EA%B0%90&searchKeywordConjunction=AND#searchDetail/kr/kr_078_0010_0020_0080_0160/5/0/5/o 1309년 3월 미상(음)]", <html><online style="color:purple">『고려시대 史料 데이터베이스』<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 | {{Blockquote|전농사(典農司)에서 거두어들인 여러 사사전(寺社田) 및 문서[卷]가 있는 공신전(功臣田)의 조(租)는 모두 되돌려주게 하고, 그 나머지 전조(田租)는 용문창(龍門倉)으로 옮겨 보관하되, 쌀[米] 300석(石)은 대장도감(大藏都監)과 선원사(禪源社)에 나누어 주도록 하라.|출처="[http://db.history.go.kr/KOREA/search/searchResult.do?sort=levelId&dir=ASC&start=-1&limit=20&page=1&itemIds=&indexSearch=N&codeIds=PERIOD-0-3&synonym=off&chinessChar=on&searchTermImages=%EB%8C%80%EC%9E%A5%EB%8F%84%EA%B0%90&searchKeywordType=BI&searchKeywordMethod=EQ&searchKeyword=%EB%8C%80%EC%9E%A5%EB%8F%84%EA%B0%90&searchKeywordConjunction=AND#searchDetail/kr/kr_078_0010_0020_0080_0160/5/0/5/o 1309년 3월 미상(음)]", <html><online style="color:purple">『고려시대 史料 데이터베이스』<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 | ||
− | 이로 미루어볼 때 대장도감은 판각사업을 마친 뒤 대장경판당의 경판 관리와 인출업무를 맡는 정도로 기구가 대폭 축소되어 존립하였던 듯하다.<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4690 대장도감]",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이후 1318년 대장경판당을 선원사(禪源寺)로 옮기면서 관리 기능도 넘겨주게 된다.<br/> | + | 이로 미루어볼 때 대장도감은 판각사업을 마친 뒤 대장경판당의 경판 관리와 인출업무를 맡는 정도로 기구가 대폭 축소되어 존립하였던 듯하다.<ref>천혜봉,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4690 대장도감]",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이후 1318년 대장경판당을 선원사(禪源寺)로 옮기면서 관리 기능도 넘겨주게 된다.<br/> |
『[[조선왕조실록]]』 태조실록에서는 대장도감 폐지에 대해 언급한다. | 『[[조선왕조실록]]』 태조실록에서는 대장도감 폐지에 대해 언급한다. | ||
− | {{Blockquote|도당(都堂)에서 대장 도감(大藏都監)을 폐지하기를 청하였다.|출처="[http://db.itkc.or.kr/dir/item?itemId=JT#/dir/node?dataId=ITKC_JT_A0_A01_08A_02A_00050&solrQ=query%E2%80%A0%E5%A4%A7%E8%97%8F%E9%83%BD%E7%9B%A3$solr_sortField%E2%80%A0%EA%B7%B8%EB%A3%B9%EC%A0%95%EB%A0%AC_s%20%EC%9E%90%EB%A3%8CID_s$solr_sortOrder%E2%80%A0$solr_secId%E2%80%A0JT_AA$solr_toalCount%E2%80%A02$solr_curPos%E2%80%A00$solr_solrId%E2%80%A0BD_ITKC_JT_A0_A01_08A_02A_00050 태조 1년 임신(1392) 8월 2일(신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고전종합DB』<sup>online</sup></online></html>, | + | {{Blockquote|도당(都堂)에서 대장 도감(大藏都監)을 폐지하기를 청하였다.|출처="[http://db.itkc.or.kr/dir/item?itemId=JT#/dir/node?dataId=ITKC_JT_A0_A01_08A_02A_00050&solrQ=query%E2%80%A0%E5%A4%A7%E8%97%8F%E9%83%BD%E7%9B%A3$solr_sortField%E2%80%A0%EA%B7%B8%EB%A3%B9%EC%A0%95%EB%A0%AC_s%20%EC%9E%90%EB%A3%8CID_s$solr_sortOrder%E2%80%A0$solr_secId%E2%80%A0JT_AA$solr_toalCount%E2%80%A02$solr_curPos%E2%80%A00$solr_solrId%E2%80%A0BD_ITKC_JT_A0_A01_08A_02A_00050 태조 1년 임신(1392) 8월 2일(신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고전종합DB』<sup>online</sup></online></html>, 한국고전번역원.}} |
− | 같은 날 조선 최초의 | + | 같은 날 조선 최초의 도감인 [[공신도감]](功臣都監)이 설치되었는데, 이는 불교국가인 고려에서 유교국가인 조선으로 바뀌었음을 상징적으로 보이기 위한 조치라 추정할 수 있다. |
=='''지식 관계망'''== | =='''지식 관계망'''== | ||
+ | * [http://dh.aks.ac.kr/Encyves/Graph/C023/C023.htm "고려대장경"(최대섭) 지식관계망] | ||
+ | <html> | ||
+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
+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
+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C023/C023.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 | </html> | ||
===관계정보=== | ===관계정보=== | ||
30번째 줄: | 36번째 줄: |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 |- | ||
− | | [[ | + | | [[재조대장경]] || [[대장도감]] || A는 B에 의해 제작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 | |- | ||
− | | [[고려대장경]] || [[재조대장경]] || A는 B를 포함한다 || | + | |[[고려대장경]] || [[재조대장경]] ||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
|- | |- | ||
− | | [[재조대장경]] || [[합천 해인사]]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 + | |[[고려대장경]] || [[초조대장경]]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
+ | |- | ||
+ | |[[고려대장경]] || [[교장]]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 ||
+ | |- | ||
+ | | [[재조대장경]] || [[합천 해인사]]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 | |- | ||
|} | |} | ||
46번째 줄: | 56번째 줄: | ||
#*강명관, 『조선시대 책과 지식의 역사』, 천년의상상, 2014. | #*강명관, 『조선시대 책과 지식의 역사』, 천년의상상, 2014. | ||
#웹자원 | #웹자원 | ||
−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627828&cid=42952&categoryId=42952 고려팔만대장경의 성립]", 한 권으로 읽는 팔만대장경,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 | #*진현종, 『한 권으로 읽는 팔만대장경』, 도서출판 들녘, 2007.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627828&cid=42952&categoryId=42952 고려팔만대장경의 성립]", 한 권으로 읽는 팔만대장경,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2711 합천 해인사 대장경판]",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 #*박상국,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2711 합천 해인사 대장경판]",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4690 대장도감]",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 #*천혜봉,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4690 대장도감]",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081342&cid=40942&categoryId=31543 대장도감]" | +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081342&cid=40942&categoryId=31543 대장도감]",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 |
#*『[http://db.itkc.or.kr/ 한국고전종합DB]』<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 한국고전번역원. | #*『[http://db.itkc.or.kr/ 한국고전종합DB]』<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 한국고전번역원. | ||
#*『[http://db.history.go.kr/KOREA/item/level.do?itemId=kr&types=r 고려시대 史料 데이터베이스]』<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 | #*『[http://db.history.go.kr/KOREA/item/level.do?itemId=kr&types=r 고려시대 史料 데이터베이스]』<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 | ||
− |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6/06/30/0200000000AKR20160630149900053.HTML?input=1195m 팔만대장경 김천에서도 판각했다]", 『연합뉴스』, 2016년 6월 30일. | + | #*이강일,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6/06/30/0200000000AKR20160630149900053.HTML?input=1195m 팔만대장경 김천에서도 판각했다]", 『연합뉴스』, 2016년 6월 30일. |
− | [[분류:민족기록화]][[분류: | + | [[분류:민족기록화]][[분류:단체]] |
2017년 12월 25일 (월) 02:28 기준 최신판
대장도감 (大藏都監) |
|
대표명칭 | 대장도감 |
---|---|
한자표기 | 大藏都監 |
유형 | 제도 |
관련개념 | 재조대장경 |
정의
고려시대 재조대장경(再雕大藏經)의 판각 업무를 담당한 관청이다.[1]
내용
설치 및 운영
1232년(고려 고종 19) 몽골의 침략으로 대구 부인사(符仁寺)에 소장하고 있던 『초조대장경(初雕大藏經)』이 소실되었다. 조정에서는 대장경을 다시 조판하기 위해 1236년에 대장도감을 설치하였다. 피난의 도읍인 강화에 본사(本司)를 설치하여 업무를 주관하고 진주(晉州) 관내인 남해현(南海縣)에 분사(分司)를 두어 일을 분담하였다. 2016년에는 지금의 경북 김천시 개령면 일대에 '개령분사대장도감'이 설치됐다는 연구결과가 나와 분사(分司)가 남해뿐만이 아닌 전국 여러 곳에 위치했다는 주장이 힘을 얻고 있다.[2]
폐지
『고려사』1309년 3월 기록에는 대장도감에 관한 내용이 있다.
전농사(典農司)에서 거두어들인 여러 사사전(寺社田) 및 문서[卷]가 있는 공신전(功臣田)의 조(租)는 모두 되돌려주게 하고, 그 나머지 전조(田租)는 용문창(龍門倉)으로 옮겨 보관하되, 쌀[米] 300석(石)은 대장도감(大藏都監)과 선원사(禪源社)에 나누어 주도록 하라. | ||
출처: "1309년 3월 미상(음)", |
이로 미루어볼 때 대장도감은 판각사업을 마친 뒤 대장경판당의 경판 관리와 인출업무를 맡는 정도로 기구가 대폭 축소되어 존립하였던 듯하다.[3] 이후 1318년 대장경판당을 선원사(禪源寺)로 옮기면서 관리 기능도 넘겨주게 된다.
『조선왕조실록』 태조실록에서는 대장도감 폐지에 대해 언급한다.
도당(都堂)에서 대장 도감(大藏都監)을 폐지하기를 청하였다. | ||
출처: "태조 1년 임신(1392) 8월 2일(신해)", |
같은 날 조선 최초의 도감인 공신도감(功臣都監)이 설치되었는데, 이는 불교국가인 고려에서 유교국가인 조선으로 바뀌었음을 상징적으로 보이기 위한 조치라 추정할 수 있다.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재조대장경 | 대장도감 | A는 B에 의해 제작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고려대장경 | 재조대장경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
고려대장경 | 초조대장경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
고려대장경 | 교장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
재조대장경 | 합천 해인사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주석
- ↑ 천혜봉, "대장도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이강일, "팔만대장경 김천에서도 판각했다", 『연합뉴스』, 2016년 6월 30일.
- ↑ 천혜봉, "대장도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단행본
- 강명관, 『조선시대 책과 지식의 역사』, 천년의상상, 2014.
- 웹자원
- 진현종, 『한 권으로 읽는 팔만대장경』, 도서출판 들녘, 2007. 온라인 참조: "고려팔만대장경의 성립", 한 권으로 읽는 팔만대장경,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박상국, "합천 해인사 대장경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천혜봉, "대장도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대장도감",
『doopedia』online , 두산백과. - 『한국고전종합DB』
online , 한국고전번역원. - 『고려시대 史料 데이터베이스』
online , 국사편찬위원회. - 이강일, "팔만대장경 김천에서도 판각했다", 『연합뉴스』, 2016년 6월 30일.
- 진현종, 『한 권으로 읽는 팔만대장경』, 도서출판 들녘, 2007. 온라인 참조: "고려팔만대장경의 성립", 한 권으로 읽는 팔만대장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