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덕궁 대조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5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 | + | {{장소정보 |
|사진= 궁중기록화 장소 창덕궁 대조전01 문화재청.jpg | |사진= 궁중기록화 장소 창덕궁 대조전01 문화재청.jpg | ||
− | |사진출처= | + | |사진출처= 문화재청(http://www.cha.go.kr/) |
|대표명칭= 창덕궁 대조전 | |대표명칭= 창덕궁 대조전 | ||
|한자표기= 昌德宮 大造殿 | |한자표기= 昌德宮 大造殿 | ||
− | | | + | |영문명칭= |
− | | | + | |이칭= |
− | + | |유형= | |
+ | |주소= 서울특별시 종로구 와룡동 율곡로 99 | ||
|위도= 37.581571 | |위도= 37.581571 | ||
|경도= 126.994345 | |경도= 126.994345 | ||
+ | |관련인물= [[효종]] | ||
+ | |관련단체= | ||
+ | |관련장소= | ||
+ | |관련물품= | ||
+ | |관련유물유적= | ||
}} | }} | ||
=='''정의'''== | =='''정의'''== | ||
− | [[창덕궁]]에 있는 전각으로, [[왕비]]가 기거하는 | + | [[창덕궁]]에 있는 내전 중 으뜸가는 전각으로, [[왕비]]가 기거하는 공간이다.<ref>장순용, 『창덕궁』, 대원사, 1990, 64쪽.</ref> |
=='''내용'''== | =='''내용'''== | ||
+ | 조선 초기에 지어졌으나 여러 차례 불에 타는 수난을 당하였다. 재건을 반복하면서 많은 변화를 겪었다. 지붕에 용마루가 없는 무량각(無樑閣) 건물이다. | ||
+ | |||
===역사=== | ===역사=== | ||
− | + | 1405년(태종 5)에 처음 지은 것으로 추측되나 임진왜란 때 소실되었다. [[광해군]] 초에 중건하였는데, [[인조반정]]에 다시 소실되었다. 그 후 20년 뒤인 1647년(인조 25)에 [[인경궁]] 건물의 자재를 이용해 중건하였다. 1833년(순조 33) 화재로 [[창덕궁 대조전|대조전]]에서 [[창덕궁 희정당|희정당]]까지 소실된 것을 다음해에 중건하였다. 1917년 [[창덕궁 대조전|대조전]] 서온돌과 나인 갱의실에서 불이 나 [[창덕궁 대조전|대조전]]과 [[창덕궁 희정당|희정당]]을 비롯한 내전이 불타면서 내전에 소장된 서적과 귀중품들이 소실되고 [[왕비]]는 [[창덕궁 연경당|연경당]]으로 피신하였다. 건물의 중수를 위해 [[경복궁]]의 교태전을 이건해 자재를 조달하고 건축의 기본은 한옥의 형식을 위주로 하되 내부는 서양식을 도입하기로 하였다. 그러나 [[고종]]의 장례와 [[3.1운동]]으로 예정보다 늦어진 1920년 12월에 준공되었다.<ref>장순용, 『창덕궁』, 대원사, 1990, 64~66쪽.</ref> | |
===현재=== | ===현재=== | ||
− | + | 대조전은 [[경복궁 교태전]]을 옮겨 중건하게 되면서 화재가 나기 전의 모습과 크게 달라졌다. 지금 대조전의 주요 골격은 교태전이 중건된 1888년의 건축물이라고 해야할 것이다.<ref>장순용, 『창덕궁』, 대원사, 1990, 11~19쪽.</ref> 현재 대조전은 [[창덕궁 선정전|선정전]]의 동쪽, [[창덕궁 희정당|희정당]] 북쪽에 위치하여 정면에 [[창덕궁 선평문|선평문]]을 두었다. 건물 동쪽에 [[창덕궁 흥복헌|흥복헌(興福軒)]], 서쪽에 [[창덕궁 융경헌|융경헌(隆慶軒]]이라는 익각(翼閣)을 달고 있으며, [[창덕궁 함광문|함광문(含光門)]]과 [[창덕궁 청향각|청향각(淸香閣)]] 등과 행각으로 연결되어 있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62663&cid=46656&categoryId=46656 창덕궁 대조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네이버.</ref> 1985년 보물 제816호로 지정되었다. | |
=='''지식 관계망'''== | =='''지식 관계망'''== | ||
26번째 줄: | 34번째 줄: |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 |- | ||
− | | [[효종]] || | + | | [[효종]] || 창덕궁 대조전(昌德宮 大造殿) || A는 B에서 승하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33번째 줄: | 41번째 줄: | ||
!style="width:20%px"|시간!!style="width:80%px"|내용 | !style="width:20%px"|시간!!style="width:80%px"|내용 | ||
|- | |- | ||
− | | 1659년 5월 4일 || | + | | 1659년 5월 4일 || [[효종]]이 창덕궁 대조전에서 승하하였다 |
|} | |} | ||
===공간정보=== | ===공간정보=== | ||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
+ |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 ||
+ | |- | ||
+ | | 37.581571 || 126.994345 || 창덕궁 대조전은 서울특별시 종로구 와룡동 율곡로 99에 위치한다 | ||
+ | |} | ||
− | |||
− | |||
− | |||
− | |||
− | |||
=='''주석'''== | =='''주석'''== | ||
49번째 줄: | 57번째 줄: | ||
=='''참고문헌'''== | =='''참고문헌'''== | ||
===인용 및 참조=== | ===인용 및 참조=== | ||
+ | * 공준원, 『오궁과 도성』, 세계문예, 2009. | ||
* 이강근, 『한국의 궁궐』, 대원사, 1991. | * 이강근, 『한국의 궁궐』, 대원사, 1991. | ||
− | |||
* 이태호, 『그림으로 본 옛 서울』, 서울학연구소, 1995. | * 이태호, 『그림으로 본 옛 서울』, 서울학연구소, 1995. | ||
* 홍순민, 『우리 궁궐 이야기』, 청년사, 1999. | * 홍순민, 『우리 궁궐 이야기』, 청년사, 1999. | ||
* 장순용, 『창덕궁』, 대원사, 1990. | * 장순용, 『창덕궁』, 대원사, 1990. | ||
− | |||
− | |||
[[분류:궁중기록화]] | [[분류:궁중기록화]] | ||
[[분류:장소]] | [[분류:장소]] |
2017년 10월 29일 (일) 22:05 기준 최신판
창덕궁 대조전(昌德宮 大造殿) | |
대표명칭 | 창덕궁 대조전 |
---|---|
한자표기 | 昌德宮 大造殿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와룡동 율곡로 99 |
관련인물 | 효종 |
|
정의
창덕궁에 있는 내전 중 으뜸가는 전각으로, 왕비가 기거하는 공간이다.[1]
내용
조선 초기에 지어졌으나 여러 차례 불에 타는 수난을 당하였다. 재건을 반복하면서 많은 변화를 겪었다. 지붕에 용마루가 없는 무량각(無樑閣) 건물이다.
역사
1405년(태종 5)에 처음 지은 것으로 추측되나 임진왜란 때 소실되었다. 광해군 초에 중건하였는데, 인조반정에 다시 소실되었다. 그 후 20년 뒤인 1647년(인조 25)에 인경궁 건물의 자재를 이용해 중건하였다. 1833년(순조 33) 화재로 대조전에서 희정당까지 소실된 것을 다음해에 중건하였다. 1917년 대조전 서온돌과 나인 갱의실에서 불이 나 대조전과 희정당을 비롯한 내전이 불타면서 내전에 소장된 서적과 귀중품들이 소실되고 왕비는 연경당으로 피신하였다. 건물의 중수를 위해 경복궁의 교태전을 이건해 자재를 조달하고 건축의 기본은 한옥의 형식을 위주로 하되 내부는 서양식을 도입하기로 하였다. 그러나 고종의 장례와 3.1운동으로 예정보다 늦어진 1920년 12월에 준공되었다.[2]
현재
대조전은 경복궁 교태전을 옮겨 중건하게 되면서 화재가 나기 전의 모습과 크게 달라졌다. 지금 대조전의 주요 골격은 교태전이 중건된 1888년의 건축물이라고 해야할 것이다.[3] 현재 대조전은 선정전의 동쪽, 희정당 북쪽에 위치하여 정면에 선평문을 두었다. 건물 동쪽에 흥복헌(興福軒), 서쪽에 융경헌(隆慶軒이라는 익각(翼閣)을 달고 있으며, 함광문(含光門)과 청향각(淸香閣) 등과 행각으로 연결되어 있다.[4] 1985년 보물 제816호로 지정되었다.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효종 | 창덕궁 대조전(昌德宮 大造殿) | A는 B에서 승하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시간정보
시간 | 내용 |
---|---|
1659년 5월 4일 | 효종이 창덕궁 대조전에서 승하하였다 |
공간정보
위도 | 경도 | 내용 |
---|---|---|
37.581571 | 126.994345 | 창덕궁 대조전은 서울특별시 종로구 와룡동 율곡로 99에 위치한다 |
주석
- ↑ 장순용, 『창덕궁』, 대원사, 1990, 64쪽.
- ↑ 장순용, 『창덕궁』, 대원사, 1990, 64~66쪽.
- ↑ 장순용, 『창덕궁』, 대원사, 1990, 11~19쪽.
- ↑ 창덕궁 대조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네이버.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공준원, 『오궁과 도성』, 세계문예, 2009.
- 이강근, 『한국의 궁궐』, 대원사, 1991.
- 이태호, 『그림으로 본 옛 서울』, 서울학연구소, 1995.
- 홍순민, 『우리 궁궐 이야기』, 청년사, 1999.
- 장순용, 『창덕궁』, 대원사, 19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