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주전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
(→2차 진주전투) |
||
(사용자 9명의 중간 판 51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사건정보 | {{사건정보 | ||
− | |사진= | + | |사진=진주전투_기록화_사건.jpg |
− | |사진출처= | + | |사진출처=전쟁기념관 |
− | |대표명칭 = 진주전투 | + | |대표명칭=진주전투 |
− | |한자표기= 晉州戰鬪 | + | |한자표기=晉州戰鬪 |
|영문명칭= | |영문명칭= | ||
− | |이칭= 진주성 싸움, 진주대첩 | + | |이칭=진주성 싸움, 진주대첩 |
− | |유형= 군사/전투 | + | |유형=군사/전투 |
− | |시대 = | + | |시대=조선 |
− | |날짜 = 1592년 10월5일 | + | |날짜=1592년 10월5일-10월10일(1차), 1593년6월20일-6월29일(2차) |
− | |관련인물= [[김시민]], [[김성일]] | + | |관련인물= [[김시민]], [[서예원]], [[곽재우]], [[김천일]], [[최경회]], [[김성일]] |
|관련단체= | |관련단체= | ||
− | |관련장소= | + | |관련장소= |
|관련물품= | |관련물품= | ||
− | |관련유물유적= [[진주성]], [[ | + | |관련유물유적=[[진주성]], [[의암]] |
}} | }} | ||
− | |||
=='''정의'''== | =='''정의'''== | ||
− | + | 1592년(조선 선조 25) 10월과 1593년 6월 진주(晉州)에서 조선군과 왜군이 벌인 두 차례의 싸움이다. | |
=='''내용'''== | =='''내용'''== | ||
+ | ===지리적 요충지=== | ||
+ | [[진주성]]은 [[임진왜란]] 당시 조선과 왜군 사이에 치열한 공방전이 일어난 곳이다. 그만큼 [[진주성]]은 지리적으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었다. 조선시대 진주는 경상도 일대를 관장하는 가장 큰 고을이었으며 고려시대부터 남해안에 출몰하는 왜구들을 방어하는 기지로서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했다. 부산포를 시작으로 도성 한양까지 파죽지세로 진격했던 왜군들은 점차 경상우도를 중심으로 조선 의병들의 반격활동이 거세지자 점차 후방에서 어려움을 겪기 시작했다. 영남지방 의병활동의 중심에 [[진주성]]이 있었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55099 진주대첩]",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ref><br/> | ||
+ | 평양성에서 조명연합군의 공격을 받고 한양으로 후퇴한 왜군은 군량미 부족에 시달렸다. 곡창지대인 호남지역으로 진출하여 안정적인 후방의 보급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진주성을 거쳐야만 했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55099 진주대첩]",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ref> | ||
− | === | + | ===1차 진주전투=== |
− | + | 1592년 10월 나가오카 다다오키(長岡忠興) 휘하의 왜군 3만여 명은 수천 개의 대나무 사다리를 만들어 [[진주성]]을 포위 공격하였다. [[진주성]] 안에서는 [[김시민]]이 지휘하는 조선군 3천여 명이 혈전을 벌였고, [[곽재우]]·[[최강]]·[[이달]] 등의 의병부대는 성 밖에 진을 치고 왜군의 배후를 위협하였다. 6일간에 걸친 대접전 끝에 조선군은 왜군을 격퇴했으나 전투를 지휘한 [[김시민]]은 적의 총탄을 맞고 전사했다. 이 싸움의 결과로 조선군은 경상우도를 보존하고 왜군의 전라도 진출을 저지할 수 있었다. [[한산도대첩 | 한산대첩]], [[행주대첩]]과 함께 [[민족기록화로 살펴보는 임진왜란 3대 대첩 | 임진왜란 3대첩]]의 하나로 꼽힌다.<ref>한국사사전편찬회, 『한국고중세사사전』, 가람기획, 2007.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19145&cid=42957&categoryId=42957 진주성전투]", 한국고중세사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
− | === | + | ===2차 진주전투=== |
− | + | 1593년(선조 26) 6월 왜군은 강화회담을 추진하는 한편, 1차 진주성 전투의 패전을 설욕하고 전라도로 진출할 수 있는 교두보를 확보하기 위해 [[진주성]]에 대한 총공격을 감행하였다. 이 전투에서는 귀갑차(龜甲車) 등 왜군의 신무기가 총동원되었으며 가토·고니시·구로다 등 왜장이 이끄는 선봉만도 5만여 명에 달하였다. 이에 맞서 싸운 조선군은 [[서예원]] 목사 지휘하에 [[황진]]·[[최경회]] 휘하의 관군과 [[김천일]]이 지휘하는 의병을 합해 3천여 명에 불과하였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19145&cid=42957&categoryId=42957 진주성전투]",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고중세사사전』<sup>online</sup></online></html>, 네이버 지식백과.</ref><br/> | |
− | + | 10일간 치열하게 계속된 전투에서 [[진주성]]은 중과부적으로 결국 왜군에 함락되고 말았다. [[서예원]](徐禮元)의 수급은 일본에 있는 도요토미 히데요시에게 보내졌는데, 그는 [[서예원]](徐禮元)의 수급을 김시민의 수급으로 오인했다고 한다. | |
− | + | 선무원종1등공신(宣武原從功臣)에 책록되고 병조참의(兵曹參議)에 추증되었으며, 고종 때 [[진주 창렬사]](彰烈祠)에 제향되었다. | |
− | + | 황진은 적군의 총탄에 맞아 전사하였으며, [[김천일]]은 성이 함락되자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성에 남아 있던 6만여 군민들도 대부분 왜병에게 학살되었다. 그러나 왜군도 이 싸움에서 커다란 타격을 입고 동남해안으로 철수할 수밖에 없었다. 승전을 기념하여 연회를 벌이던 왜장을 의기 [[논개]]가 촉석루에서 끌어안고 [[남강]]에 몸을 던졌다는 이야기가 전한다.<ref>"한국사사전편찬회, 『한국고중세사사전』, 가람기획, 2007.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19145&cid=42957&categoryId=42957 진주성전투]", 한국고중세사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
− | == | + | =='''지식 관계망'''== |
− | + | * '''[http://dh.aks.ac.kr/Encyves/Graph/A201/A201.htm 학봉 김성일가의 한글 고문서 지식관계망]''' | |
− | + | * '''[http://dh.aks.ac.kr/Encyves/Graph/A141/A141.htm 학봉 김성일이 아내 안동권씨에게 보낸 편지 지식관계망]''' | |
− | + | <html> | |
− | +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
− | +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
− | +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C027/C027.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 | + | </html>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관계정보=== | ===관계정보=== | ||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 | ! | +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 | ||
− | | [[ | + | | [[진주전투]] || [[진주성]] || A는 B를 배경으로 한다 || A ekc:depicts B |
|- | |- | ||
− | | [[ | + | | [[진주전투]] || [[1차 진주전투]]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 | |- | ||
− | | [[ | + | | [[진주전투]] || [[2차 진주전투]]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 | |- | ||
− | | [[ | + | | [[진주전투]] || [[진주성]] || A는 B에서 일어났다 || A edm:happenedAt B |
|- | |- | ||
− | | [[ | + | | [[김시민]] || [[1차 진주전투]]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 + | | [[김성일]] || [[1차 진주전투]]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최경회]] || | + | | [[성수경]] || [[1차 진주전투]]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이광악]] || [[1차 진주전투]]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곽재우]] || [[1차 진주전투]]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정기룡]] || [[1차 진주전투]]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최경회]] || [[1차 진주전투]]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창렬사]] || [[진주성]] || A는 B에 위치한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 | |- | ||
+ | | [[김시민]] || [[진주 창렬사]] || A는 B에 제향되었다 || A ekc:isEnshrinedIn B | ||
+ | |- | ||
+ | | [[최경회]] || [[진주 창렬사]] || A는 B에 제향되었다 || A ekc:isEnshrinedIn B | ||
+ | |- | ||
+ | | [[김천일]] || [[진주 창렬사]] || A는 B에 제향되었다 || A ekc:isEnshrinedIn B | ||
+ | |- | ||
+ | | [[황진]] || [[진주 창렬사]] || A는 B에 제향되었다 || A ekc:isEnshrinedIn B | ||
+ | |- | ||
+ | | [[서예원]] || [[진주 창렬사]] || A는 B에 제향되었다 || A ekc:isEnshrinedIn B | ||
+ | |- | ||
+ | | [[고종후]] || [[진주 창렬사]] || A는 B에 제향되었다 || A ekc:isEnshrinedIn B | ||
+ | |- | ||
+ | | [[서예원]] || [[2차 진주전투]]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김천일]] || [[2차 진주전투]]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황진]] || [[2차 진주전투]]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고종후]] || [[2차 진주전투]]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임진왜란 3대 대첩]] || [[1차 진주전투]]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
+ | |- | ||
+ | | [[임진왜란 3대 대첩]] || [[한산대첩]]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
+ | |- | ||
+ | | [[임진왜란 3대 대첩]] || [[행주대첩]]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
+ | |- | ||
+ | | [[의암]] || [[진주성]] || A는 B에 위치한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 | |- | ||
+ | | [[의암]] || [[논개]]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논개]] || [[최경회]]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논개]] ||[[2차 진주전투]]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 ||
+ | |||
+ | ===공간정보=== | ||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
+ |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 ||
|- | |- | ||
− | | [[ | + | |35.1880365||128.0744779|| [[진주성]]은 [[진주전투]]가 발발한 곳이다 |
|- | |- | ||
− | | [[ | + | | 35.1897575 || 128.0797455 || [[촉석루]]는 [[진주성]]에 위치한다 |
|- | |- | ||
− | | [[ | + | |35.1899242 ||128.0821063 || [[의암]]은 [[진주성]]에 위치한다 |
|- | |- | ||
− | | [[ | + | |35.7116191 || 126.3148848 || [[창렬사]]는 [[진주성]]에 위치한다 |
|} | |} | ||
=='''시각자료'''== | =='''시각자료'''== | ||
− | === | + | ===영상=== |
− | < | + | *'''EBS Culture - 역사채널e, 17 vs 1 전설의 승리(게시일:2016년 01월 14일)''' |
− | + | <html> | |
− | </ | + | <iframe width="560" height="315" src="https://www.youtube.com/embed/uqibA3aJYJo"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 </html> | ||
=='''주석'''== | =='''주석'''== | ||
<references/> | <references/> | ||
− | ==''' | + | =='''참고문헌'''== |
+ | ===인용 및 참조=== | ||
+ | # 웹 자원 | ||
+ | #* 김석희,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4918 진주전투]",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 | #* 강병수, "[http://jinju.grandculture.net/Contents?local=jinju&dataType=01&contents_id=GC00402217 2차 진주성전투]", <html><online style="color:purple">『디지털진주문화대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 | #* 지승종, "[http://jinju.grandculture.net/Contents?local=jinju&dataType=01&contents_id=GC00403207 임진왜란과 진주성전투]", <html><online style="color:purple">『디지털진주문화대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 | #*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55099 진주대첩]",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 | ||
+ | #* 한국사사전편찬회, 『한국고중세사사전』, 가람기획, 2007.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19145&cid=42957&categoryId=42957 진주성전투]", 한국고중세사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
− | [[분류:민족기록화]][[분류:사건 | + | [[분류:민족기록화]][[분류:사건]] |
− | |||
− |
2022년 10월 22일 (토) 15:12 기준 최신판
진주전투(晉州戰鬪) | |
대표명칭 | 진주전투 |
---|---|
한자표기 | 晉州戰鬪 |
이칭 | 진주성 싸움, 진주대첩 |
유형 | 군사/전투 |
시대 | 조선 |
날짜 | 1592년 10월5일-10월10일(1차), 1593년6월20일-6월29일(2차) |
관련인물 | 김시민, 서예원, 곽재우, 김천일, 최경회, 김성일 |
관련유물유적 | 진주성, 의암 |
목차
정의
1592년(조선 선조 25) 10월과 1593년 6월 진주(晉州)에서 조선군과 왜군이 벌인 두 차례의 싸움이다.
내용
지리적 요충지
진주성은 임진왜란 당시 조선과 왜군 사이에 치열한 공방전이 일어난 곳이다. 그만큼 진주성은 지리적으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었다. 조선시대 진주는 경상도 일대를 관장하는 가장 큰 고을이었으며 고려시대부터 남해안에 출몰하는 왜구들을 방어하는 기지로서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했다. 부산포를 시작으로 도성 한양까지 파죽지세로 진격했던 왜군들은 점차 경상우도를 중심으로 조선 의병들의 반격활동이 거세지자 점차 후방에서 어려움을 겪기 시작했다. 영남지방 의병활동의 중심에 진주성이 있었다.[1]
평양성에서 조명연합군의 공격을 받고 한양으로 후퇴한 왜군은 군량미 부족에 시달렸다. 곡창지대인 호남지역으로 진출하여 안정적인 후방의 보급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진주성을 거쳐야만 했다.[2]
1차 진주전투
1592년 10월 나가오카 다다오키(長岡忠興) 휘하의 왜군 3만여 명은 수천 개의 대나무 사다리를 만들어 진주성을 포위 공격하였다. 진주성 안에서는 김시민이 지휘하는 조선군 3천여 명이 혈전을 벌였고, 곽재우·최강·이달 등의 의병부대는 성 밖에 진을 치고 왜군의 배후를 위협하였다. 6일간에 걸친 대접전 끝에 조선군은 왜군을 격퇴했으나 전투를 지휘한 김시민은 적의 총탄을 맞고 전사했다. 이 싸움의 결과로 조선군은 경상우도를 보존하고 왜군의 전라도 진출을 저지할 수 있었다. 한산대첩, 행주대첩과 함께 임진왜란 3대첩의 하나로 꼽힌다.[3]
2차 진주전투
1593년(선조 26) 6월 왜군은 강화회담을 추진하는 한편, 1차 진주성 전투의 패전을 설욕하고 전라도로 진출할 수 있는 교두보를 확보하기 위해 진주성에 대한 총공격을 감행하였다. 이 전투에서는 귀갑차(龜甲車) 등 왜군의 신무기가 총동원되었으며 가토·고니시·구로다 등 왜장이 이끄는 선봉만도 5만여 명에 달하였다. 이에 맞서 싸운 조선군은 서예원 목사 지휘하에 황진·최경회 휘하의 관군과 김천일이 지휘하는 의병을 합해 3천여 명에 불과하였다.[4]
10일간 치열하게 계속된 전투에서 진주성은 중과부적으로 결국 왜군에 함락되고 말았다. 서예원(徐禮元)의 수급은 일본에 있는 도요토미 히데요시에게 보내졌는데, 그는 서예원(徐禮元)의 수급을 김시민의 수급으로 오인했다고 한다.
선무원종1등공신(宣武原從功臣)에 책록되고 병조참의(兵曹參議)에 추증되었으며, 고종 때 진주 창렬사(彰烈祠)에 제향되었다.
황진은 적군의 총탄에 맞아 전사하였으며, 김천일은 성이 함락되자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성에 남아 있던 6만여 군민들도 대부분 왜병에게 학살되었다. 그러나 왜군도 이 싸움에서 커다란 타격을 입고 동남해안으로 철수할 수밖에 없었다. 승전을 기념하여 연회를 벌이던 왜장을 의기 논개가 촉석루에서 끌어안고 남강에 몸을 던졌다는 이야기가 전한다.[5]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진주전투 | 진주성 | A는 B를 배경으로 한다 | A ekc:depicts B |
진주전투 | 1차 진주전투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진주전투 | 2차 진주전투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진주전투 | 진주성 | A는 B에서 일어났다 | A edm:happenedAt B |
김시민 | 1차 진주전투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김성일 | 1차 진주전투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성수경 | 1차 진주전투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이광악 | 1차 진주전투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곽재우 | 1차 진주전투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정기룡 | 1차 진주전투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최경회 | 1차 진주전투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창렬사 | 진주성 | A는 B에 위치한다 | A edm:currentLocation B |
김시민 | 진주 창렬사 | A는 B에 제향되었다 | A ekc:isEnshrinedIn B |
최경회 | 진주 창렬사 | A는 B에 제향되었다 | A ekc:isEnshrinedIn B |
김천일 | 진주 창렬사 | A는 B에 제향되었다 | A ekc:isEnshrinedIn B |
황진 | 진주 창렬사 | A는 B에 제향되었다 | A ekc:isEnshrinedIn B |
서예원 | 진주 창렬사 | A는 B에 제향되었다 | A ekc:isEnshrinedIn B |
고종후 | 진주 창렬사 | A는 B에 제향되었다 | A ekc:isEnshrinedIn B |
서예원 | 2차 진주전투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김천일 | 2차 진주전투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황진 | 2차 진주전투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고종후 | 2차 진주전투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임진왜란 3대 대첩 | 1차 진주전투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임진왜란 3대 대첩 | 한산대첩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임진왜란 3대 대첩 | 행주대첩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의암 | 진주성 | A는 B에 위치한다 | A edm:currentLocation B |
의암 | 논개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논개 | 최경회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논개 | 2차 진주전투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공간정보
위도 | 경도 | 내용 |
---|---|---|
35.1880365 | 128.0744779 | 진주성은 진주전투가 발발한 곳이다 |
35.1897575 | 128.0797455 | 촉석루는 진주성에 위치한다 |
35.1899242 | 128.0821063 | 의암은 진주성에 위치한다 |
35.7116191 | 126.3148848 | 창렬사는 진주성에 위치한다 |
시각자료
영상
- EBS Culture - 역사채널e, 17 vs 1 전설의 승리(게시일:2016년 01월 14일)
주석
- ↑ "진주대첩",
『doopedia』online , 두산백과. - ↑ "진주대첩",
『doopedia』online , 두산백과. - ↑ 한국사사전편찬회, 『한국고중세사사전』, 가람기획, 2007. 온라인 참조: "진주성전투", 한국고중세사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 "진주성전투",
『한국고중세사사전』online , 네이버 지식백과. - ↑ "한국사사전편찬회, 『한국고중세사사전』, 가람기획, 2007. 온라인 참조: "진주성전투", 한국고중세사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웹 자원
- 김석희, "진주전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강병수, "2차 진주성전투",
『디지털진주문화대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지승종, "임진왜란과 진주성전투",
『디지털진주문화대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진주대첩",
『doopedia』online , 두산백과. - 한국사사전편찬회, 『한국고중세사사전』, 가람기획, 2007. 온라인 참조: "진주성전투", 한국고중세사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김석희, "진주전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