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주 영전사지 보제존자탑"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승탑정보 |사진= |사진출처= |대표명칭= |영문명칭= |한자= |이칭= |지정번호= |지정일= |주소= |위도= |경도= |소유자= |관리자= |크기= |건립...) |
(→지식관계망) |
||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8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2번째 줄: | 2번째 줄: | ||
|사진= | |사진= | ||
|사진출처= | |사진출처= | ||
− | |대표명칭= | + | |대표명칭=원주 영전사지 보제존자탑 |
− | |영문명칭= | + | |영문명칭=Stupas of Buddhist Monk Boje from Yeongjeonsa Temple Site, Wonju |
− | |한자= | + | |한자=原州 令傳寺址 普濟尊者塔 |
|이칭= | |이칭= | ||
− | |지정번호= | + | |지정번호=보물 제358호 |
− | |지정일= | + | |지정일=1963년 1월 21일 |
− | |주소= | + | |주소=서울 용산구 서빙고로 137, 국립중앙박물관 |
− | |위도= | + | |위도=37.523854 |
− | |경도= | + | |경도=126.980460 |
− | |소유자= | + | |소유자=국유 |
− | |관리자= | + | |관리자=[[국립중앙박물관]] |
− | |크기= | + | |크기=높이 3.92m |
− | |건립시대= | + | |건립시대=고려시대 |
− | |관련승려= | + | |관련승려=[[혜근|혜근(慧勤)]] |
− | |관련탑비= | + | |관련탑비=[[여주 신륵사 보제존자석종비]], [[양주 회암사지 선각왕사비]] |
}} | }} | ||
=='''정의'''== | =='''정의'''== | ||
+ | 강원도 원주시 [[원주 영전사지|영전사지(令傳寺址)]]에서 발견된 고려 말의 승려 [[혜근|혜근(慧勤, 1320-1376)]]의 [[승탑]]. | ||
=='''내용'''== | =='''내용'''== | ||
+ | ===개요=== | ||
+ | 고려 후기의 승려인 [[혜근|혜근(慧勤)]]의 사리탑으로 모두 2기이다.<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2,03580000,11&flag=Y 원주 영전사지 보제존자탑]",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혜근]]은 고려 후기의 고승으로 호는 나옹(懶翁), 시호는 선각(禪覺)이며 1371년([[고려 공민왕|공민왕]] 18)에 [[왕사|왕사(王師)]]가 되어 왕으로부터 보제존자(普濟尊者)라는 호를 받았다.<ref>곽철환, 『시공 불교사전』, 시공사, 2003.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05883&cid=50763&categoryId=50784 혜근]", 용어해설,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
+ | 두 탑은 보통 승려의 사리탑과는 달리 석탑 형식을 취하고 있으며, 더욱이 거의 같은 양식으로 2기를 건립하였다는 점도 특이한 예이다.<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2,03580000,11&flag=Y 원주 영전사지 보제존자탑]",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 ||
+ | 이 탑들은 1915년 일본인에 의해 [[경복궁|경복궁(景福宮)]]으로 옮겨졌고, 1990년에는 당시 국립중앙박물관(현 [[국립고궁박물관]]) 정원으로 이전되었으며, 현재는 용산에 있는 [[국립중앙박물관]] 야외 전시장에 있다.<ref>강병희,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7658 원주 영전사지 보제존자탑]",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 이 탑들이 있었던 [[원주 영전사지|영전사지(令傳寺址)]]는 관련 기록이 전혀 전해지지 않으며, 1912년에 이 탑들을 조사하였던 세키노 다다시(關野貞)는 “폐영전사지”로 기록하고 있어 당시에도 유래를 알 수 없을 정도로 황폐화된 절터였던 것으로 보인다.<ref>강병희,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7658 원주 영전사지 보제존자탑]",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 + | ===출토유물=== | |
− | + | 1915년 탑들을 원래의 위치에서 서울로 옮길 때 두 탑 모두에서 사리장엄구(舍利莊嚴具)가 발견되었으며, 한 탑에서는 약 20cm 정사각형의 납석제(蠟石製) 탑지(塔誌)<ref>탑을 세우게 된 내력이나 시주자 등의 이름을 적은 글로 탑 내부에서 발견된다. 주로 금속이나 돌에 새겨 넣는 경우가 많은데, 탑의 제작 연대를 아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솔출판사 편집부, 『한국 미의 재발견 - 용어 모음』, 솔출판사, 2008.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632788&cid=50360&categoryId=50360 탑지]", 용어해설,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가 발견되었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27400&cid=40942&categoryId=33382 영전사지 보제존자사리탑]", 두산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
− | + | ||
− | + | 동탑과 서탑에서 출토된 사리장엄구에는 시주자들의 이름이 새겨져 있고, 탑지 앞뒤 면에는 [[혜근|보제존자]]의 사리를 1과씩 각각 주탑(主塔)과 동탑에 봉안한다는 내용과 공덕주, 장인(匠人)의 이름들이 기록되어 있다. 또한 홍무 21년(1388) 무진 4월에 목사(牧使)<ref>고려와 조선시대에, 지방 행정 단위의 하나인 목을 맡아 다스리던 정3품 외직 문관</ref> 강은(姜隱)이 이를 기록하였음이 새겨져 있어, 두 탑 모두 1388년에 조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ref>강병희,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7658 원주 영전사지 보제존자탑]",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 "[http:// | + | |
+ | {{Blockquote|도인(道人) 각수(覺修)가 왕사(王師) 보제존자(普濟尊者)의 사리(舍利) 1과(粿)를 주탑(主塔)에 안치(安置)하였고, 비구니(比丘尼) 묘관(妙寬)도 보제존자(普濟尊者)의 사리 1과를 동탑(東塔)에 봉안(奉安)하였다.<br/> | ||
+ | 대공덕주(大功德主) 봉익대부(奉翊大夫) 서윤현(徐允賢)의 법명(法名)은 각희(覺喜)이며, 처씨(妻氏)는 단산군부인(丹山郡夫人) 장씨(張氏)이니 법명(法名)은 묘연(妙然)이다. (이상은 전면부분(前面部分)이다)<br/> | ||
+ | 석수(石手)는 도인(道人) 각훈(覺訓)이고<br/> | ||
+ | 노야(爐冶)는 도인(道人) 각청(覺淸)이며<br/> | ||
+ | 권화(勸化) 비구(比丘)는 각여(覺如)이다.<br/> | ||
+ | 홍무(洪武) 21년(1388) 무진(戊辰) 4월 일에 기록한다.<br/> | ||
+ | 목사(牧使)는 강은(姜隱)이다. (이상은 후면부분(後面部分)이다)<br/> | ||
+ | 시주(施主) 원로(元老)<br/> | ||
+ | 시주(施主) 원씨(元氏)<br/> | ||
+ | 시주(施主) 원룡(元龍) (동함(銅盒)에 점각(點刻)하였다) | ||
+ | |출처="[http://gsm.nricp.go.kr/_third/user/frame.jsp?View=search&No=4&ksmno=3496 영전사지보제존자사리탑]", 금석문 세부정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sup>online</sup></online></html>, 국립문화재연구소.}} | ||
=='''지식관계망'''== | =='''지식관계망'''== | ||
− | " | + | *'''나옹 혜근의 지식관계망''' |
+ | <html> | ||
+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
+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
+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D011/monk_hyegeun.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 | </html> | ||
− | === | + | ===관계정보===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51번째 줄: | 73번째 줄: | ||
| [[양주 회암사 나옹선사부도 및 석등|양주 회암사 나옹선사부도]] || [[양주 회암사]] || A는 B에 있다 || | | [[양주 회암사 나옹선사부도 및 석등|양주 회암사 나옹선사부도]] || [[양주 회암사]] || A는 B에 있다 || | ||
|- | |- | ||
− | | [[양주 | + | | [[양주 회암사지 선각왕사비]] || [[양주 회암사]] || A는 B에 있다 || |
|- | |- | ||
| [[여주 신륵사 보제존자석종]] || [[여주 신륵사]] || A는 B에 있다 || | | [[여주 신륵사 보제존자석종]] || [[여주 신륵사]] || A는 B에 있다 || | ||
70번째 줄: | 92번째 줄: | ||
=='''시각자료'''== | =='''시각자료'''== | ||
===갤러리=== | ===갤러리=== | ||
+ | <gallery mode=packed heights=200px caption='영전사지 보제존자탑 출토 유물'> | ||
+ | 파일:BHST Yeongjeonsaji Naong stele artifacts-1.jpg|은도금 집모양 육각 사리기<ref>"[http://www.museum.go.kr/site/main/relic/search/view?relicId=5288# 천왕사 은도금 집모양 육각 사리기]", 주요 소장품 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소장품』<sup>online</sup></online></html>, 국립중앙박물관.</ref> | ||
+ | 파일:BHST Yeongjeonsaji Naong stele artifacts-2.jpg|석제 사리 항아리<ref>"[http://www.museum.go.kr/site/main/relic/search/view?relicId=5287# 천왕사 석제 사리 항아리]", 주요 소장품 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소장품』<sup>online</sup></online></html>, 국립중앙박물관.</ref> | ||
+ | </gallery> | ||
=='''주석'''== | =='''주석'''== | ||
79번째 줄: | 105번째 줄: | ||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2,03580000,11&flag=Y 원주 영전사지 보제존자탑]",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 |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2,03580000,11&flag=Y 원주 영전사지 보제존자탑]",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 |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27400&cid=40942&categoryId=33382 영전사지 보제존자사리탑]", 두산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27400&cid=40942&categoryId=33382 영전사지 보제존자사리탑]", 두산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
− | "[http://www.museum.go.kr/site/main/relic/search/view?relicId=4898 원주 영전사 터 보제존자사리탑]", 주요 소장품 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소장품』<sup>online</sup></online></html>, 국립중앙박물관. | + | *"[http://www.museum.go.kr/site/main/relic/search/view?relicId=4898 원주 영전사 터 보제존자사리탑]", 주요 소장품 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소장품』<sup>online</sup></online></html>, 국립중앙박물관. |
{{승탑비문 Top icon}} | {{승탑비문 Top icon}} | ||
− |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분류:승탑]] [[분류:승탑/ | + |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분류:승탑]] [[분류:승탑/교열완료]] |
2017년 11월 21일 (화) 22:23 기준 최신판
원주 영전사지 보제존자탑 (原州 令傳寺址 普濟尊者塔) |
|
답사 이후 추가 예정 | |
대표명칭 | 원주 영전사지 보제존자탑 |
---|---|
영문명칭 | Stupas of Buddhist Monk Boje from Yeongjeonsa Temple Site, Wonju |
한자 | 原州 令傳寺址 普濟尊者塔 |
주소 | 서울 용산구 서빙고로 137, 국립중앙박물관 |
문화재 지정번호 | 보물 제358호 |
문화재 지정일 | 1963년 1월 21일 |
소유자 | 국유 |
관리자 | 국립중앙박물관 |
크기 | 높이 3.92m |
건립시대 | 고려시대 |
관련승려 | 혜근(慧勤) |
관련탑비 | 여주 신륵사 보제존자석종비, 양주 회암사지 선각왕사비 |
|
정의
강원도 원주시 영전사지(令傳寺址)에서 발견된 고려 말의 승려 혜근(慧勤, 1320-1376)의 승탑.
내용
개요
고려 후기의 승려인 혜근(慧勤)의 사리탑으로 모두 2기이다.[1] 혜근은 고려 후기의 고승으로 호는 나옹(懶翁), 시호는 선각(禪覺)이며 1371년(공민왕 18)에 왕사(王師)가 되어 왕으로부터 보제존자(普濟尊者)라는 호를 받았다.[2]
두 탑은 보통 승려의 사리탑과는 달리 석탑 형식을 취하고 있으며, 더욱이 거의 같은 양식으로 2기를 건립하였다는 점도 특이한 예이다.[3]
이 탑들은 1915년 일본인에 의해 경복궁(景福宮)으로 옮겨졌고, 1990년에는 당시 국립중앙박물관(현 국립고궁박물관) 정원으로 이전되었으며, 현재는 용산에 있는 국립중앙박물관 야외 전시장에 있다.[4]
이 탑들이 있었던 영전사지(令傳寺址)는 관련 기록이 전혀 전해지지 않으며, 1912년에 이 탑들을 조사하였던 세키노 다다시(關野貞)는 “폐영전사지”로 기록하고 있어 당시에도 유래를 알 수 없을 정도로 황폐화된 절터였던 것으로 보인다.[5]
출토유물
1915년 탑들을 원래의 위치에서 서울로 옮길 때 두 탑 모두에서 사리장엄구(舍利莊嚴具)가 발견되었으며, 한 탑에서는 약 20cm 정사각형의 납석제(蠟石製) 탑지(塔誌)[6]가 발견되었다.[7]
동탑과 서탑에서 출토된 사리장엄구에는 시주자들의 이름이 새겨져 있고, 탑지 앞뒤 면에는 보제존자의 사리를 1과씩 각각 주탑(主塔)과 동탑에 봉안한다는 내용과 공덕주, 장인(匠人)의 이름들이 기록되어 있다. 또한 홍무 21년(1388) 무진 4월에 목사(牧使)[8] 강은(姜隱)이 이를 기록하였음이 새겨져 있어, 두 탑 모두 1388년에 조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9]
도인(道人) 각수(覺修)가 왕사(王師) 보제존자(普濟尊者)의 사리(舍利) 1과(粿)를 주탑(主塔)에 안치(安置)하였고, 비구니(比丘尼) 묘관(妙寬)도 보제존자(普濟尊者)의 사리 1과를 동탑(東塔)에 봉안(奉安)하였다. 대공덕주(大功德主) 봉익대부(奉翊大夫) 서윤현(徐允賢)의 법명(法名)은 각희(覺喜)이며, 처씨(妻氏)는 단산군부인(丹山郡夫人) 장씨(張氏)이니 법명(法名)은 묘연(妙然)이다. (이상은 전면부분(前面部分)이다) |
||
출처: "영전사지보제존자사리탑", 금석문 세부정보, |
지식관계망
- 나옹 혜근의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양주 회암사 나옹선사부도 | 혜근 | A는 B를 위한 승탑이다 | 1381년 |
양주 회암사지 선각왕사비 | 혜근 | A는 B를 위한 비이다 | |
여주 신륵사 보제존자석종 | 혜근 | A는 B를 위한 승탑이다 | 1379년 |
여주 신륵사 보제존자석종비 | 혜근 | A는 B를 위한 비이다 | 1379년 |
원주 영전사지 보제존자탑 | 혜근 | A는 B를 위한 승탑이다 | 1388년 |
양주 회암사 나옹선사부도 | 양주 회암사 | A는 B에 있다 | |
양주 회암사지 선각왕사비 | 양주 회암사 | A는 B에 있다 | |
여주 신륵사 보제존자석종 | 여주 신륵사 | A는 B에 있다 | |
여주 신륵사 보제존자석종비 | 여주 신륵사 | A는 B에 있다 | |
원주 영전사지 보제존자탑 | 국립중앙박물관 | A는 B에 있다 | |
혜근 | 순천 송광사 | A는 B에서 주석하였다 | |
혜근 | 양주 회암사 | A는 B를 중창하였다 | |
혜근 | 양주 회암사 | A는 B에서 주석하였다 | |
혜근 | 여주 신륵사 | A는 B에서 입적하였다 | 1376년 |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 ↑ "원주 영전사지 보제존자탑",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 문화재청. - ↑ 곽철환, 『시공 불교사전』, 시공사, 2003. 온라인 참조: "혜근", 용어해설,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 "원주 영전사지 보제존자탑",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 문화재청. - ↑ 강병희, "원주 영전사지 보제존자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강병희, "원주 영전사지 보제존자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탑을 세우게 된 내력이나 시주자 등의 이름을 적은 글로 탑 내부에서 발견된다. 주로 금속이나 돌에 새겨 넣는 경우가 많은데, 탑의 제작 연대를 아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솔출판사 편집부, 『한국 미의 재발견 - 용어 모음』, 솔출판사, 2008. 온라인 참조: "탑지", 용어해설,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 "영전사지 보제존자사리탑",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 고려와 조선시대에, 지방 행정 단위의 하나인 목을 맡아 다스리던 정3품 외직 문관
- ↑ 강병희, "원주 영전사지 보제존자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천왕사 은도금 집모양 육각 사리기", 주요 소장품 검색,
『소장품』online , 국립중앙박물관. - ↑ "천왕사 석제 사리 항아리", 주요 소장품 검색,
『소장품』online , 국립중앙박물관.
참고문헌
- "영전사지보제존자사리탑", 금석문 세부정보,
『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online , 국립문화재연구소. - 강병희, "원주 영전사지 보제존자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원주 영전사지 보제존자탑",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 문화재청. - "영전사지 보제존자사리탑",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원주 영전사 터 보제존자사리탑", 주요 소장품 검색,
『소장품』online , 국립중앙박물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