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납약"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정의) |
|||
(사용자 5명의 중간 판 2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 | + | {{물품정보 |
+ | |사진= chinese_medicine.png | ||
+ | |사진출처= | ||
|대표명칭= 납약 | |대표명칭= 납약 | ||
− | | | + | |한자표기= 臘藥 |
− | |||
− | |||
− | |||
|영문명칭= | |영문명칭= | ||
− | | | + | |이칭= 납제(臘濟) |
− | | | + | |유형= 의학/약학, 과학 |
− | | | + | |시대= 조선말기 |
− | + | |용도= | |
− | |||
− | |||
− | |||
− | | | ||
|관련인물= | |관련인물= | ||
− | | | + | |관련단체= |
− | | | + | |관련장소= |
− | | | + | |관련물품= |
− | | | + | |관련유물유적= [[언해납약증치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중심기사= 언해납약증치방 | ||
청심환(淸心丸)·안신환(安神丸)·소합환(蘇合丸), 제중단(濟衆丹), 광제환(廣濟丸) | 청심환(淸心丸)·안신환(安神丸)·소합환(蘇合丸), 제중단(濟衆丹), 광제환(廣濟丸) | ||
--> | --> | ||
− | |||
=='''정의'''== | =='''정의'''== | ||
− | 납일(臘日)에 즈음하여 임금이 신하에게 하사하는 약의 | + | 납일(臘日)에 즈음하여 임금이 신하에게 하사하는 약의 일종이다. |
− | <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075450&cid=40942&categoryId=32175 납약 | + | <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075450&cid=40942&categoryId=32175 납약(臘藥)]", 두산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 『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ref> |
=='''내용'''== | =='''내용'''== | ||
− | 조선시대 말기 세시풍속의 하나로 납제(臘濟)라고도 한다. 동지 뒤의 셋째 미일(未日)인 납일에 궁중의 내의원(內醫院)에서 여러 가지 환약(丸藥)을 지어 올리면 임금은 이를 신하들에게 나누어 주었다. 이 약을 | + | 조선시대 말기 세시풍속의 하나로 [[납제|납제(臘濟)]]라고도 한다. 동지 뒤의 셋째 미일(未日)인 납일에 궁중의 [[내의원|내의원(內醫院)]]에서 여러 가지 환약(丸藥)을 지어 올리면 임금은 이를 신하들에게 나누어 주었다. 이 약을 [[납약]]이라고 하는데, [[청심원|청심환(淸心丸)]]·[[안신원|안신환(安神丸)]]·[[소합원|소합환(蘇合丸)]] 등이 있다. <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075450&cid=40942&categoryId=32175 납약(臘藥)]", 두산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 『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ref> |
− | <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85511&cid=41826&categoryId=41826 납약 | + | <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85511&cid=41826&categoryId=41826 납약(臘藥)]", 한국고전용어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ref> |
− | ==''' | + | {{연계자원정보 |
− | + | |연계자원1=[[의서를 언해하여 백성의 목숨을 구하다]] | |
− | === | + | |연계자원2= |
− | {|class="wikitable sortable" | + | |연계자원3= |
+ | }} | ||
+ | ==지식 관계망== | ||
+ | *'''의서를 언해하여 백성의 목숨을 구하다 지식관계망''' | ||
+ | <html> | ||
+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
+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
+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A204/A204.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 | </html> | ||
+ | * '''[http://dh.aks.ac.kr/Encyves/Graph/A034/A034.htm 언해납약증치방 지식관계망]''' | ||
+ | ===관계정보=== | ||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text-align:center;" | ||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 | |- | ||
− | | | + | | [[납약]] || [[청심원]]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 | |- | ||
− | | | + | | [[납약]] || [[안신원]]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 | |- | ||
− | | | + | | [[납약]] || [[소합원]]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 | |- | ||
− | | | + | | [[납약]] || [[제중단]]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 | |- | ||
− | | | + | | [[납약]] || [[광제환]]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 | |- | ||
+ | | [[납약]] || [[언해납약증치방]]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납약]] || [[납일]]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납약]] || [[내의원]]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 | |} | ||
66번째 줄: | 65번째 줄: | ||
<references/> | <references/> | ||
− | |||
==참고문헌== | ==참고문헌== | ||
− | -- | + | ===더 읽을 거리=== |
+ | *저서 | ||
+ | ** 이원섭, 『(사람을 살려내는) 왕실 양명술 건강법』, 문중, 2010. | ||
+ | ** 신동원, 『호열자, 조선을 습격하다 : 몸과 의학의 한국사』, 역사비평사, 2004. | ||
+ | |||
+ | *논문 | ||
+ | ** 신동원, 「臘藥, 《언해납약증치방》, 그리고 허준」, 『한국의사학회지』13, 한국의사학회, 2000, 23-28쪽. | ||
+ | ** 이현숙, 「《언해 벽온신방》과 《언해 납약증치방》의 역사적 의의 : 이화여대 소장본을 중심으로」, 『한국문화연구』14,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2008, 233-271쪽. | ||
+ | ** 서금석, 「조선 후기 납일(臘日) 풍속 양상과 소멸 과정」, 『역사학연구』63, 호남사학회, 2016, 67-94쪽. | ||
+ | ** 이정화, 「《납약증치방》과 《언해납약증치방》 현존본의 서지적 연구」, 『서지학연구』56, 한국서지학회, 2013, 353-369쪽. | ||
[[분류:한글고문서]] [[분류:물품]] | [[분류:한글고문서]] [[분류:물품]] |
2017년 11월 25일 (토) 03:36 기준 최신판
납약(臘藥) | |
대표명칭 | 납약 |
---|---|
한자표기 | 臘藥 |
이칭 | 납제(臘濟) |
유형 | 의학/약학, 과학 |
시대 | 조선말기 |
관련유물유적 | 언해납약증치방 |
정의
납일(臘日)에 즈음하여 임금이 신하에게 하사하는 약의 일종이다. [1]
내용
조선시대 말기 세시풍속의 하나로 납제(臘濟)라고도 한다. 동지 뒤의 셋째 미일(未日)인 납일에 궁중의 내의원(內醫院)에서 여러 가지 환약(丸藥)을 지어 올리면 임금은 이를 신하들에게 나누어 주었다. 이 약을 납약이라고 하는데, 청심환(淸心丸)·안신환(安神丸)·소합환(蘇合丸) 등이 있다. [2] [3]
연계 자원 보러 가기 |
• 의서를 언해하여 백성의 목숨을 구하다 |
지식 관계망
- 의서를 언해하여 백성의 목숨을 구하다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납약 | 청심원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납약 | 안신원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납약 | 소합원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납약 | 제중단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납약 | 광제환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납약 | 언해납약증치방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납약 | 납일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납약 | 내의원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주석
- ↑ "납약(臘藥)",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 "납약(臘藥)",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 "납약(臘藥)", 한국고전용어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참고문헌
더 읽을 거리
- 저서
- 이원섭, 『(사람을 살려내는) 왕실 양명술 건강법』, 문중, 2010.
- 신동원, 『호열자, 조선을 습격하다 : 몸과 의학의 한국사』, 역사비평사, 2004.
- 논문
- 신동원, 「臘藥, 《언해납약증치방》, 그리고 허준」, 『한국의사학회지』13, 한국의사학회, 2000, 23-28쪽.
- 이현숙, 「《언해 벽온신방》과 《언해 납약증치방》의 역사적 의의 : 이화여대 소장본을 중심으로」, 『한국문화연구』14,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2008, 233-271쪽.
- 서금석, 「조선 후기 납일(臘日) 풍속 양상과 소멸 과정」, 『역사학연구』63, 호남사학회, 2016, 67-94쪽.
- 이정화, 「《납약증치방》과 《언해납약증치방》 현존본의 서지적 연구」, 『서지학연구』56, 한국서지학회, 2013, 353-369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