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기록화관 개관

"장두건-종합우수새마을(묵현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관련항목)
 
(사용자 6명의 중간 판 148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프로젝트|민족기록화=0}}
+
{{민족기록화 Top icon}}
{{작품정보
+
{{민족기록화_샘플
|대표명칭 = 종합우수새마을(묵현리)
+
|사진= 장두건-종합우수새마을(묵현리)-1973s.jpg
|DB유형 = 민족기록화
+
|작품명= 종합우수새마을(묵현리)
|작품명 = 종합우수새마을(묵현리)
+
|작가= [[장두건]]
|작가 = [[장두건]]
+
|제작연도= 1973년
|제작연도 = 1973년
+
|규격= 300호(197x290.9cm)
|규격 = 300호
+
|유형= 새마을
|분류 = 유화
+
|분류= 유화
|유형 = 새마을
+
|소장처= 미상
|소장처 = [[군산문화원]](추정)
+
|필드수=9
|image = 장두건-종합우수새마을(묵현리)-1973s.jpg
 
 
}}
 
}}
 +
=='''정의'''==
 +
경기도 남양주군 화도읍 묵현리에서 진행된 [[새마을운동]] 모습을 담은 [[장두건]]의 민족기록화이다.
  
=='''작품 살펴보기'''==
+
=='''설명'''==
<imagemap>
+
===작품 소재===
파일:장두건-종합우수새마을(묵현리)-1973s.jpg |장두건 「종합우수새마을(묵현리)」 1973|1000px
+
[[박정희|박정희(朴正熙, 1917~1979)]] 정권시기 전개되었던 1970년대 [[새마을운동]]의 역점 과제는 크게 생활환경개선, 소득증대, 의식개혁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시기적으로는 1970~1973년 기반조성단계, 1974~1976년 사업확산단계, 1977~1979년 사업심화단계로 나누어 구체적인 사업이 진행되었다.<br/>
rect 26 16 780 166 [[진주성]]
 
rect 36 226 780 486 [[진주성싸움]]
 
</imagemap>
 
<gallery>
 
파일:진주성싸움_진주성.JPG|[[진주성]]
 
파일:진주성싸움_1.JPG|[[진주성싸움]]
 
</gallery>
 
<span style="color: red">''maschek를 사용하여 작품내 일차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노드에 링크를 걸어주었습니다. 위의 그림에서 진주성과 참혹한 전투장면을 누르면 '진주성', '진주성싸움' 위키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작품소개'''==
+
1970년에서 1973년에 이루어진 [[새마을운동]] 기반조성단계에는 생활환경개선을 위하여 마을안길 확장, 지붕개량·담장개량 등 농촌주택개선, 공동시설물 설치 등이 시행되었으며, 이를 통하여 농촌사회의 일상이 근대적 양식으로 재구성<ref>"[http://theme.archives.go.kr/next/semaul/time01.do 1970년대]", <html><online style="color:purple">『새마을운동 기록과 현장』<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ref>되었다는 평가를 받고있다.<br/>
민족기록화 농축수산/새마을 12작품 중 하나로, [[임진왜란]] 중인 1592년 10월 1차 [[진주성싸움]]에서 진주목사 [[김시민]] 장군이 3,800명의 관군과 2만여명의 백성들을 지휘하여 [[진주성]]을 공격하던 왜군을 격파하여
 
곡창지대인 호남 진출을 막아낸 장면을 그린 그림이다. 1975년 [[강대운]] 화백이 그렸다.
 
  
===작품구도===
+
해당 작품은 [[새마을운동]] 시범지역으로 선정된 묵현리에서 1972년에 실시된 생활환경개선 작업을 보여주는데, 기반조성 단계에 이루어진 [[새마을운동]] 성과를 살펴볼 수 있다. 초기 [[새마을운동]]의 주요 성과인 바둑판처럼 질서정연하게 정리된 농지와 [[농가주택개량사업]]의 일환인 [[지붕개량사업]]으로 교체된 원색의 슬레이트 지붕, [[농업기계화사업]]의 시행으로 기계화된 농업현장을 묘사하고 있다. 또한, 전원생활의 목가적이고 향토적인 이미지 대신 개간된 땅과 기계화된 노동과정을 담고 있다.<ref>박혜성, 「1960-1970년대 민족기록화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논문, 2003, 89쪽.</ref>
일반적인 민족기록화의 경우 주요 장수나 아군을 중앙에 배치하여 중심으로 삼고 아군의 시점에서 적군의 공격을 막아내거나 추격하는 구도로 그려져 있다. 그러나 이 작품의 경우 원근감을 이용하여 화폭을 상하로 이등분하여 하단의 중앙에는 일본의 전통 투구인 가부토를 쓴 귀신 모양을 한 왜장이 한손에는 흰 빛의 일본도를 치켜 들고 있는 장면이 화면의 중앙을 차지하고 있다. 왜장이 탄 말은 사나운 표정으로 울부짖고 있고, 왜장의 왼편에는 등 뒤에 여러 대의 화살을 맞고 고통스럽게 죽아 가는 왜병의 모습과 쓰려져 가는 말을 표현하였다.
 
오른편에는 불길에 휩싸여 말 발굽에 치이는 반라의 인물이 그려져 있다. 왼편 하단에는 적병의 시신이 겹겹이 쓰러져 있는 모양을 짙은 색으로, 불화살 공격으로 화염속에 타들어 가는 왜병들의 모습을 붉은 색을 사용하여 강렬하게 표현하였다. 그림 전체에서 왜군들은 반라의 모습을 하고 있는 점이 눈에 띈다. 
 
1차 [[진주성싸움]]에서 왜군은 대나무로 만든 사다리와 나무 방패를 이용하여 성을 공격하였는데, 이 작품의 여러 곳에서 대나무 방패 뒤에 숨어 성을 향해 조총을 발사하는 왜군과 사다리를 타고 성안으로 진입하려는 적의 모습을 볼 수 있다.
 
 
그림의 상단의 왼쪽 끝에는 푸른 색으로 칠해진 남강이 보이고 왜군의 주요 공격 지점이었던 동문과 북문을 두축으로 성을 공격하는 적군에  각종 무기로 반격하는 조선군의 모습을 그려 놓았다. 대나무 사다리를 타고 성벽을 오르는 왜군을 향해 끊는 물을 붓고 화살을 아끼기 위하여 돌을 던지는 병사들의 모습이 보인다. 김시민 장군은 백성들에게 군복을 입히고 군기(軍旗)를 여럿 세워 병력을 많아 보이게 하는 심리전을 걸었는데, 그림에서도 성안에 노랑,파랑,적색의 용대기들이 수 없이 나부끼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신장로, 지붕개량사업, 경지정리, 남양주 화도읍 묵현리 천마산
+
===작품 배경===
 +
작품의 배경은 [[천마산|천마산(天摩山)]] 기슭에 자리한 묵현리(墨峴里)이다. 묵현리는 [[새마을운동]] 시범지역으로 선정되었고, 이 작품을 통해 [[천마산]] 인근을 [[트랙터]]로 개간하는 모습을 살펴볼 수 있다. 작품의 시간적 배경인 1972년 묵현리는 초가 44채, 기와집 21채에 69가구 373명이 살고 있었고, 49가구가 논 160단보(段步), 밭 144단보를 일구며 농사를 짓는 조그만 마을이었다.<ref>김재혁, "[http://news.joins.com/article/1316858 (2) 표준 사업별로 본 우수 마을 그 현장을 가다|주택 환경 개선|양주군 화도면 묵현리]", 『중앙일보』, 작성일: 1972년 03월 23일.</ref>
  
===작가의도===
+
===그림 읽기===
<span style="color: red">''11월 8일 교수님 조언대로, 작품 기사 관련하여 어떤 작가가 언제 어떤식으로 어떤의도로 그림을 그렸는지 기재하고, 작품의 배경지식 보다는 작품 자체에 대한 설명을 담고자 함. / <span style="color: black">김정화 교수님<span style="color: red">의 도움이 필요함''
+
*국가기록원 기록에 따르면 이 작품은 1991년 1월 9일부터 1992년 1월 8일까지 [[군산문화원]]에 대여되었습니다.
 
+
*그림위에 마우스를 올려 보세요.
=='''민족기록화 관련 공간정보'''==
+
*[http://maschek.hu/imagemap/imgmap/ 온라인 이미지맵 에디터]
<googlemap width="1200" height="800" lat="36.5422623" lon="127.7119523" type="hybrid" zoom="8" icon="http://maps.google.com/mapfiles/marker.png">
+
<imagemap>
35.1879562,128.0792248, [[진주성]]
+
파일:장두건-종합우수새마을(묵현리)-1973s.jpg |800px|center
37.3915557,127.0547403, [[한국학중앙연구원|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
</imagemap>
</googlemap>
 
 
 
=='''VR'''==
 
<span style="color: red">''소장처 관련 VR''
 
  
=='''관계망 데이터베이스'''==
+
=='''지식 관계망'''==
 +
*'''[https://dh.aks.ac.kr/Encyves/Graph/C058/C058.htm "종합우수새마을(묵현리)" 지식관계망]'''
 
<html>
 
<html>
<iframe width="100%" height="800px" src="http://digerati.aks.ac.kr/DHLab/2016/202/장동룡/진주성싸움.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s://dh.aks.ac.kr/Encyves/Graph/C058/C058.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html>
 
</html>
 +
===관계정보===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 [[장두건-종합우수새마을(묵현리)]]|| [[장두건]]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
 +
| [[장두건-종합우수새마을(묵현리)]]  ||[[새마을운동]]||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A ekc:depicts B
 +
|-
 +
| [[장두건-종합우수새마을(묵현리)]]  || [[군산문화원]]  ||A는 B에 대여되었다  || A ekc:hasExhibitionAt B
 +
|-
 +
| [[새마을운동]] || [[농촌근대화촉진법]]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농촌근대화촉진법]] || [[농업진흥공사]]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농업진흥공사]] || [[농업기계화사업]]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농업진흥공사]] ||  [[농가주택개량사업]]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
 +
| [[농가주택개량사업]] || [[지붕개량사업]]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
 +
|}
  
=='''관련항목'''==
+
===시간정보===
{| class="wikitable"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노드 || 관계 || 노드
+
!style="width:20%"|시간정보!!style="width:80%"|내용
 
|-
 
|-
| [[장두건]] || ~을 그렸다 || [[장두건-종합우수새마을(묵현리)]]
+
|1973년 || [[장두건]][[장두건-종합우수새마을(묵현리)]]을 그렸다
 
|-
 
|-
| [[장두건-종합우수새마을(묵현리)]] || ~를 배경으로 한다 || [[천마산]]
+
|1991년 1월 9일-1992년 1월 8일  ||[[군산문화원]]이 [[장두건-종합우수새마을(묵현리)]]을 대여하였다 
 
|-
 
|-
| [[새마을운동]] || ~를 포함한다 || [[경지정리]]
+
| 1970년 4월 22일-1979년 || [[새마을운동]]이 전개되었다
 
|-
 
|-
| [[새마을운동]] || ~를 포함한다 || [[지붕개량사업]]
+
| 2012년 || [[새마을운동 기록물]]이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되었다
 
|-
 
|-
| [[새마을운동]] || ~를 포함한다 || [[신작로]]
+
|}
 +
 
 +
===공간정보===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
|-
 +
|35.964562 || 126.693576 || [[군산문화원]]이 [[장두건-종합우수새마을(묵현리)]]을 대여하였다 
 +
|-
 +
|37.6646992 || 127.2691629|| [[묵현리]]는 [[장두건-종합우수새마을(묵현리)]]의 배경이다
 
|-
 
|-
 
|}
 
|}
 +
*'''새마을운동 소재 민족기록화 관련 장소 전자지도'''
 +
<html>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 Map "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s://dh.aks.ac.kr/Encyves/Google/GoogleMapsKML.htm?kml=https://dh.aks.ac.kr/Encyves/Map/C002/C002.kml"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관련 민족기록화'''==
+
===관련 민족기록화===
===농축수산/새마을 관련 작품===
+
<gallery mode=packed caption="새마을 소재 작품"  heights=180px  style="float:center" >
<gallery>
 
 
파일:이인영-협업영농새마을(개곡리)-1973s.jpg |[[이인영-협업영농새마을(개곡리)]]
 
파일:이인영-협업영농새마을(개곡리)-1973s.jpg |[[이인영-협업영농새마을(개곡리)]]
 
파일:장두건-종합우수새마을(묵현리)-1973s.jpg |[[장두건-종합우수새마을(묵현리)]]
 
파일:장두건-종합우수새마을(묵현리)-1973s.jpg |[[장두건-종합우수새마을(묵현리)]]
82번째 줄: 102번째 줄:
 
파일:천칠봉-대단위뽕밭-1975s.jpg |[[천칠봉-대단위뽕밭]]
 
파일:천칠봉-대단위뽕밭-1975s.jpg |[[천칠봉-대단위뽕밭]]
 
파일:정영렬-무진장조림단지-1973s.jpg |[[정영렬-무진장조림단지]]
 
파일:정영렬-무진장조림단지-1973s.jpg |[[정영렬-무진장조림단지]]
파일:장이석-국립종축장-1973s.jpg |[[장이석-국립종축장]]
 
파일:이인영-삼화목장-1975s.jpg |[[이인영-삼화목장]]
 
파일:이용환-굴뗏목양식-1973s.jpg |[[이용환-굴뗏목양식]]
 
파일:김창락-원양어업-1975s.jpg |[[김창락-원양어업]]
 
 
</gallery>
 
</gallery>
 +
 +
=='''시각자료'''==
 +
===가상현실===
 +
 +
===갤러리===
 +
 +
===영상===
 +
*'''[KTV 대한뉴스] 대한뉴스 제 873호-우리 모두 새마을 대열에(게시일: 2016년 11월 21일)'''
 +
<html>
 +
<iframe width="640" height="360" src="https://www.youtube.com/embed/Tt6RRWtfn5g"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
*'''[KTV 대한뉴스] 대한뉴스 제 875호-우리 모두 새마을 대열에(게시일: 2016년 11월 21일)'''
 +
<html>
 +
<iframe width="640" height="360" src="https://www.youtube.com/embed/LSXoEXDPF7E"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
 +
=='''주석'''==
 +
<references/>
  
 
=='''참고문헌'''==
 
=='''참고문헌'''==
<span style="color: red">''추후 합의사항을 따라서 작성하겠습니다''
+
===인용 및 참조===
 +
#논문
 +
#*박혜성, 「1960-1970년대 민족기록화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논문, 2003.
 +
#웹 자원
 +
#*김재혁, "[http://news.joins.com/article/1316858 (2) 표준 사업별로 본 우수 마을 그 현장을 가다|주택 환경 개선|양주군 화도면 묵현리]", 『중앙일보』, 작성일: 1972년 03월 23일.
 +
#* "[http://theme.archives.go.kr/next/semaul/time01.do 1970년대]", <html><online style="color:purple">『새마을운동 기록과 현장』<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
 +
 
 +
===유용한 정보===
 +
# "[http://theme.archives.go.kr/next/semaul/popup/popDetail.do?e_id=0000005957&flg=Y 농촌주택 개량사업 추진상황 사진보고]", <html><online style="color:purple">『기록정보콘텐츠』<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
 +
# "[http://theme.archives.go.kr/next/semaul/popup/popDetail.do?e_id=0000005851&flg=Y 농가지붕 개량사업 년차별 지원계획]", <html><online style="color:purple">『기록정보콘텐츠』<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
  
=='''각주'''==
+
===더 읽을거리===
<span style="color: red">''추후 합의사항을 따라서 작성하겠습니다''
+
# 이승훈, 「1970년대 농촌주택개량사업」, 『정신문화연구』 제29권, 제4호, 2006, 233-264쪽.
 +
  
[[분류:민족기록화]][[분류:작품]][[분류:농축수산/새마을]]
+
[[분류:민족기록화]][[분류:작품]][[분류:문헌]]

2024년 3월 14일 (목) 14:41 기준 최신판


종합우수새마을(묵현리)
장두건-종합우수새마을(묵현리)-1973s.jpg
작가 장두건
제작연도 1973년
규격 300호(197x290.9cm)
유형 새마을
분류 유화
소장처 미상


정의

경기도 남양주군 화도읍 묵현리에서 진행된 새마을운동 모습을 담은 장두건의 민족기록화이다.

설명

작품 소재

박정희(朴正熙, 1917~1979) 정권시기 전개되었던 1970년대 새마을운동의 역점 과제는 크게 생활환경개선, 소득증대, 의식개혁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시기적으로는 1970~1973년 기반조성단계, 1974~1976년 사업확산단계, 1977~1979년 사업심화단계로 나누어 구체적인 사업이 진행되었다.

1970년에서 1973년에 이루어진 새마을운동 기반조성단계에는 생활환경개선을 위하여 마을안길 확장, 지붕개량·담장개량 등 농촌주택개선, 공동시설물 설치 등이 시행되었으며, 이를 통하여 농촌사회의 일상이 근대적 양식으로 재구성[1]되었다는 평가를 받고있다.

해당 작품은 새마을운동 시범지역으로 선정된 묵현리에서 1972년에 실시된 생활환경개선 작업을 보여주는데, 기반조성 단계에 이루어진 새마을운동 성과를 살펴볼 수 있다. 초기 새마을운동의 주요 성과인 바둑판처럼 질서정연하게 정리된 농지와 농가주택개량사업의 일환인 지붕개량사업으로 교체된 원색의 슬레이트 지붕, 농업기계화사업의 시행으로 기계화된 농업현장을 묘사하고 있다. 또한, 전원생활의 목가적이고 향토적인 이미지 대신 개간된 땅과 기계화된 노동과정을 담고 있다.[2]

작품 배경

작품의 배경은 천마산(天摩山) 기슭에 자리한 묵현리(墨峴里)이다. 묵현리는 새마을운동 시범지역으로 선정되었고, 이 작품을 통해 천마산 인근을 트랙터로 개간하는 모습을 살펴볼 수 있다. 작품의 시간적 배경인 1972년 묵현리는 초가 44채, 기와집 21채에 69가구 373명이 살고 있었고, 49가구가 논 160단보(段步), 밭 144단보를 일구며 농사를 짓는 조그만 마을이었다.[3]

그림 읽기

장두건-종합우수새마을(묵현리)-1973s.jpg
이 그림에 대한 정보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장두건-종합우수새마을(묵현리) 장두건 A는 B가 그렸다 A dcterms:creator B
장두건-종합우수새마을(묵현리) 새마을운동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A ekc:depicts B
장두건-종합우수새마을(묵현리) 군산문화원 A는 B에 대여되었다 A ekc:hasExhibitionAt B
새마을운동 농촌근대화촉진법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농촌근대화촉진법 농업진흥공사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농업진흥공사 농업기계화사업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농업진흥공사 농가주택개량사업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농가주택개량사업 지붕개량사업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973년 장두건장두건-종합우수새마을(묵현리)을 그렸다
1991년 1월 9일-1992년 1월 8일 군산문화원장두건-종합우수새마을(묵현리)을 대여하였다
1970년 4월 22일-1979년 새마을운동이 전개되었다
2012년 새마을운동 기록물이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되었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5.964562 126.693576 군산문화원장두건-종합우수새마을(묵현리)을 대여하였다
37.6646992 127.2691629 묵현리장두건-종합우수새마을(묵현리)의 배경이다
  • 새마을운동 소재 민족기록화 관련 장소 전자지도

관련 민족기록화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영상

  • [KTV 대한뉴스] 대한뉴스 제 873호-우리 모두 새마을 대열에(게시일: 2016년 11월 21일)

  • [KTV 대한뉴스] 대한뉴스 제 875호-우리 모두 새마을 대열에(게시일: 2016년 11월 21일)

주석

  1. "1970년대", 『새마을운동 기록과 현장』online, 국가기록원.
  2. 박혜성, 「1960-1970년대 민족기록화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논문, 2003, 89쪽.
  3. 김재혁, "(2) 표준 사업별로 본 우수 마을 그 현장을 가다|주택 환경 개선|양주군 화도면 묵현리", 『중앙일보』, 작성일: 1972년 03월 23일.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1. 논문
    • 박혜성, 「1960-1970년대 민족기록화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논문, 2003.
  2. 웹 자원

유용한 정보

  1. "농촌주택 개량사업 추진상황 사진보고", 『기록정보콘텐츠』online, 국가기록원.
  2. "농가지붕 개량사업 년차별 지원계획", 『기록정보콘텐츠』online, 국가기록원.

더 읽을거리

  1. 이승훈, 「1970년대 농촌주택개량사업」, 『정신문화연구』 제29권, 제4호, 2006, 233-264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