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십장생"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새 문서: 분류:한글고문서_개념) |
|||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1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분류: | + | {{개념정보 |
+ | |사진= 한글팀 십장생 경복궁 자경전 십장생굴뚝.JPG | ||
+ | |사진출처= 김영자, "[http://www.k-heritage.tv/brd/board/275/L/CATEGORY/327/menu/253?brdCodeField=CATEGORY&brdCodeValue=327&bbIdx=3538&brdType=R 경복궁의 자경전과 십장생 굴뚝]", 감성포토,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채널』<sup>online</sup></online></html>, 한국문화재재단, 작성일: 2012년 12월 7일. | ||
+ | |대표명칭= 십장생 | ||
+ | |한자표기= 十長生 | ||
+ | |영문명칭= | ||
+ | |이칭= | ||
+ | |유형= | ||
+ | |관련개념= | ||
+ | }} | ||
+ | |||
+ | ==정의== | ||
+ | 민간신앙 및 도교에서 불로장생(不老長生)을 상징하는 열 가지의 사물이다. | ||
+ | <ref>권오호,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4031 십장생]",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 |||
+ | ==내용== | ||
+ | ===[[십장생]]의 의미=== | ||
+ | [[십장생]]은 '늙지 않고 오래 사는 것[不老長生]'을 상징하는 열 가지 사물을 뜻한다. 옛부터 불로장생하는 신선의 삶을 추구하기 위해 동식물 및 자연에서 장생과 관련되는 열 가지 사물을 골라 표상으로 삼아왔다. 동양사상에서 '십(十)'은 완전함, 상서로움, 영원함을 의미한다. 즉 십장생은 열 가지의 장생물이 결합하여 불로장생하고자 하는 염원이 극대화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십장생에는 해,달,산,물,대나무,소나무,거북,학,사슴,불로초,복숭아 등 열 가지 이상의 사물이 포함된다. | ||
+ | <ref> "[http://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View.do?search_div_id=CP_THE007&cp_code=cp0322&index_id=cp03220542&content_id=cp032205420001&search_left_menu=9 십장생문]", 궁중문양,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콘텐츠닷컴』<sup>online</sup></online></html>, 한국콘텐츠진흥원.</ref> | ||
+ | |||
+ | ===[[십장생]]의 사상적 측면=== | ||
+ | [[십장생]]의 사상적 근원은 자연물 숭배사상과 신선사상 및 도교가 결합된 데서 비롯되었다. 즉 천신, 일월신, 산악신 등의 무교 사상을 바탕으로 하여 장생불사를 추구하는 신선사상이 수용된 것이다. 우리나라는 고려시대에는 불교, 조선시대에는 유교를 치국이념으로 삼았지만 궁중의 의식 및 실생활에서는 도교 사상을 통해 왕실의 안위와 국가의 태평성세를 빌었으며, 불로장생 및 현세의 길복을 기원하였다. | ||
+ | <ref> "[http://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View.do?search_div_id=CP_THE007&cp_code=cp0322&index_id=cp03220542&content_id=cp032205420001&search_left_menu=9 십장생문]", 궁중문양,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콘텐츠닷컴』<sup>online</sup></online></html>, 한국콘텐츠진흥원.</ref> | ||
+ | |||
+ | ==지식관계망== | ||
+ | * '''왕세자 가례 차비관 발기 지식관계망''' | ||
+ | <html> | ||
+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
+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
+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A110/A110.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 | </html> | ||
+ | ===관계정보=== | ||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text-align:center;" | ||
+ |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 | |- | ||
+ | | [[십장생]] || [[왕세자 흉배 패물 발기]]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tRelatedTo B | ||
+ | |- | ||
+ | |} | ||
+ | |||
+ | ==주석== | ||
+ | <references/> | ||
+ | ==참고문헌== | ||
+ | ===더 읽을 거리=== | ||
+ | *논문 | ||
+ | **권지희, 「朝鮮 後期 十長生圖의 象徵性과 造形性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 ||
+ | **박본수, 「조선후기 십장생도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 ||
+ | **심영옥, 「십장생도에 내재된 장수길상의 상징적 이미지 연구」, 『동양예술』8, 한국동양예술학회, 2004. | ||
+ | *단행본 | ||
+ | **구미례, 『한국인의 상징세계』, 교보문고, 2002. | ||
+ | **박옥련, 『장생의 염원 한국의 십장생문』, 경성대학교 출판부, 2003. | ||
+ | [[분류:한글고문서]][[분류:개념]] |
2017년 11월 30일 (목) 15:39 기준 최신판
십장생 (十長生) |
|
대표명칭 | 십장생 |
---|---|
한자표기 | 十長生 |
정의
민간신앙 및 도교에서 불로장생(不老長生)을 상징하는 열 가지의 사물이다. [1]
내용
십장생의 의미
십장생은 '늙지 않고 오래 사는 것[不老長生]'을 상징하는 열 가지 사물을 뜻한다. 옛부터 불로장생하는 신선의 삶을 추구하기 위해 동식물 및 자연에서 장생과 관련되는 열 가지 사물을 골라 표상으로 삼아왔다. 동양사상에서 '십(十)'은 완전함, 상서로움, 영원함을 의미한다. 즉 십장생은 열 가지의 장생물이 결합하여 불로장생하고자 하는 염원이 극대화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십장생에는 해,달,산,물,대나무,소나무,거북,학,사슴,불로초,복숭아 등 열 가지 이상의 사물이 포함된다. [2]
십장생의 사상적 측면
십장생의 사상적 근원은 자연물 숭배사상과 신선사상 및 도교가 결합된 데서 비롯되었다. 즉 천신, 일월신, 산악신 등의 무교 사상을 바탕으로 하여 장생불사를 추구하는 신선사상이 수용된 것이다. 우리나라는 고려시대에는 불교, 조선시대에는 유교를 치국이념으로 삼았지만 궁중의 의식 및 실생활에서는 도교 사상을 통해 왕실의 안위와 국가의 태평성세를 빌었으며, 불로장생 및 현세의 길복을 기원하였다. [3]
지식관계망
- 왕세자 가례 차비관 발기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십장생 | 왕세자 흉배 패물 발기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tRelatedTo B |
주석
- ↑ 권오호, "십장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십장생문", 궁중문양,
『문화콘텐츠닷컴』online , 한국콘텐츠진흥원. - ↑ "십장생문", 궁중문양,
『문화콘텐츠닷컴』online , 한국콘텐츠진흥원.
참고문헌
더 읽을 거리
- 논문
- 권지희, 「朝鮮 後期 十長生圖의 象徵性과 造形性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 박본수, 「조선후기 십장생도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 심영옥, 「십장생도에 내재된 장수길상의 상징적 이미지 연구」, 『동양예술』8, 한국동양예술학회, 2004.
- 단행본
- 구미례, 『한국인의 상징세계』, 교보문고, 2002.
- 박옥련, 『장생의 염원 한국의 십장생문』, 경성대학교 출판부,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