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진-고려청자"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사용자 5명의 중간 판 15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 | + | {{틀:민족기록화 Top icon}} |
− | [[ | + | {{민족기록화_샘플 |
+ | |사진= 문학진-고려청자-1977s.jpg | ||
+ | |작품명= 고려청자 | ||
+ | |작가= [[문학진]] | ||
+ | |제작연도= 1977년 | ||
+ | |규격= 300호(197x290.9cm) | ||
+ | |유형= 예술 | ||
+ | |분류= 유화 | ||
+ | |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 ||
+ | |필드수=7 | ||
+ | }} | ||
+ | =='''정의'''== | ||
+ | 고려시대에 [[고려청자|청자]] 상감을 요장에서 제작하고 있는 장면을 그린 [[문학진]]의 민족기록화이다. | ||
− | ==작품== | + | =='''설명'''== |
− | + | ===작품 소재=== | |
+ | [[파일:민족기록화 인덱스맵 문학진-고려청자-1977s.jpg|right|450px]] | ||
+ | [[고려청자]](高麗靑瓷)는 고려 시대에 만들어진 푸른빛의 자기를 통틀어 이르는 말로, 작품에 묘사된 '''④ 상감 청자'''가 특히 유명하다. 초기에는 중국 [[송나라]]의 영향을 받아 제작되었으나 시간이 흐르면서 점차 고려만의 특색을 갖추게 되었고, 그 중에서도 [[고려청자]]의 비색(秘色)은 [[송나라]]에서도 감탄할 정도였다고 한다.<br/> | ||
+ | 그림에는 청자 제작 과정의 다양한 모습들이 나타나고 있다. '''⑤⑥⑧⑨ 앞쪽의 세 인물'''은 물레로 그릇을 빚고 있는데, 아직 빚기 전 반죽 상태인 '''⑧ 흙덩어리'''가 눈에 띈다. '''①④ 왼쪽 뒤'''에서는 빚어진 자기에 무늬를 새겨넣고 있다. 이후 그늘에서 말린 뒤 '''③⑥ 오른쪽 뒤에 위치한 가마'''로 옮겨서 초벌구이를 시작하는 것이다. | ||
− | == | + | ===작품 배경=== |
− | + | 작품의 배경은 어느 요장(窯場)<ref>도자기를 구워 내는 곳.</ref>으로 정확한 위치는 알 수 없다. 현재 대규모 청자 요지(窯址)군이 남아 있는 곳은 전라남도 강진군 대구면 사당리·용운리·계율리·수동리 일대와 전라북도 부안군 보안면 부근이다. 특히 대구면 일대의 요지군은 10세기부터 14세기에 이르기까지의 고려 요장을 총망라하며 요장마다 구조의 시기별 특징을 보여주고 있다. | |
− | |||
− | == | + | ===그림 읽기=== |
− | < | + | *그림위에 마우스를 올려 보세요. |
− | 파일: | + | *[http://maschek.hu/imagemap/imgmap/ 온라인 이미지맵 에디터] |
− | 파일: | + | <imagemap> |
− | 파일: | + | 파일:문학진-고려청자-1977s.jpg| 문학진 「고려청자」 1979|800px|center |
− | 파일: | + | |
+ | </imagemap> | ||
+ | |||
+ | =='''지식 관계망'''== | ||
+ | * [https://dh.aks.ac.kr/Encyves/Graph/C024/C024.htm "고려청자"(문학진) 지식관계망] | ||
+ | <html> | ||
+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
+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
+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s://dh.aks.ac.kr/Encyves/Graph/C024/C024.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 | </html> | ||
+ | |||
+ | |||
+ | ===관계정보=== | ||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
+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 |- | ||
+ | |[[문학진-고려청자]] || [[문학진]]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
+ | |- | ||
+ | | [[문학진-고려청자]] || [[한국학중앙연구원]]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 | |- | ||
+ | |[[문학진-고려청자]] ||[[고려청자]]||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A ekc:depicts B | ||
+ | |- | ||
+ | |[[고려청자]] || [[강진고려청자요지]]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 ||
+ | |||
+ | ===시간정보=== | ||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
+ | !style="width:20%"|시간정보!!style="width:80%"|내용 | ||
+ | |- | ||
+ | | 1977년 || [[문학진]]이 [[문학진-고려청자]]를 제작하였다. | ||
+ | |- | ||
+ | | 1998년 12월 30일-현재 || [[한국학중앙연구원]]이 [[문학진-고려청자]]를 소장하고 있다. | ||
+ | |} | ||
+ | |||
+ | ==='''공간정보'''=== | ||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
+ |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 ||
+ | |- | ||
+ | | 37.3915557 || 127.0547403 || [[한국학중앙연구원]]이 [[문학진-고려청자]]를 소장하였다. | ||
+ | |} | ||
+ | |||
+ | ===관련 민족기록화=== |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예술 소재 작품" heights=180px style="float:center" > | ||
+ | 파일:김창락-반구대암각도-1978s.jpg|[[김창락-울주 반구대 암각도]] | ||
+ | 파일:이종상-쌍영총고분벽화-1977s.jpg|[[이종상-고구려 고분 벽화]] | ||
+ | 파일:문학진-고려청자-1977s.jpg|[[문학진-고려청자]] | ||
</gallery> | </gallery> | ||
− | [ | + | =='''시각자료'''== |
+ | ===가상현실=== | ||
+ | <html> | ||
+ | <iframe width="100%" height="600" src="https://dh.aks.ac.kr/encyves/Pavilions/C903/S001/S001.htm" frameborder="0" scrolling="no"></iframe> | ||
+ | </html><br/> | ||
+ | {{clickable button | [https://dh.aks.ac.kr/encyves/Pavilions/C903/S001/S001.htm 가상 미술관 - 전체 화면 보기] }} | ||
− | == | + | ===갤러리=== |
+ | ===영상=== | ||
+ | *'''역사채널e - The history channel e_고려청자를 찾아라_#001(게시일: 2013년 12월 6일)''' | ||
<html> | <html> | ||
− | <iframe width=" | + | <iframe width="640" height="360" src="https://www.youtube.com/embed/V0ZdcweViZs"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 </html> | ||
+ | |||
+ | =='''주석'''== | ||
+ | <references/> | ||
+ | |||
+ | =='''참고문헌'''== | ||
+ | ===인용 및 참조=== | ||
+ | #단행본 | ||
+ | #*대한민국국회의원동우회, 『민족기록화 구국위업편』, 1981년, 89-94쪽. | ||
+ | #웹자원 | ||
+ |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1415 강진고려청자요지]",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 | #* 공미라 외, 『한국사 개념사전』, (주)북이십일 아울북, 2010.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57636&cid=47306&categoryId=47306 고려 청자]", 어린이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
+ | |||
+ | [[분류:민족기록화]][[분류:작품]] [[분류:문헌]] |
2024년 3월 14일 (목) 14:26 기준 최신판
고려청자 | |
작가 | 문학진 |
---|---|
제작연도 | 1977년 |
규격 | 300호(197x290.9cm) |
유형 | 예술 |
분류 | 유화 |
소장처 | 한국학중앙연구원 |
목차
정의
고려시대에 청자 상감을 요장에서 제작하고 있는 장면을 그린 문학진의 민족기록화이다.
설명
작품 소재
고려청자(高麗靑瓷)는 고려 시대에 만들어진 푸른빛의 자기를 통틀어 이르는 말로, 작품에 묘사된 ④ 상감 청자가 특히 유명하다. 초기에는 중국 송나라의 영향을 받아 제작되었으나 시간이 흐르면서 점차 고려만의 특색을 갖추게 되었고, 그 중에서도 고려청자의 비색(秘色)은 송나라에서도 감탄할 정도였다고 한다.
그림에는 청자 제작 과정의 다양한 모습들이 나타나고 있다. ⑤⑥⑧⑨ 앞쪽의 세 인물은 물레로 그릇을 빚고 있는데, 아직 빚기 전 반죽 상태인 ⑧ 흙덩어리가 눈에 띈다. ①④ 왼쪽 뒤에서는 빚어진 자기에 무늬를 새겨넣고 있다. 이후 그늘에서 말린 뒤 ③⑥ 오른쪽 뒤에 위치한 가마로 옮겨서 초벌구이를 시작하는 것이다.
작품 배경
작품의 배경은 어느 요장(窯場)[1]으로 정확한 위치는 알 수 없다. 현재 대규모 청자 요지(窯址)군이 남아 있는 곳은 전라남도 강진군 대구면 사당리·용운리·계율리·수동리 일대와 전라북도 부안군 보안면 부근이다. 특히 대구면 일대의 요지군은 10세기부터 14세기에 이르기까지의 고려 요장을 총망라하며 요장마다 구조의 시기별 특징을 보여주고 있다.
그림 읽기
- 그림위에 마우스를 올려 보세요.
- 온라인 이미지맵 에디터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문학진-고려청자 | 문학진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문학진-고려청자 | 한국학중앙연구원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문학진-고려청자 | 고려청자 |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A ekc:depicts B |
고려청자 | 강진고려청자요지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시간정보
시간정보 | 내용 |
---|---|
1977년 | 문학진이 문학진-고려청자를 제작하였다. |
1998년 12월 30일-현재 | 한국학중앙연구원이 문학진-고려청자를 소장하고 있다. |
공간정보
위도 | 경도 | 내용 |
---|---|---|
37.3915557 | 127.0547403 | 한국학중앙연구원이 문학진-고려청자를 소장하였다. |
관련 민족기록화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영상
- 역사채널e - The history channel e_고려청자를 찾아라_#001(게시일: 2013년 12월 6일)
주석
- ↑ 도자기를 구워 내는 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