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천 명봉사 경청선원 자적선사능운탑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시각자료) |
|||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1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탑비정보 | {{탑비정보 | ||
− | |사진= | + | |사진=BHST_Myeongbongsa_Jajeok_stele.jpg |
|사진출처= | |사진출처= | ||
− | |대표명칭=예천 명봉사 경청선원 자적선사능운탑비 | + | |대표명칭=예천 명봉사 경청선원 자적선사능운탑비 |
− | |영문명칭= | + | |영문명칭=Stele for Master Jajeok at Gyeongcheongseonwon of Myeongbongsa Temple, Yecheon |
|한자=醴泉 鳴鳳寺 境淸禪院慈寂禪師陵雲塔碑 | |한자=醴泉 鳴鳳寺 境淸禪院慈寂禪師陵雲塔碑 | ||
|이칭= | |이칭= | ||
− | |지정번호= | + | |지정번호=보물 제1648호 |
− | |지정일= | + | |지정일=2010년 2월 24일 |
− | |주소= | + | |주소=경상북도 예천군 명봉사길 62 |
− | |위도= | + | |위도=36.777443 |
− | |경도= | + | |경도=128.376063 |
− | |찬자= | + | |찬자=[[최언위|최언위(崔彦撝)]] |
− | |서자= | + | |서자=미상 |
− | |각자= | + | |각자=미상 |
− | |서체= | + | |서체=[[해서|해서(楷書)]] |
− | |승려= | + | |승려=[[홍준|홍준(弘俊)]] |
|건립연대=941년 | |건립연대=941년 | ||
|승탑= | |승탑= | ||
22번째 줄: | 22번째 줄: | ||
=='''정의'''== | =='''정의'''== | ||
+ | 경상북도 예천군 [[예천 명봉사|명봉사(鳴鳳寺)]]에 있는 신라 말 고려 초의 승려 [[홍준|자적선사 홍준(慈寂禪師 弘俊, 882-939)]]의 [[탑비]]. | ||
=='''내용'''== | =='''내용'''== | ||
+ | ===개요=== | ||
+ | 이 탑비는 통일신라 말기부터 고려시대 초기까지 활동한 [[홍준|자적선사(慈寂禪師)]]의 행적을 기록한 것으로, [[고려 태조]]의 명으로 941년([[고려 태조|태조]] 24)에 세워졌다.<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2,16480000,37 예천 명봉사 경청선원자적선사능운탑비]",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 ||
− | === | + | [[귀부|귀부(龜趺: 거북 모양 받침돌)]], 비좌(碑座: 비신을 세우는 받침돌), 비신(碑身: 비석의 몸체), [[이수|이수(螭首: 용 모양 머릿돌)]]로 이루어져 있으며, 전체 높이는 282cm이고, 비신의 크기는 높이 186cm, 너비 96cm, 두께 20.5cm이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96262&cid=40942&categoryId=37713 예천 명봉사 경청선원자적선사능운탑비]", 두산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 | |||
+ | 화강암으로 된 비신은 마모가 심해 육안으로는 글씨를 알아보기 힘들며 판독되지 않는 글자도 적지 않다.<ref>최연식, 「경청선원 자적선사비」, 『한국금석문집성 19 : 고려3 비문3』, 한국국학진흥원, 2014, 5쪽. 온라인 참조: "[http://www.krpia.co.kr/product/main?plctId=PLCT00006039 한국금석문집성 19 : 고려3 비문3]", <html><online style="color:purple">『KRpia - 한국의 지식콘텐츠』<sup>online</sup></online></html>, 누리미디어.</ref> 이 탑비보다 2년 전에 세워진 경기도 양평 보리사의 [[양평 보리사지 대경대사탑비|대경대사탑비(大鏡大師塔碑)]]의 찬자인 [[최언위|최언위(崔彦撝)]]의 관직과 관계(官階)<ref>관등(官等)의 계급</ref> 및 글자 수까지 일치되므로 이 비의 찬자도 [[최언위]]로 추정된다.<ref>김응현,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8272 예천명봉사경청선원자적선사능운탑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비문의 글씨는 중국 당나라 서예가 [[구양순|구양순(歐陽詢, 557-641)]]의 필적을 고서(古書)에서 집자(集字: 문헌에서 필요한 글자를 찾아 모음)한 것이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96262&cid=40942&categoryId=37713 예천 명봉사 경청선원자적선사능운탑비]", 두산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
+ | |||
+ | 2010년 보물 제1648호로 지정되었다.<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2,16480000,37 예천 명봉사 경청선원자적선사능운탑비]",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 ||
===비문=== | ===비문=== | ||
+ | 비문에는 출가에서 입적에 이르기까지 [[홍준|자적선사(慈寂禪師)]]의 행적이 30행(1행 59자)에 걸쳐 기록되어 있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96262&cid=40942&categoryId=37713 예천 명봉사 경청선원자적선사능운탑비]", 두산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
+ | |||
+ | 음기(陰記: 비석 뒷면의 글)에는 939년 고려의 관청 [[도평성|도평성(都評省)]]이 [[홍준|자적선사]]의 제자들에게 사원 건립과 관련된 왕의 명을 전달한 첩문(帖文: 행정문서/ 공문서)이 새겨져 있다. 이 첩문은 통일신라 말기부터 고려 초기까지 사용되었던 [[이두|이두문자(吏讀文字: 한자의 음과 뜻을 빌려 우리말을 적은 표기법)]]로 작성되어 있는데, 신라시대의 [[이두]]에서는 볼 수 없는 다양성과 발전된 체계를 갖추고 있다는 점에서 가치가 높다. 음기 뒷부분에는 [[고려 태조|태조 왕건]], [[국통|국통(國統: 신라·고려시대 최고의 승려 관직)]], 삼강직(三綱職: 사원의 관리·운영 임무를 맡는 세 가지 승직(僧職))을 비롯하여 지역 유력자들의 이름이 기재되어 있어 고려 초기 호족 세력을 파악하는 데에도 도움을 준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96262&cid=40942&categoryId=37713 예천 명봉사 경청선원자적선사능운탑비]", 두산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
+ | {{비문정보 | ||
+ | |비문1="[http://gsm.nricp.go.kr/_third/user/frame.jsp?View=search&No=4&ksmno=3100 명봉사경청선원자적선사릉운탑비]", 금석문 세부정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sup>online</sup></online></html>, 국립문화재연구소. | ||
+ | |비문2=최연식, 「경청선원 자적선사비」, 『한국금석문집성 19 : 고려3 비문3』, 한국국학진흥원, 2014, 5-19쪽. 온라인 참조: "[http://www.krpia.co.kr/product/main?plctId=PLCT00006039 한국금석문집성 19 : 고려3 비문3]", <html><online style="color:purple">『KRpia - 한국의 지식콘텐츠』<sup>online</sup></online></html>, 누리미디어. | ||
+ | |비문3= | ||
+ | }} | ||
=='''지식관계망'''== | =='''지식관계망'''== | ||
− | " | + | *'''예천 명봉사 경청선원 자적선사능운탑비와 자적선사 홍준 지식관계망''' |
− | + | <html> | |
+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
+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
+ | <iframe width="100%" height="74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D034/stele_hongjun_myeongbongsa.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 | </html> | ||
===관련항목=== | ===관련항목===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 |- | ||
+ | | [[예천 명봉사 경청선원 자적선사능운탑비]] || [[홍준]] || A는 B를 위한 비이다 || A ekc:isSteleOf B | ||
+ | |- | ||
+ | | [[예천 명봉사 경청선원 자적선사능운탑비]] || [[예천 명봉사]] || A는 B에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 | |- | ||
+ | | [[예천 명봉사 경청선원 자적선사능운탑비]] || [[최언위]] ||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 A ekc:writer B | ||
+ | |- | ||
+ | | [[예천 명봉사 경청선원 자적선사능운탑비]] || [[고려 태조]] || A는 B가 이름을 지었다 || A dc:contributor B | ||
+ | |- | ||
+ | | [[예천 명봉사 경청선원 자적선사능운탑비]] || [[이두]]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예천 명봉사 경청선원 자적선사능운탑비]] || [[구양순체]]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창원 봉림사지 진경대사탑비]] || [[심희]] || A는 B를 위한 비이다 || A ekc:isSteleOf B | ||
+ | |- | ||
+ | | [[창원 봉림사지 진경대사탑비]] || [[최언위]] || A는 B가 제액을 썼다 || A ekc:calligrapher B | ||
+ | |- | ||
+ | | [[심희]] || [[홍준]]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
|} | |} | ||
=='''시각자료'''== | =='''시각자료'''== | ||
− | |||
===가상현실=== | ===가상현실=== | ||
+ | <html> | ||
+ | <iframe width="100%" height="600" src="http://dh.aks.ac.kr/encyves/Pavilions/D034/myeongbongsa.htm "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 | </html><br/> | ||
+ | {{clickable button|[http://dh.aks.ac.kr/encyves/Pavilions/D000/S034/myeongbongsa.htm 가상 현실 - 전체 화면 보기]}} | ||
+ | |||
===갤러리=== | ===갤러리=== | ||
50번째 줄: | 90번째 줄: | ||
=='''참고문헌'''== | =='''참고문헌'''== | ||
+ | *"[http://gsm.nricp.go.kr/_third/user/frame.jsp?View=search&No=4&ksmno=3100 명봉사경청선원자적선사릉운탑비]", 금석문 세부정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sup>online</sup></online></html>, 국립문화재연구소. | ||
+ |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2,16480000,37 예천 명봉사 경청선원자적선사능운탑비]",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 | ||
+ | *김응현,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8272 예천명봉사경청선원자적선사능운탑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 | * 최연식, 「경청선원 자적선사비」, 『한국금석문집성 19 : 고려3 비문3』, 한국국학진흥원, 2014, 5-19쪽. 온라인 참조: "[http://www.krpia.co.kr/product/main?plctId=PLCT00006039 한국금석문집성 19 : 고려3 비문3]", <html><online style="color:purple">『KRpia - 한국의 지식콘텐츠』<sup>online</sup></online></html>, 누리미디어. | ||
+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96262&cid=40942&categoryId=37713 예천 명봉사 경청선원자적선사능운탑비]", 두산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
+ | *한국문화유산답사회, 『답사여행의 길잡이 10 - 경북북부』, 돌베개, 2010.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055517&cid=42840&categoryId=42845 명봉사 경청선원 자적선사 능운탑비]", 답사여행의 길잡이:경북북부,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
+ | |||
{{승탑비문 Top icon}} | {{승탑비문 Top icon}} | ||
− |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분류:탑비]] [[분류:승탑/ | + |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분류:탑비]] [[분류:승탑/교열완료]] |
2017년 12월 21일 (목) 14:09 기준 최신판
예천 명봉사 경청선원 자적선사능운탑비 (醴泉 鳴鳳寺 境淸禪院慈寂禪師陵雲塔碑) |
|
대표명칭 | 예천 명봉사 경청선원 자적선사능운탑비 |
---|---|
영문명칭 | Stele for Master Jajeok at Gyeongcheongseonwon of Myeongbongsa Temple, Yecheon |
한자 | 醴泉 鳴鳳寺 境淸禪院慈寂禪師陵雲塔碑 |
주소 | 경상북도 예천군 명봉사길 62 |
문화재 지정번호 | 보물 제1648호 |
문화재 지정일 | 2010년 2월 24일 |
찬자 | 최언위(崔彦撝) |
서자 | 미상 |
각자 | 미상 |
서체 | 해서(楷書) |
승려 | 홍준(弘俊) |
건립연대 | 941년 |
|
정의
경상북도 예천군 명봉사(鳴鳳寺)에 있는 신라 말 고려 초의 승려 자적선사 홍준(慈寂禪師 弘俊, 882-939)의 탑비.
내용
개요
이 탑비는 통일신라 말기부터 고려시대 초기까지 활동한 자적선사(慈寂禪師)의 행적을 기록한 것으로, 고려 태조의 명으로 941년(태조 24)에 세워졌다.[1]
귀부(龜趺: 거북 모양 받침돌), 비좌(碑座: 비신을 세우는 받침돌), 비신(碑身: 비석의 몸체), 이수(螭首: 용 모양 머릿돌)로 이루어져 있으며, 전체 높이는 282cm이고, 비신의 크기는 높이 186cm, 너비 96cm, 두께 20.5cm이다.[2]
화강암으로 된 비신은 마모가 심해 육안으로는 글씨를 알아보기 힘들며 판독되지 않는 글자도 적지 않다.[3] 이 탑비보다 2년 전에 세워진 경기도 양평 보리사의 대경대사탑비(大鏡大師塔碑)의 찬자인 최언위(崔彦撝)의 관직과 관계(官階)[4] 및 글자 수까지 일치되므로 이 비의 찬자도 최언위로 추정된다.[5] 비문의 글씨는 중국 당나라 서예가 구양순(歐陽詢, 557-641)의 필적을 고서(古書)에서 집자(集字: 문헌에서 필요한 글자를 찾아 모음)한 것이다.[6]
2010년 보물 제1648호로 지정되었다.[7]
비문
비문에는 출가에서 입적에 이르기까지 자적선사(慈寂禪師)의 행적이 30행(1행 59자)에 걸쳐 기록되어 있다.[8]
음기(陰記: 비석 뒷면의 글)에는 939년 고려의 관청 도평성(都評省)이 자적선사의 제자들에게 사원 건립과 관련된 왕의 명을 전달한 첩문(帖文: 행정문서/ 공문서)이 새겨져 있다. 이 첩문은 통일신라 말기부터 고려 초기까지 사용되었던 이두문자(吏讀文字: 한자의 음과 뜻을 빌려 우리말을 적은 표기법)로 작성되어 있는데, 신라시대의 이두에서는 볼 수 없는 다양성과 발전된 체계를 갖추고 있다는 점에서 가치가 높다. 음기 뒷부분에는 태조 왕건, 국통(國統: 신라·고려시대 최고의 승려 관직), 삼강직(三綱職: 사원의 관리·운영 임무를 맡는 세 가지 승직(僧職))을 비롯하여 지역 유력자들의 이름이 기재되어 있어 고려 초기 호족 세력을 파악하는 데에도 도움을 준다.[9]
비문 보러가기 |
• "명봉사경청선원자적선사릉운탑비", 금석문 세부정보, |
• 최연식, 「경청선원 자적선사비」, 『한국금석문집성 19 : 고려3 비문3』, 한국국학진흥원, 2014, 5-19쪽. 온라인 참조: "한국금석문집성 19 : 고려3 비문3", |
지식관계망
- 예천 명봉사 경청선원 자적선사능운탑비와 자적선사 홍준 지식관계망
관련항목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예천 명봉사 경청선원 자적선사능운탑비 | 홍준 | A는 B를 위한 비이다 | A ekc:isSteleOf B |
예천 명봉사 경청선원 자적선사능운탑비 | 예천 명봉사 | A는 B에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예천 명봉사 경청선원 자적선사능운탑비 | 최언위 |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 A ekc:writer B |
예천 명봉사 경청선원 자적선사능운탑비 | 고려 태조 | A는 B가 이름을 지었다 | A dc:contributor B |
예천 명봉사 경청선원 자적선사능운탑비 | 이두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예천 명봉사 경청선원 자적선사능운탑비 | 구양순체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창원 봉림사지 진경대사탑비 | 심희 | A는 B를 위한 비이다 | A ekc:isSteleOf B |
창원 봉림사지 진경대사탑비 | 최언위 | A는 B가 제액을 썼다 | A ekc:calligrapher B |
심희 | 홍준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영상
주석
- ↑ "예천 명봉사 경청선원자적선사능운탑비",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 문화재청. - ↑ "예천 명봉사 경청선원자적선사능운탑비",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 최연식, 「경청선원 자적선사비」, 『한국금석문집성 19 : 고려3 비문3』, 한국국학진흥원, 2014, 5쪽. 온라인 참조: "한국금석문집성 19 : 고려3 비문3",
『KRpia - 한국의 지식콘텐츠』online , 누리미디어. - ↑ 관등(官等)의 계급
- ↑ 김응현, "예천명봉사경청선원자적선사능운탑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예천 명봉사 경청선원자적선사능운탑비",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 "예천 명봉사 경청선원자적선사능운탑비",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 문화재청. - ↑ "예천 명봉사 경청선원자적선사능운탑비",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 "예천 명봉사 경청선원자적선사능운탑비",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참고문헌
- "명봉사경청선원자적선사릉운탑비", 금석문 세부정보,
『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online , 국립문화재연구소. - "예천 명봉사 경청선원자적선사능운탑비",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 문화재청. - 김응현, "예천명봉사경청선원자적선사능운탑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최연식, 「경청선원 자적선사비」, 『한국금석문집성 19 : 고려3 비문3』, 한국국학진흥원, 2014, 5-19쪽. 온라인 참조: "한국금석문집성 19 : 고려3 비문3",
『KRpia - 한국의 지식콘텐츠』online , 누리미디어. - "예천 명봉사 경청선원자적선사능운탑비",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한국문화유산답사회, 『답사여행의 길잡이 10 - 경북북부』, 돌베개, 2010. 온라인 참조: "명봉사 경청선원 자적선사 능운탑비", 답사여행의 길잡이:경북북부,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