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제 금산사 혜덕왕사탑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참고문헌) |
(→가상현실) |
||
(사용자 4명의 중간 판 18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탑비정보 | {{탑비정보 | ||
− | |사진= | + | |사진=BHST Geumsansa hyedeokstele.jpg |
|사진출처= | |사진출처= | ||
|대표명칭=김제 금산사 혜덕왕사탑비 | |대표명칭=김제 금산사 혜덕왕사탑비 | ||
26번째 줄: | 26번째 줄: | ||
===개요=== | ===개요=== | ||
− | 높이 2.7m, 너비 1.5m. 탑비는 [[귀부|귀부(龜趺)]]와 비신(碑身)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수|이수(螭首)]]는 파괴되어 그 일부가 국립전주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 + | 높이 2.7m, 너비 1.5m. 탑비는 [[귀부|귀부(龜趺)]]와 [[탑비#비신|비신(碑身)]]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수|이수(螭首)]]는 파괴되어 그 일부가 국립전주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
[[소현|혜덕왕사(慧德王師)]]는 [[해린|지광국사 해린(智光國師 海麟)]]의 제자로, [[김제 금산사|금산사(金山寺)]]에 주석하여 사세를 확장한 승려이다. 1096년([[고려 숙종|숙종]] 1) 12월 봉천원구(奉天院區)에서 59세로 입적하자, 나라에서 '혜덕왕사(慧德王師)'라는 시호를 내린 뒤, 1111년([[고려 예종|예종]] 6) 탑호를 '진응탑비(眞應塔碑)'라 하고 [[김제 금산사|금산사]] 동쪽 부도전 내에 세웠다.<ref>서홍식, "[http://gimje.grandculture.net/Contents?local=gimje&dataType=99&contents_id=GC02600644 김제 금산사 혜덕왕사탑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디지털김제문화대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소현|혜덕왕사(慧德王師)]]는 [[해린|지광국사 해린(智光國師 海麟)]]의 제자로, [[김제 금산사|금산사(金山寺)]]에 주석하여 사세를 확장한 승려이다. 1096년([[고려 숙종|숙종]] 1) 12월 봉천원구(奉天院區)에서 59세로 입적하자, 나라에서 '혜덕왕사(慧德王師)'라는 시호를 내린 뒤, 1111년([[고려 예종|예종]] 6) 탑호를 '진응탑비(眞應塔碑)'라 하고 [[김제 금산사|금산사]] 동쪽 부도전 내에 세웠다.<ref>서홍식, "[http://gimje.grandculture.net/Contents?local=gimje&dataType=99&contents_id=GC02600644 김제 금산사 혜덕왕사탑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디지털김제문화대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 비문을 지은 사람과 쓴 사람은 글자가 닳아 알 수 없으나, 『[[해동금석원|해동금석원(海東金石苑)]]』에는 지은이를 [[이오|이오(李檉)]]로, 쓴 이를 [[정윤|정윤(鄭允)]]으로, 음기(陰記)의 쓴 이를 [[채유탄|채유탄(蔡惟誕)]]으로 추정하였다. 또 『[[대동금석서|대동금석서(大東金石書)]]』와 『[[해동금석총목|해동금석총목(海東金石總目)]]』에도 쓴 이는 똑같이 [[채유탄]]이라 하였으나, 쓴 이에 대해서는 "臣鄭口口···"이란 글로 미루어 [[정윤]]일 가능성도 있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070136&cid=40942&categoryId=33382 금산사 혜덕왕사진응탑비]", 두산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 | 비문을 지은 사람과 쓴 사람은 글자가 닳아 알 수 없으나, 『[[해동금석원|해동금석원(海東金石苑)]]』에는 지은이를 [[이오|이오(李檉)]]로, 쓴 이를 [[정윤|정윤(鄭允)]]으로, 음기(陰記)<ref>비석의 뒷면에 새긴 글</ref>의 쓴 이를 [[채유탄|채유탄(蔡惟誕)]]으로 추정하였다. 또 『[[대동금석서|대동금석서(大東金石書)]]』와 『[[해동금석총목|해동금석총목(海東金石總目)]]』에도 쓴 이는 똑같이 [[채유탄]]이라 하였으나, 쓴 이에 대해서는 "臣鄭口口···"이란 글로 미루어 [[정윤]]일 가능성도 있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070136&cid=40942&categoryId=33382 금산사 혜덕왕사진응탑비]", 두산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 | 탑비의 대석(臺石)은 물결 무늬가 조각되어 있다. [[귀부]]는 하나의 화강석으로 만들어졌고, 육각의 거북등 무늬에는 잎이 네 개인 화문(花紋)을 새겼으며, 머리에 비해 몸이 작은 편이다.<ref>한국문화유산답사회, 『답사여행의 길잡이1 - 전북』, 돌베개, 1994.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054544&cid=42840&categoryId=42850 금산사]", 답사여행의 길잡이1 - 전북,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글씨는 [[구양순체|구양순체(歐陽詢體)]]로 썼는데, [[구양순|구양순(歐陽詢)]]의 글씨보다 더욱 활달하여 명쾌한 맛이 있다. 1963년 보물 제24호로 지정되었다.<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2,00240000,35 김제 금산사 혜덕왕사탑비]",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 + | 탑비의 대석(臺石)<ref>받침돌. 동상 등의 밑받침</ref>은 물결 무늬가 조각되어 있다. [[귀부]]는 하나의 화강석으로 만들어졌고, 육각의 거북등 무늬에는 잎이 네 개인 화문(花紋)을 새겼으며, 머리에 비해 몸이 작은 편이다.<ref>한국문화유산답사회, 『답사여행의 길잡이1 - 전북』, 돌베개, 1994.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054544&cid=42840&categoryId=42850 금산사]", 답사여행의 길잡이1 - 전북,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글씨는 [[구양순체|구양순체(歐陽詢體)]]로 썼는데, [[구양순|구양순(歐陽詢)]]의 글씨보다 더욱 활달하여 명쾌한 맛이 있다. 1963년 보물 제24호로 지정되었다.<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2,00240000,35 김제 금산사 혜덕왕사탑비]",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
===비문=== | ===비문=== | ||
====전면==== | ====전면==== | ||
− | 비문의 내용은 고려 중기의 대표적인 문벌가문인 인주이씨(仁州李氏) [[이자연|이자연(李子淵)]]의 아들로서 [[소현|혜덕왕사(慧德王師)]]의 가계와 탄생 그리고 출가와 수행을 서술하고, [[김제 금산사|금산사]]에 광교원(廣敎院)을 설치하여 유식(唯識) 사상과 관련된 전적을 간행한 사실을 상세히 기록하였다. 입적 후 재(齋)를 지낸 경비를 조정에서 지원한 내용을 언급하고 있다.<ref>"[http://gsm.nricp.go.kr/_third/user/frame.jsp?View=search&No=4&ksmno=3180 금산사혜덕왕사진응탑비]", | + | 비문의 내용은 고려 중기의 대표적인 문벌가문인 인주이씨(仁州李氏) [[이자연|이자연(李子淵)]]의 아들로서 [[소현|혜덕왕사(慧德王師)]]의 가계와 탄생 그리고 출가와 수행을 서술하고, [[김제 금산사|금산사]]에 광교원(廣敎院)을 설치하여 유식(唯識)<ref>모든 차별 현상은 오직 인식하는 마음 작용에 지나지 않는다는 뜻. 일체는 오직 마음 작용에 의한 이미지에 불과하다는 뜻. 곽철환, 『시공 불교사전』, 시공사, 2003. 온라인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586490&cid=50292&categoryId=50292 유식]", 시공 불교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사상과 관련된 전적을 간행한 사실을 상세히 기록하였다. 입적 후 재(齋)를 지낸 경비를 조정에서 지원한 내용을 언급하고 있다.<ref>"[http://gsm.nricp.go.kr/_third/user/frame.jsp?View=search&No=4&ksmno=3180 금산사혜덕왕사진응탑비]", 금석문 세부정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sup>online</sup></online></html>, 국립문화재연구소.</ref> |
====후면==== | ====후면==== | ||
− | 음기(陰記)에는 [[소현|혜덕왕사]]의 문도를 열거하였는데, 스승인 [[해린|지광국사(智光國師)]]의 [[원주 법천사지 지광국사탑비|탑비]]와 같이 수교계업자(受敎繼業者, [[혜덕왕사]]로부터 가르침을 받아 그의 학업을 계승한 스님들<ref>이지관, "김제 금산사 혜덕왕사 진응탑비문",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고려편4, 가산불교문화연구원, 1996, 66쪽, 주298 '受敎繼業者'.</ref>), 수직가계자(隨職加階者, 직책에 따라 법계(法階)를 상가(上加)받은 스님들<ref>이지관, "김제 금산사 혜덕왕사 진응탑비문",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고려편4, 가산불교문화연구원, 1996, 67쪽, 주299 '隨職加階者'.</ref>), 모덕귀화자(慕德歸化者, [[혜덕왕사]]의 덕을 흠모하여 귀화(歸化)한 스님들<ref>이지관, "김제 금산사 혜덕왕사 진응탑비문",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고려편4, 가산불교문화연구원, 1996, 67쪽, 주300 '慕德歸化者'.</ref>), 사지전후몰세자(師之前後沒世者, [[소현|혜덕왕사]]를 전후하여 한 세상을 살다가 입적한 도반 스님들<ref>이지관, "김제 금산사 혜덕왕사 진응탑비문",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고려편4, 가산불교문화연구원, 1996, 68쪽, 주302 '師之前後沒世者'.</ref>)의 네 부류로 구분하였다. 각각의 부류마다 [[승통|승통(僧統)]], 수좌(首座), 삼중대사(三重大師), 중대사(重大師), 대사(大師)로 나누어 인명을 열거한 자가 110여 인이고 언급된 인명은 1천 8백 인에 이른다. 고려의 승려·문도를 성격에 따라 구분한 좋은 예를 보여주는 자료이다.<ref>"[http://gsm.nricp.go.kr/_third/user/frame.jsp?View=search&No=4&ksmno=3180 금산사혜덕왕사진응탑비]", | + | 음기(陰記)에는 [[소현|혜덕왕사]]의 문도를 열거하였는데, 스승인 [[해린|지광국사(智光國師)]]의 [[원주 법천사지 지광국사탑비|탑비]]와 같이 수교계업자(受敎繼業者, [[혜덕왕사]]로부터 가르침을 받아 그의 학업을 계승한 스님들<ref>이지관, "김제 금산사 혜덕왕사 진응탑비문",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고려편4, 가산불교문화연구원, 1996, 66쪽, 주298 '受敎繼業者'.</ref>), 수직가계자(隨職加階者, 직책에 따라 법계(法階)를 상가(上加)받은 스님들<ref>이지관, "김제 금산사 혜덕왕사 진응탑비문",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고려편4, 가산불교문화연구원, 1996, 67쪽, 주299 '隨職加階者'.</ref>), 모덕귀화자(慕德歸化者, [[혜덕왕사]]의 덕을 흠모하여 귀화(歸化)한 스님들<ref>이지관, "김제 금산사 혜덕왕사 진응탑비문",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고려편4, 가산불교문화연구원, 1996, 67쪽, 주300 '慕德歸化者'.</ref>), 사지전후몰세자(師之前後沒世者, [[소현|혜덕왕사]]를 전후하여 한 세상을 살다가 입적한 도반 스님들<ref>이지관, "김제 금산사 혜덕왕사 진응탑비문",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고려편4, 가산불교문화연구원, 1996, 68쪽, 주302 '師之前後沒世者'.</ref>)의 네 부류로 구분하였다. 각각의 부류마다 [[승통|승통(僧統)]], 수좌(首座)<ref>국사(國師)의 높임말</ref>, 삼중대사(三重大師)<ref>고려시대에 있었던 승려 법계의 하나. 김상현,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6820 삼중대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중대사(重大師)<ref>고려시대 승려의 법계. 김상현,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3719 중대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대사(大師)<ref>나라에서 덕이 높은 선사에게 내려주던 이름. 김상현,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4458 대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로 나누어 인명을 열거한 자가 110여 인이고 언급된 인명은 1천 8백 인에 이른다. 고려의 승려·문도를 성격에 따라 구분한 좋은 예를 보여주는 자료이다.<ref>"[http://gsm.nricp.go.kr/_third/user/frame.jsp?View=search&No=4&ksmno=3180 금산사혜덕왕사진응탑비]", 금석문 세부정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sup>online</sup></online></html>, 국립문화재연구소.</ref> |
+ | |||
+ | {{비문정보 | ||
+ | |비문1="[http://gsm.nricp.go.kr/_third/user/frame.jsp?View=search&No=4&ksmno=3180 금산사혜덕왕사진응탑비]", 금석문세부정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sup>online</sup></online></html>, 국립문화재연구소. | ||
+ | }} | ||
=='''지식관계망'''== | =='''지식관계망'''== | ||
− | " | + | *'''김제 금산사 혜덕왕사탑비 지식관계망''' |
+ | <html> | ||
+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
+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
+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s://dh.aks.ac.kr/Encyves/Graph/D051/stele_sohyeon_geumsansa.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 | </html> | ||
===관련항목=== | ===관련항목=== | ||
48번째 줄: | 57번째 줄: |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 |- | ||
− | | [[김제 금산사 혜덕왕사탑비]] || [[소현]] || A는 B를 위한 비이다 || | + | | [[김제 금산사 혜덕왕사탑비]] || [[소현]] || A는 B를 위한 비이다 || A ekc:isSteleOf B |
|- | |- | ||
− | | [[김제 금산사 혜덕왕사탑비]] || [[김제 금산사]] || A는 B에 있다 || | + | | [[김제 금산사 혜덕왕사탑비]] || [[김제 금산사]] || A는 B에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 |- | ||
− | | [[김제 금산사 혜덕왕사탑비]] || [[이오]] ||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 | + | | [[김제 금산사 혜덕왕사탑비]] || [[이오]] ||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 A ekc:writer B |
|- | |- | ||
− | | [[김제 금산사 혜덕왕사탑비]] || [[정윤]] || A는 B가 비문을 썼다 || | + | | [[김제 금산사 혜덕왕사탑비]] || [[정윤]] || A는 B가 비문을 썼다 || A ekc:calligrapher B |
|- | |- | ||
− | | [[김제 금산사 혜덕왕사탑비]] || [[이효전]] || A는 B가 비문을 새겼다 || | + | | [[김제 금산사 혜덕왕사탑비]] || [[이효전]] || A는 B가 비문을 새겼다 || A ekc:inscriber B |
+ | |- | ||
+ | | [[김제 금산사 혜덕왕사탑비]] || [[고려 숙종]] || A는 B가 이름을 지었다 || A dc:contributor B | ||
|} | |} | ||
=='''시각자료'''== | =='''시각자료'''== | ||
− | |||
===가상현실=== | ===가상현실=== | ||
− | + | <html> | |
− | === | + | <iframe width="100%" height="600" src="https://dh.aks.ac.kr/encyves/Pavilions/D051/geumsansa.htm "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 [ | + | </html><br/> |
− | + | {{clickable button|[https://dh.aks.ac.kr/encyves/Pavilions/D051/geumsansa.htm 가상 현실 - 전체 화면 보기]}} | |
=='''주석'''== | =='''주석'''== | ||
76번째 줄: | 86번째 줄: | ||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070136&cid=40942&categoryId=33382 금산사 혜덕왕사진응탑비]", 두산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070136&cid=40942&categoryId=33382 금산사 혜덕왕사진응탑비]", 두산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
*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2,00240000,35 김제 금산사 혜덕왕사탑비]",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 | *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2,00240000,35 김제 금산사 혜덕왕사탑비]",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 | ||
− | + | * "[http://gsm.nricp.go.kr/_third/user/frame.jsp?View=search&No=4&ksmno=3180 금산사혜덕왕사진응탑비]", 금석문 세부정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sup>online</sup></online></html>, 국립문화재연구소. | |
− | * "[http://gsm.nricp.go.kr/_third/user/frame.jsp?View=search&No=4&ksmno=3180 금산사혜덕왕사진응탑비]", | ||
{{승탑비문 Top icon}} | {{승탑비문 Top icon}} | ||
− |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분류:탑비 | + |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분류:탑비]] |
2024년 4월 12일 (금) 00:58 기준 최신판
김제 금산사 혜덕왕사탑비 (金堤 金山寺 慧德王師塔碑) |
|
대표명칭 | 김제 금산사 혜덕왕사탑비 |
---|---|
영문명칭 | Stele for Royal Preceptor Hyedeok at Geumsansa Temple, Gimje |
한자 | 金堤 金山寺 慧德王師塔碑 |
이칭 | 금산사혜덕왕사진응탑비(金山寺慧德王師眞應塔碑) |
주소 | 전라북도 김제시 금산면 모악15길 1(금산리) 금산사 |
문화재 지정번호 | 보물 제24호 |
문화재 지정일 | 1963년 1월 21일 |
찬자 | 이오(李䫨) |
서자 | 정윤(鄭允) |
각자 | 이효전(李孝全) |
서체 | 해서(楷書) |
승려 | 소현(韶顯) |
건립연대 | 1111년 |
|
정의
전라북도 김제시 금산면 금산사(金山寺)에 있는 고려시대의 승려 혜덕왕사 소현(慧德王師 韶顯, 1038-1097)의 탑비.
내용
개요
높이 2.7m, 너비 1.5m. 탑비는 귀부(龜趺)와 비신(碑身)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수(螭首)는 파괴되어 그 일부가 국립전주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혜덕왕사(慧德王師)는 지광국사 해린(智光國師 海麟)의 제자로, 금산사(金山寺)에 주석하여 사세를 확장한 승려이다. 1096년(숙종 1) 12월 봉천원구(奉天院區)에서 59세로 입적하자, 나라에서 '혜덕왕사(慧德王師)'라는 시호를 내린 뒤, 1111년(예종 6) 탑호를 '진응탑비(眞應塔碑)'라 하고 금산사 동쪽 부도전 내에 세웠다.[1]
비문을 지은 사람과 쓴 사람은 글자가 닳아 알 수 없으나, 『해동금석원(海東金石苑)』에는 지은이를 이오(李檉)로, 쓴 이를 정윤(鄭允)으로, 음기(陰記)[2]의 쓴 이를 채유탄(蔡惟誕)으로 추정하였다. 또 『대동금석서(大東金石書)』와 『해동금석총목(海東金石總目)』에도 쓴 이는 똑같이 채유탄이라 하였으나, 쓴 이에 대해서는 "臣鄭口口···"이란 글로 미루어 정윤일 가능성도 있다.[3]
탑비의 대석(臺石)[4]은 물결 무늬가 조각되어 있다. 귀부는 하나의 화강석으로 만들어졌고, 육각의 거북등 무늬에는 잎이 네 개인 화문(花紋)을 새겼으며, 머리에 비해 몸이 작은 편이다.[5] 글씨는 구양순체(歐陽詢體)로 썼는데, 구양순(歐陽詢)의 글씨보다 더욱 활달하여 명쾌한 맛이 있다. 1963년 보물 제24호로 지정되었다.[6]
비문
전면
비문의 내용은 고려 중기의 대표적인 문벌가문인 인주이씨(仁州李氏) 이자연(李子淵)의 아들로서 혜덕왕사(慧德王師)의 가계와 탄생 그리고 출가와 수행을 서술하고, 금산사에 광교원(廣敎院)을 설치하여 유식(唯識)[7]사상과 관련된 전적을 간행한 사실을 상세히 기록하였다. 입적 후 재(齋)를 지낸 경비를 조정에서 지원한 내용을 언급하고 있다.[8]
후면
음기(陰記)에는 혜덕왕사의 문도를 열거하였는데, 스승인 지광국사(智光國師)의 탑비와 같이 수교계업자(受敎繼業者, 혜덕왕사로부터 가르침을 받아 그의 학업을 계승한 스님들[9]), 수직가계자(隨職加階者, 직책에 따라 법계(法階)를 상가(上加)받은 스님들[10]), 모덕귀화자(慕德歸化者, 혜덕왕사의 덕을 흠모하여 귀화(歸化)한 스님들[11]), 사지전후몰세자(師之前後沒世者, 혜덕왕사를 전후하여 한 세상을 살다가 입적한 도반 스님들[12])의 네 부류로 구분하였다. 각각의 부류마다 승통(僧統), 수좌(首座)[13], 삼중대사(三重大師)[14] 중대사(重大師)[15], 대사(大師)[16]로 나누어 인명을 열거한 자가 110여 인이고 언급된 인명은 1천 8백 인에 이른다. 고려의 승려·문도를 성격에 따라 구분한 좋은 예를 보여주는 자료이다.[17]
비문 보러가기 |
• "금산사혜덕왕사진응탑비", 금석문세부정보, |
지식관계망
- 김제 금산사 혜덕왕사탑비 지식관계망
관련항목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김제 금산사 혜덕왕사탑비 | 소현 | A는 B를 위한 비이다 | A ekc:isSteleOf B |
김제 금산사 혜덕왕사탑비 | 김제 금산사 | A는 B에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김제 금산사 혜덕왕사탑비 | 이오 |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 A ekc:writer B |
김제 금산사 혜덕왕사탑비 | 정윤 | A는 B가 비문을 썼다 | A ekc:calligrapher B |
김제 금산사 혜덕왕사탑비 | 이효전 | A는 B가 비문을 새겼다 | A ekc:inscriber B |
김제 금산사 혜덕왕사탑비 | 고려 숙종 | A는 B가 이름을 지었다 | A dc:contributor B |
시각자료
가상현실
주석
- ↑ 서홍식, "김제 금산사 혜덕왕사탑비",
『디지털김제문화대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비석의 뒷면에 새긴 글
- ↑ "금산사 혜덕왕사진응탑비",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 받침돌. 동상 등의 밑받침
- ↑ 한국문화유산답사회, 『답사여행의 길잡이1 - 전북』, 돌베개, 1994. 온라인 참조: "금산사", 답사여행의 길잡이1 - 전북,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 "김제 금산사 혜덕왕사탑비",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 문화재청. - ↑ 모든 차별 현상은 오직 인식하는 마음 작용에 지나지 않는다는 뜻. 일체는 오직 마음 작용에 의한 이미지에 불과하다는 뜻. 곽철환, 『시공 불교사전』, 시공사, 2003. 온라인참조: "유식", 시공 불교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 "금산사혜덕왕사진응탑비", 금석문 세부정보,
『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online , 국립문화재연구소. - ↑ 이지관, "김제 금산사 혜덕왕사 진응탑비문",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고려편4, 가산불교문화연구원, 1996, 66쪽, 주298 '受敎繼業者'.
- ↑ 이지관, "김제 금산사 혜덕왕사 진응탑비문",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고려편4, 가산불교문화연구원, 1996, 67쪽, 주299 '隨職加階者'.
- ↑ 이지관, "김제 금산사 혜덕왕사 진응탑비문",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고려편4, 가산불교문화연구원, 1996, 67쪽, 주300 '慕德歸化者'.
- ↑ 이지관, "김제 금산사 혜덕왕사 진응탑비문",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고려편4, 가산불교문화연구원, 1996, 68쪽, 주302 '師之前後沒世者'.
- ↑ 국사(國師)의 높임말
- ↑ 고려시대에 있었던 승려 법계의 하나. 김상현, "삼중대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고려시대 승려의 법계. 김상현, "중대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나라에서 덕이 높은 선사에게 내려주던 이름. 김상현, "대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금산사혜덕왕사진응탑비", 금석문 세부정보,
『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online , 국립문화재연구소.
참고문헌
- 이지관, "김제 금산사 혜덕왕사 진응탑비문",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고려편4, 가산불교문화연구원, 1996, 20-69쪽.
- 서홍식, "김제 금산사 혜덕왕사탑비",
『디지털김제문화대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한국문화유산답사회, 『답사여행의 길잡이1 - 전북』, 돌베개, 1994. 온라인 참조: "금산사", 답사여행의 길잡이1 - 전북,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금산사 혜덕왕사진응탑비",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김제 금산사 혜덕왕사탑비",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 문화재청. - "금산사혜덕왕사진응탑비", 금석문 세부정보,
『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online , 국립문화재연구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