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탑비문 작업노트

"강릉 보현사 낭원대사탑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참고문헌)
(참고문헌)
 
(사용자 6명의 중간 판 4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탑비정보
 
{{탑비정보
|사진=
+
|사진=BHST Bohyeonsa nangwonstele1.jpg
 
|사진출처=
 
|사진출처=
 
|대표명칭= 강릉 보현사 낭원대사탑비
 
|대표명칭= 강릉 보현사 낭원대사탑비
 
|영문명칭= Stele for Buddhist Monk Nangwon at Bohyeonsa Temple, Gangneung
 
|영문명칭= Stele for Buddhist Monk Nangwon at Bohyeonsa Temple, Gangneung
 
|한자= 江陵 普賢寺 朗圓大師塔碑
 
|한자= 江陵 普賢寺 朗圓大師塔碑
|이칭= 고려국명주보현산지장선원낭원대사오진탑비
+
|이칭= 보현사 낭원대사 오진탑비(普賢寺 朗圓大師 悟眞塔碑)
 
|지정번호= 보물 제192호
 
|지정번호= 보물 제192호
 
|지정일= 1963년 1월 21일  
 
|지정일= 1963년 1월 21일  
11번째 줄: 11번째 줄:
 
|위도= 37.736649
 
|위도= 37.736649
 
|경도= 128.769527
 
|경도= 128.769527
|찬자= [[최인연|최언위(崔彦僞)]]
+
|찬자= [[최언위|최언위(崔彦撝)]]
 
|서자= [[구족달|구족달(仇足達)]]  
 
|서자= [[구족달|구족달(仇足達)]]  
|각자= [[임윤문|임문윤(任文尹)]]
+
|각자= [[임문윤|임문윤(任文尹)]]
 
|서체= [[해서|해서(楷書)]]
 
|서체= [[해서|해서(楷書)]]
 
|승려= [[개청|개청(開淸)]]
 
|승려= [[개청|개청(開淸)]]
22번째 줄: 22번째 줄:
  
 
=='''정의'''==
 
=='''정의'''==
강원도 강릉시 성산면 [[강릉 보현사|보현사(普賢寺)]]에 있는 고려시대의 승려 [[개청|낭원대사 개청(朗圓大師 開淸, 835-930)]]의 탑비.
+
강원도 강릉시 성산면 [[강릉 보현사|보현사(普賢寺)]]에 있는 고려시대의 승려 [[개청|낭원대사 개청(朗圓大師 開淸, 835-930)]]의 [[탑비]].
  
 
=='''내용'''==
 
=='''내용'''==
===개요===
+
===개요===  
+
이 비는 보물 제192호로 비신 높이 188㎝, 너비 98㎝, 두께 20㎝이다.<ref>선주선,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3610 강릉 보현사 낭원대사탑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이 비는 보물 제192호로 비신 높이 188㎝, 너비 98㎝, 두께 20㎝이며,<ref>선주선,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3610 강릉 보현사 낭원대사탑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강릉 보현사|보현사(普賢寺)]]에 있는 신라말 고려초의 선사 [[개청|낭원대사 개청(朗圓大師 開淸)]]의 것이다.<ref>"[http://gsm.nricp.go.kr/_third/user/frame.jsp?View=search&No=4&ksmno=3098 보현사낭원대사오진탑비]", 금석문세부정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sup>online</sup></online></html>, 국립문화재연구원.</ref>
 
  
문인 [[최인연|최언위(崔彦撝)]]가 짓고, [[구족달|구족달(仇足達)]]이 글자 크기 2㎝ 정도의 [[해서|해서(楷書)]]로 쓰고 [[임문윤|임문윤(任文尹)]]이 새겨서 대사가 입적한 10년 후인 940년([[고려 태조|태조]] 23)에 세웠다.<ref>"[http://gsm.nricp.go.kr/_third/user/frame.jsp?View=search&No=4&ksmno=3098 보현사낭원대사오진탑비]", 금석문세부정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sup>online</sup></online></html>, 국립문화재연구원.</ref> 비의 원래 이름은 ‘고려국명주보현산지장선원낭원대사오진탑비’이다.<ref>선주선,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3610 강릉 보현사 낭원대사탑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귀부|귀부(龜趺)]] 위로 비신을 세우고 [[이수|이수(螭首)]]를 올린 모습이다. 용의 머리를 갖춘 [[귀부]] 등에 6각의 벌집 모양이 채워져 있고, 중앙에는 구름무늬로 장식한 높은 비좌(碑座:비를 꽂아두는 부분)가 마련되어 있다. [[이수]]는 밑면에 연꽃을 새기고 그 위로 여의주를 다투는 두 마리의 용을 힘차게 조각해 놓았다. 꼭대기에는 엎어놓은 그릇모양의 장식과 바퀴모양의 장식을 갖추고, 화염에 싸인 연꽃봉오리모양의 장식을 얹고 있어 특이한 모습이다.<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2&VdkVgwKey=12,01920000,32 강릉 보현사 낭원대사탑비]",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
 
 +
비문은 문인 [[최언위|최언위(崔彦撝)]]가 짓고, [[구족달|구족달(仇足達)]]이 글자 크기 2㎝ 정도의 [[해서|해서(楷書)]]로 썼으며, [[임문윤|임문윤(任文尹)]]이 새겨서 대사가 입적한 10년 후인 940년([[고려 태조|태조]] 23)에 세웠다.<ref>"[http://gsm.nricp.go.kr/_third/user/frame.jsp?View=search&No=4&ksmno=3098 보현사낭원대사오진탑비]", 금석문세부정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sup>online</sup></online></html>, 국립문화재연구소.</ref> 비제(碑題)<ref>비석의 제목</ref>는 '고려국명주보현산지장선원낭원대사오진탑비(高麗國溟洲普賢山地藏禪院朗圓大師悟眞塔碑)'이다.<ref>선주선,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3610 강릉 보현사 낭원대사탑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1963년에 보물 제192호로 지정되었다.
  
 
===비문===
 
===비문===
 
====전면====
 
====전면====
 
+
비문에는 [[개청|낭원대사 개청(朗圓大師 開淸, 835-930)]]의 가계와 탄생, 출가와 수행, 교화와 입적에 이르는 생애를 차례로 기술하였다. 그는 [[화엄종|화엄종(華嚴宗)]]에서 출가하여 [[구산선문|구산선문(九山禪門)]]의 하나인 [[강릉 굴산사지|굴산사(堀山寺)]]에서 [[범일|범일(梵日)]]의 제자가 되었다. 이후 선사가 되고 지방세력의 지원으로 새로 [[강릉 보현사|보현사(普賢寺)]]를 개창하고, 한편으로는 [[신라 경애왕|경애왕]]으로부터 [[국사|국사(國師)]]로 대우받은 신라말 선승이다. 비문은 해당 시기 선승의 활동상을 잘 보여주는 자료이다.<ref>"[http://gsm.nricp.go.kr/_third/user/frame.jsp?View=search&No=4&ksmno=3098 보현사낭원대사오진탑비]", 금석문세부정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sup>online</sup></online></html>, 국립문화재연구소.</ref>
비문에는 대사의 가계와 탄생, 출가와 수행, 교화와 입적에 이르는 생애를 차례로 기술하였다. 화엄종에서 출가하여 [[구산선문|구산선문(九山禪門)]]의 하나인 [[강릉 굴산사지|굴산사(堀山寺)]]에서 [[범일|범일(梵日)]]의 제자가 되어 선사가 되고 지방세력의 지원으로 새로 [[강릉 보현사|보현사(普賢寺)]]를 개창하고, 한편으로는 [[신라 경애왕|경애왕]]으로부터 국사로 대우받은 신라말 선승의 활동상을 잘 보여주는 자료이다.<ref>"[http://gsm.nricp.go.kr/_third/user/frame.jsp?View=search&No=4&ksmno=3098 보현사낭원대사오진탑비]", 금석문세부정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sup>online</sup></online></html>, 국립문화재연구원.</ref>
 
  
 
====후면====
 
====후면====
후면에는 사직(寺職) 승려와 명주지방의 지방 세력을 들고 있어 신라말 고려초 지방 세력 동향을 파악하는 자료가 되기도 한다.<ref>"[http://gsm.nricp.go.kr/_third/user/frame.jsp?View=search&No=4&ksmno=3098 보현사낭원대사오진탑비]", 금석문세부정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sup>online</sup></online></html>, 국립문화재연구원.</ref>
+
후면에는 사직(寺職) 승려와 명주 지방의 지방 세력을 들고 있어 신라 말 고려 초 지방 세력 동향을 파악하는 자료가 되기도 한다.<ref>"[http://gsm.nricp.go.kr/_third/user/frame.jsp?View=search&No=4&ksmno=3098 보현사낭원대사오진탑비]", 금석문세부정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sup>online</sup></online></html>, 국립문화재연구소.</ref>
 +
{{비문정보
 +
|비문1="[https://portal.nrich.go.kr/kor/ksmUsrView.do?menuIdx=584&ksm_idx=3098 강릉 보현사 낭원대사탑비]", 금석문,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유산 지식이음』<sup>online</sup></online></html>, 국립문화재연구원.
 +
|비문2=
 +
|비문3=
 +
}}
  
=='''지식관계망'''==
+
=='''지식 관계망'''==
"그래프 삽입"
+
*'''강릉 보현사 낭원대사탑비 지식관계망'''
 +
<html>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740px" src="https://dh.aks.ac.kr/Encyves/Graph/D041/stele_gaecheong_bohyeonsa.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관련항목===
+
===관계정보===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강릉 보현사 낭원대사탑비]] || [[강릉 보현사]] || A는 B에 있다 ||  
+
| [[강릉 보현사 낭원대사탑비]] || [[강릉 보현사]] || A는 B에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 [[고려 태조|태조]] || [[강릉 보현사 낭원대사탑비]] || A는 B의 이름을 지었다 ||
+
| [[강릉 보현사 낭원대사탑]] || [[강릉 보현사]] || A는 B에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 [[강릉 보현사 낭원대사탑비]] || [[개청]] || A는 B를 위한 비이다 ||  
+
| [[강릉 보현사 낭원대사탑]] || [[고려 태조]] || A는 B가 이름을 지었다 || A dc:contributor B
 
|-
 
|-
| [[강릉 보현사 낭원대사탑비]] || [[최인연|최언위]] ||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  
+
| [[강릉 보현사 낭원대사탑]] || [[개청]] || A는 B를 위한 승탑이다 || A ekc:isStupaOf B
 
|-
 
|-
| [[강릉 보현사 낭원대사탑비 ]] || [[구족달]] || A는 B가 비문을 썼다 ||
+
| [[강릉 보현사 낭원대사탑비]] || [[개청]] || A는 B를 위한 비이다 || A ekc:isSteleOf B
 
|-
 
|-
| [[강릉 보현사 낭원대사탑비 ]] || [[임윤문]] || A는 B가 비문을 새겼다 ||
+
| [[강릉 보현사 낭원대사탑비]] || [[최언위]] ||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 A ekc:writer B
 +
|-
 +
| [[강릉 보현사 낭원대사탑비]] || [[구족달]] || A는 B가 비문을 썼다 || A ekc:calligrapher B
 +
|-
 +
| [[강릉 보현사 낭원대사탑비]] || [[임문윤]] || A는 B가 비문을 새겼다 || A ekc:inscriber B
 
|}
 
|}
  
 
=='''시각자료'''==
 
=='''시각자료'''==
 +
===가상현실===
 +
<html>
 +
<iframe width="100%" height="600" src="https://dh.aks.ac.kr/Encyves/Pavilions/D041/bohyeonsa.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br/>
 +
{{clickable button|[https://dh.aks.ac.kr/encyves/Pavilions/D001/S001/seonamsa.htm 가상 현실 - 전체 화면 보기]}}
  
 
===갤러리===
 
===갤러리===
 
+
<gallery mode=packed heights=200px caption='강릉 굴산사지'>
 +
File:BHST_Bohyeonsa_nangwonstele1.jpg | 강릉 보현사 낭원대사탑비 정면
 +
File:BHST_Bohyeonsa_nangwonstele2.jpg | 강릉 보현사 낭원대사탑비 측면
 +
File:BHST_Bohyeonsa_nangwonstele3.jpg | 강릉 보현사 낭원대사탑비 이수 전면
 +
File:BHST_Bohyeonsa_nangwonstele4.jpg | 강릉 보현사 낭원대사탑비 이수 후면
 +
File:BHST_Bohyeonsa_nangwonstele5.jpg | 강릉 보현사 낭원대사탑비 귀부 전면
 +
File:BHST_Bohyeonsa_nangwonstele6.jpg | 강릉 보현사 낭원대사탑비 귀부 후면
 +
</gallery>
  
 
=='''주석'''==
 
=='''주석'''==
68번째 줄: 94번째 줄:
  
 
=='''참고문헌'''==
 
=='''참고문헌'''==
 +
* 충청북도문화재연구원, 『강원권 문화유산과 그 삶의 이야기』, 문화재청, 2013. 102-103쪽.
 
* 선주선,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3610 강릉 보현사 낭원대사탑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선주선,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3610 강릉 보현사 낭원대사탑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http://gsm.nricp.go.kr/_third/user/frame.jsp?View=search&No=4&ksmno=3098 보현사낭원대사오진탑비]", 금석문세부정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sup>online</sup></online></html>, 국립문화재연구원.
+
*"[https://portal.nrich.go.kr/kor/ksmUsrView.do?menuIdx=584&ksm_idx=3098 강릉 보현사 낭원대사탑비]", 금석문,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유산 지식이음』<sup>online</sup></online></html>, 국립문화재연구원.
 
+
*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2&VdkVgwKey=12,01920000,32 강릉 보현사 낭원대사탑비]",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
  
 
{{승탑비문 Top icon}}
 
{{승탑비문 Top icon}}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분류:탑비]] [[분류:승탑/검토요청]]
+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분류:탑비]]

2024년 4월 11일 (목) 23:14 기준 최신판

강릉 보현사 낭원대사탑비
(江陵 普賢寺 朗圓大師塔碑)
BHST Bohyeonsa nangwonstele1.jpg
대표명칭 강릉 보현사 낭원대사탑비
영문명칭 Stele for Buddhist Monk Nangwon at Bohyeonsa Temple, Gangneung
한자 江陵 普賢寺 朗圓大師塔碑
이칭 보현사 낭원대사 오진탑비(普賢寺 朗圓大師 悟眞塔碑)
주소 강원도 강릉시 성산면 보광리 산542
문화재 지정번호 보물 제192호
문화재 지정일 1963년 1월 21일
찬자 최언위(崔彦撝)
서자 구족달(仇足達)
각자 임문윤(任文尹)
서체 해서(楷書)
승려 개청(開淸)
건립연대 940년
승탑 강릉 보현사 낭원대사탑



정의

강원도 강릉시 성산면 보현사(普賢寺)에 있는 고려시대의 승려 낭원대사 개청(朗圓大師 開淸, 835-930)탑비.

내용

개요

이 비는 보물 제192호로 비신 높이 188㎝, 너비 98㎝, 두께 20㎝이다.[1]

귀부(龜趺) 위로 비신을 세우고 이수(螭首)를 올린 모습이다. 용의 머리를 갖춘 귀부 등에 6각의 벌집 모양이 채워져 있고, 중앙에는 구름무늬로 장식한 높은 비좌(碑座:비를 꽂아두는 부분)가 마련되어 있다. 이수는 밑면에 연꽃을 새기고 그 위로 여의주를 다투는 두 마리의 용을 힘차게 조각해 놓았다. 꼭대기에는 엎어놓은 그릇모양의 장식과 바퀴모양의 장식을 갖추고, 화염에 싸인 연꽃봉오리모양의 장식을 얹고 있어 특이한 모습이다.[2]

비문은 문인 최언위(崔彦撝)가 짓고, 구족달(仇足達)이 글자 크기 2㎝ 정도의 해서(楷書)로 썼으며, 임문윤(任文尹)이 새겨서 대사가 입적한 10년 후인 940년(태조 23)에 세웠다.[3] 비제(碑題)[4]는 '고려국명주보현산지장선원낭원대사오진탑비(高麗國溟洲普賢山地藏禪院朗圓大師悟眞塔碑)'이다.[5] 1963년에 보물 제192호로 지정되었다.

비문

전면

비문에는 낭원대사 개청(朗圓大師 開淸, 835-930)의 가계와 탄생, 출가와 수행, 교화와 입적에 이르는 생애를 차례로 기술하였다. 그는 화엄종(華嚴宗)에서 출가하여 구산선문(九山禪門)의 하나인 굴산사(堀山寺)에서 범일(梵日)의 제자가 되었다. 이후 선사가 되고 지방세력의 지원으로 새로 보현사(普賢寺)를 개창하고, 한편으로는 경애왕으로부터 국사(國師)로 대우받은 신라말 선승이다. 비문은 해당 시기 선승의 활동상을 잘 보여주는 자료이다.[6]

후면

후면에는 사직(寺職) 승려와 명주 지방의 지방 세력을 들고 있어 신라 말 고려 초 지방 세력 동향을 파악하는 자료가 되기도 한다.[7]

비문 보러가기
"강릉 보현사 낭원대사탑비", 금석문, 『국가유산 지식이음』online, 국립문화재연구원.



지식 관계망

  • 강릉 보현사 낭원대사탑비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강릉 보현사 낭원대사탑비 강릉 보현사 A는 B에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강릉 보현사 낭원대사탑 강릉 보현사 A는 B에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강릉 보현사 낭원대사탑 고려 태조 A는 B가 이름을 지었다 A dc:contributor B
강릉 보현사 낭원대사탑 개청 A는 B를 위한 승탑이다 A ekc:isStupaOf B
강릉 보현사 낭원대사탑비 개청 A는 B를 위한 비이다 A ekc:isSteleOf B
강릉 보현사 낭원대사탑비 최언위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A ekc:writer B
강릉 보현사 낭원대사탑비 구족달 A는 B가 비문을 썼다 A ekc:calligrapher B
강릉 보현사 낭원대사탑비 임문윤 A는 B가 비문을 새겼다 A ekc:inscriber B

시각자료

가상현실


가상 현실 - 전체 화면 보기

갤러리

주석

  1. 선주선, "강릉 보현사 낭원대사탑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강릉 보현사 낭원대사탑비",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문화재청.
  3. "보현사낭원대사오진탑비", 금석문세부정보, 『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online, 국립문화재연구소.
  4. 비석의 제목
  5. 선주선, "강릉 보현사 낭원대사탑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6. "보현사낭원대사오진탑비", 금석문세부정보, 『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online, 국립문화재연구소.
  7. "보현사낭원대사오진탑비", 금석문세부정보, 『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online, 국립문화재연구소.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