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탑비문 작업노트

"문경 봉암사 정진대사탑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내용)
(시각자료)
 
(사용자 5명의 중간 판 49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4번째 줄: 14번째 줄:
 
|서자= [[장단열|장단열(張端說)]]
 
|서자= [[장단열|장단열(張端說)]]
 
|각자= [[섬율|섬율(暹律)]]
 
|각자= [[섬율|섬율(暹律)]]
|서체= 해서(楷書)
+
|서체= [[해서|해서(楷書)]]
 
|승려=[[긍양|긍양(兢讓)]]
 
|승려=[[긍양|긍양(兢讓)]]
 +
|건립연대= 965년
 
|승탑=[[문경 봉암사 정진대사탑]]
 
|승탑=[[문경 봉암사 정진대사탑]]
|비문=[[문경 봉암사 정진대사탑비문]]
 
 
}}
 
}}
  
 
=='''정의'''==
 
=='''정의'''==
경상북도 문경시 가은읍 [[문경 봉암사|봉암사(鳳巖寺)]]에 있는 고려시대의 승려 [[긍양|정진대사 긍양(靜眞大師 兢讓, 878-956)]]탑비.
+
경상북도 문경시 가은읍 [[문경 봉암사|봉암사(鳳巖寺)]]에 있는 고려시대의 승려 [[긍양|정진대사 긍양(靜眞大師 兢讓, 878-956)]]의 [[탑비]].
  
 
=='''내용'''==
 
=='''내용'''==
 
===개요===
 
===개요===
보물 제172호. 비신 높이 270㎝, 너비 139㎝, 두께 26㎝. 965년(광종 16)건립되었다. 비신은 청석(靑石)으로 고려 초기의 석비 형식을 따르고 있으며, 세부 표현이 강한 조각 수법이다. 정진대사 긍양(兢讓)은 신라 말·고려 초의 고승으로 성은 왕씨(王氏)이며 900년(효공왕 4) 당나라에 들어가 25년간 유학하고 돌아와 왕의 극진한 예우를 받았다. 고려에서는 태조·혜종·정종을 선문(禪門)에 들게 한 장본인으로, 965년에 입적하자 왕은 시호와 탑명을 내렸다.
+
이 비는 [[문경 봉암사]]있는 신라 말 고려 초의 승려 [[긍양|정진대사 긍양(靜眞大師 兢讓)]]의 것이다. [[이몽유|이몽유(李夢游)]]가 짓고 [[장단열|장단열(長端說)]]이 새겼으며, 글씨는 [[섬율|섬율(暹律)]]이 새겼다.<ref>"[http://gsm.nricp.go.kr/_third/user/frame.jsp?View=search&No=4&ksmno=3112 봉암사정진대사원오탑비]", 금석문세부정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sup>online</sup></online></html>, 국립문화재연구소.</ref> 비문은 정간(井間)<ref>바둑판 따위와 같이, 가로세로로 여러 개의 나란한 금을 그어 ‘井’ 자 모양으로 된 각각의 칸살. "[http://krdic.naver.com/detail.nhn?docid=33516200 정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국어사전』<sup>online</sup></online></html>.</ref>을 쳐서 새겼으며, 모두 53행이고, 각 행은 103자 내외이다. 글씨의 크기는 1.4cm 정도이며 서체는 [[해서|해서(楷書)]]로 구양순체(歐陽詢體)이다.<ref>임세권, 『한국금석문집성 2: 고려4 비문4』, 한국국학진흥원, 2014. 온라인 참조: "[http://viewer.dbpia.co.kr/viewer.do?page=1&systemCode=&documentId=10001&serviceName=krpia 한국금석문집성 20]", 한국금석문집성 20: 고려4 비문4, <html><online style="color:purple">『KRpia - 한국의 지식콘텐츠』<sup>online</sup></online></html>, 누리미디어.</ref>
-민백
 
  
봉암사에 자리잡고 있는 고려전기의 탑비로 봉암사를 중흥한 정진대사의 것이다.
+
비의 높이는 2.73m이며, 너비는 1.64m로서 경내에 같이 있는 [[문경 봉암사 지증대사탑비|지증대사탑비(智證大師塔碑)]]와 그 규모가 똑같다.<ref>"[http://gsm.nricp.go.kr/_third/user/frame.jsp?View=search&No=4&ksmno=3112 봉암사정진대사원오탑비]", 금석문세부정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sup>online</sup></online></html>, 국립문화재연구소.</ref>
79세의 나이로 입적하자 왕은 ‘정진’이라는 시호와 ‘원오’라는 탑이름을 내리었다.
 
비는 거북받침돌 위로 비몸을 세우고 머리돌을 올린 모습으로, 거북의 등 중앙에 마련된 비를 꽂아두는 부분이 두드러지게 커 보인다. 꼭대기에는 불꽃무늬에 휩싸인 보주(寶珠:연꽃봉오리모양의 장식)가 또렷하게 조각되어 우뚝 솟아있다.
 
-문화재청
 
  
1963년 1월 21일 보물 제172호로 지정되었다. 높이 2.73m, 너비 l.64m, 두께 0.26m이고, 재료는 화강암이다.
+
[[긍양|대사]]가 79세의 나이로 입적하자 왕은 ‘정진(靜眞)’이라는 시호와 ‘원오(圓悟)’라는 탑이름을 내렸으며,<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2,01720000,37 문경 봉암사 정진대사탑비]",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긍양|대사]]가 입적한 지 9년만인 965년([[고려 광종|광종]] 16)에 비를 세웠다.<ref>"[http://gsm.nricp.go.kr/_third/user/frame.jsp?View=search&No=4&ksmno=3112 봉암사정진대사원오탑비]", 금석문세부정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sup>online</sup></online></html>, 국립문화재연구소.</ref>
정진대사는 통일신라 말에서 고려 초기에 활동한 승려로 왕씨(王氏)이고 속명은 긍양(兢讓:878∼956), 시호는 정진(靜眞), 탑호는 원오(圓悟)이다.
 
고려 초기의 조형적 특색을 지닌 비로서, 965년(광종 16) 무렵에 세워졌다. 귀부(龜趺)와 이수(螭首)의 형식은 일반적인 방식이나 비좌(碑座)가 두드러지게 커졌고, 정상의 화염보주(火焰寶珠)는 뚜렷하게 조출(彫出)되어 있는데 이는 다른 예에서도 볼 수 있는 형식이다. 귀부와 이수의 조형은 매우 간략해졌고 조법(彫法)은 퇴화하였다. 비문(碑文)은 당대의 문장가 이몽유(李夢游)가 지었고 글씨는 장단열(張端說)이 썼다. 봉암사를 중흥한 정진대사의 부도탑비(浮屠塔碑)로 고려 초기의 조형미를 잘 나타낸 석비이다. -두산백과
 
  
봉암사에 있는 신라말 고려초의 선사 정진대사 긍양[靜眞大師 兢讓, 878(헌강왕 4)~956(광종 6)]의 비. 이몽유(李夢游)가 짓고 장단열(長端說)이 비면에 정간(井間)을 치고 구양순체의 해서로 써서 섬율(暹律)이 새겨 대사가 입적한 지 9년만인 965년(광종 16년)에 세웠다. 귀부와 이수, 비신을 갖춘 양식으로 보존 상태는 양호하며 53행에 1행 103자의 구조로 된 큰 비이다. 보물 제172호로 지정되었으며 보물 제171호로 지정된 대사의 사리탑과 나란히 있다.  
+
비는 [[귀부|귀부(龜趺)]] 위로 비몸을 세우고 [[이수|이수(螭首)]]를 올린 모습으로, 거북의 등 중앙에 비를 꽂아두는 부분이 두드러지게 커 보인다. 꼭대기에는 불꽃무늬에 휩싸인 보주가 또렷하게 조각되어 우뚝 솟아있다.<ref>임세권, 『한국금석문집성 2: 고려4 비문4』, 한국국학진흥원, 2014. 온라인 참조: "[http://viewer.dbpia.co.kr/viewer.do?page=1&systemCode=&documentId=10001&serviceName=krpia 한국금석문집성 20]", 한국금석문집성 20: 고려4 비문4, <html><online style="color:purple">『KRpia - 한국의 지식콘텐츠』<sup>online</sup></online></html>, 누리미디어.</ref>
-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
 
  
 
===비문===
 
===비문===
귀부와 이수의 형식의 형식은 일반적인 방식을 취했으나 비좌가 두드러지게 튼 특색이다. 그리고 정상에 화염보주가 또렷하게 조각되어 있다. 비의 높이는 2.73m이며, 너비는 1.64m로서 경내에 같이 있는 지증대사적조탑비와 그 규모가 똑같다.
+
비문에 따르면 [[긍양|정진대사]]는 태어나 출가하여 [[양부|양부(楊孚)]]에게서 배운 뒤 중국에 가서 [[도연|도연(道緣)]]을 만나고 귀국 후에는 [[광주 백암사|백암사(伯巖寺)]]와 [[문경 봉암사|봉암사(鳳巖寺)]]에서 활동하였다. [[고려 태조|태조]]가 후삼국을 통일한 후 스스로 개경에 가서 만나고 [[고려 혜종|혜종]]·[[고려 정종|정종]]으로부터 대우를 받았다. [[고려 광종|광종]]은 [[긍양|대사]]를 궁중에 초청하여 재를 베풀고 호를 내렸고 이후 [[긍양|정진대사]]는 [[문경 봉암사|봉암사]]에 물러나 입적하였다.<ref>"[http://gsm.nricp.go.kr/_third/user/frame.jsp?View=search&No=4&ksmno=3112 봉암사정진대사원오탑비]", 금석문세부정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sup>online</sup></online></html>, 국립문화재연구소.</ref>
비는 거북받침돌 위로 비몸을 세우고 머리돌을 올린 모습으로, 거북의 등 중앙에 마연된 비를 꽂아두는 부분이 두드러지게 커 보인다. 꼭대기에는 불꽃무늬에 휩싸인 보주가 또렷하게 조각되어 우뚝 솟아있으나, 전체적인 조형이 간략화되었으며 조각기법이 퇴화하였다. 비문은 당대의 문장가 이몽유(李夢游)가 짓고, 명필 장단설(張端說)이 글씨를 썼으며, 글씨를 새기는 일은 섬율(暹律)이 하였다.
 
965년 ([[고려 광종|광종]] 16)5월 21일 건립되었으며, 규모는 높이 271.2cm, 폭 163.6cm로 비문은 모두 53행이고 각행 103자 내외이다. 글씨의 크기는 1.4cm 정도이며 서체는 해서로 구양순체이다. 비문은 크게 서(序)와 명(銘) 부분으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서에서는 정진대사에 대한 대략적인 소개와 가계의 탄생연기, 출가·수행의 경력, 중국으로의 유학, 귀국 및 교화 입적과 입비 과정 등의 순서로 기록되어 있다. -한국금석문집성
 
  
내용은 정진대사가 태어나 출가하고 양부(楊孚)선사에게서 수학한 후 중국에 가서 도연(道緣)을 만나고 귀국한 후 백암사와 봉암사에서 활동하며 태조가 후삼국을 통일한 후 스스로 개경에 가서 만나고 혜종·정종으로부터 대우를 받으며 광종은 궁중에 초청하여 재를 베풀고 호를 내렸고 이후 대사는 봉암사에 물러나 입적한 생애를 기술하였다. 정종이 새로 펴낸 60『화엄경』8질을 대사에게 보낼 정도로 교학에도 유연한 태도를 지녔던 선풍을 보여준다. -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
+
한편, 비문 중에는 '聖朝光德二年(성조광덕이년)'<ref>광덕(光德)은 949년에 광종이 즉위하면서 세운 연호이고, 광덕 2년은 951년이다.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5079 광덕]",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7년 3월 10일.</ref>이라는 문구가 있어 고려시대 연호 연구의 귀중한 자료로 평가된다.<ref>김세호,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3957 문경 봉암사 정진대사탑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한편, 비문 중에는 ‘聖朝光德二年(성조광덕이년)’이라는 문구가 있어 고려시대 연호 연구의 귀중한 자료로 평가된다.- 민백
+
{{비문정보
 +
|비문1=임세권, 『한국금석문집성 20: 고려4 비문4』, 한국국학진흥원, 2014. 온라인 참조: "[http://www.krpia.co.kr/product/main?plctId=PLCT00006041 한국금석문집성 20: 고려4 비문4]", <html><online style="color:purple">『KRpia - 한국의 지식콘텐츠』<sup>online</sup></online></html>, 누리미디어.
 +
|비문2="[http://gsm.nricp.go.kr/_third/user/frame.jsp?View=search&No=4&ksmno=3112 봉암사정진대사원오탑비]", 금석문세부정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sup>online</sup></online></html>, 국립문화재연구소.
 +
|비문3=
 +
}}
  
=='''지식관계망'''==
+
=='''지식 관계망'''==
"그래프 삽입"
+
*'''문경 봉암사 정진대사탑비 지식관계망'''
 +
<html>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D047/stele_jeongjin_bongamsa.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관련항목===
+
===관계정보===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문경 봉암사 정진대사탑비]] ||  || A는 B에 있다 ||
+
| [[문경 봉암사 정진대사탑비]] || [[문경 봉암사]] || A는 B에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 [[문경 봉암사 정진대사탑비]] || A는 B의 이름을 지었다 ||
 
|-
 
| [[문경 봉암사 정진대사탑비]] ||  || A는 B를 위한 비이다 ||  
 
 
|-
 
|-
| [[문경 봉암사 정진대사탑비]] || ||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  
+
| [[문경 봉암사 정진대사탑비]] || [[고려 광종]] || A는 B가 이름을 지었다 || A dc:contributor B
 
|-
 
|-
| [[문경 봉암사 정진대사탑비]] || || A는 B가 비문을 썼다 ||
+
| [[문경 봉암사 정진대사탑비]] || [[긍양]] || A는 B를 위한 비이다 || A ekc:isSteleOf B
 
|-
 
|-
| [[문경 봉암사 정진대사탑비]] || || A는 B가 비문을 새겼다 ||
+
| [[문경 봉암사 정진대사탑비]] || [[이몽유]] ||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 A ekc:writer B
 
|-
 
|-
| [[문경 봉암사 정진대사탑비]] || || A는 B와 관련있다 ||  
+
| [[문경 봉암사 정진대사탑비]] || [[장단열]] || A는 B가 비문을 썼다 || A ekc:calligrapher B
 
|-
 
|-
 +
| [[문경 봉암사 정진대사탑비]] || [[섬율]] || A는 B가 비문을 새겼다 || A ekc:inscriber B
 
|}
 
|}
  
 
=='''시각자료'''==
 
=='''시각자료'''==
 +
===가상현실===
 +
<html>
 +
<iframe width="100%" height="600" src="http://dh.aks.ac.kr/Encyves/Pavilions/D047/Bongamsa.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br/>
 +
{{clickable button|[http://dh.aks.ac.kr/Encyves/Pavilions/D047/Bongamsa.htm 가상 현실 - 전체 화면 보기]}}
 +
  
 
===갤러리===
 
===갤러리===
 
+
<gallery mode=packed heights=250px>
 +
파일:
 +
</gallery>
  
 
=='''주석'''==
 
=='''주석'''==
81번째 줄: 86번째 줄:
  
 
=='''참고문헌'''==
 
=='''참고문헌'''==
 
+
* 김세호,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3957 문경 봉암사 정진대사탑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임세권, 『한국금석문집성 20: 고려4 비문4』, 한국국학진흥원, 2014. 온라인 참조: "[http://viewer.dbpia.co.kr/viewer.do?page=1&systemCode=&documentId=10001&serviceName=krpia 한국금석문집성 20]", 한국금석문집성 20: 고려4 비문4, <html><online style="color:purple">『KRpia - 한국의 지식콘텐츠』<sup>online</sup></online></html>, 누리미디어.
 +
* "[http://gsm.nricp.go.kr/_third/user/frame.jsp?View=search&No=4&ksmno=3112 봉암사정진대사원오탑비]", 금석문세부정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sup>online</sup></online></html>, 국립문화재연구소.
 +
*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2,01720000,37 문경 봉암사 정진대사탑비]",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
  
 
{{승탑비문 Top icon}}
 
{{승탑비문 Top icon}}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분류:탑비]]
+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분류:탑비]] [[분류:승탑/교열완료]]

2017년 12월 21일 (목) 14:14 기준 최신판

문경 봉암사 정진대사탑비
(聞慶 鳳巖寺 靜眞大師塔碑)
BHST Stele.png
대표명칭 문경 봉암사 정진대사탑비
영문명칭 Stele for Buddhist Monk Jeongjin at Bongamsa Temple, Mungyeong
한자 聞慶 鳳巖寺 靜眞大師塔碑
이칭 봉암사 정진대사 원오탑비
주소 경상북도 문경시 가은읍 원북리 485
문화재 지정번호 보물 제172호
문화재 지정일 1963년 1월 21일
찬자 이몽유(李蒙游)
서자 장단열(張端說)
각자 섬율(暹律)
서체 해서(楷書)
승려 긍양(兢讓)
건립연대 965년
승탑 문경 봉암사 정진대사탑



정의

경상북도 문경시 가은읍 봉암사(鳳巖寺)에 있는 고려시대의 승려 정진대사 긍양(靜眞大師 兢讓, 878-956)탑비.

내용

개요

이 비는 문경 봉암사에 있는 신라 말 고려 초의 승려 정진대사 긍양(靜眞大師 兢讓)의 것이다. 이몽유(李夢游)가 짓고 장단열(長端說)이 새겼으며, 글씨는 섬율(暹律)이 새겼다.[1] 비문은 정간(井間)[2]을 쳐서 새겼으며, 모두 53행이고, 각 행은 103자 내외이다. 글씨의 크기는 1.4cm 정도이며 서체는 해서(楷書)로 구양순체(歐陽詢體)이다.[3]

비의 높이는 2.73m이며, 너비는 1.64m로서 경내에 같이 있는 지증대사탑비(智證大師塔碑)와 그 규모가 똑같다.[4]

대사가 79세의 나이로 입적하자 왕은 ‘정진(靜眞)’이라는 시호와 ‘원오(圓悟)’라는 탑이름을 내렸으며,[5] 대사가 입적한 지 9년만인 965년(광종 16)에 비를 세웠다.[6]

비는 귀부(龜趺) 위로 비몸을 세우고 이수(螭首)를 올린 모습으로, 거북의 등 중앙에 비를 꽂아두는 부분이 두드러지게 커 보인다. 꼭대기에는 불꽃무늬에 휩싸인 보주가 또렷하게 조각되어 우뚝 솟아있다.[7]

비문

비문에 따르면 정진대사는 태어나 출가하여 양부(楊孚)에게서 배운 뒤 중국에 가서 도연(道緣)을 만나고 귀국 후에는 백암사(伯巖寺)봉암사(鳳巖寺)에서 활동하였다. 태조가 후삼국을 통일한 후 스스로 개경에 가서 만나고 혜종·정종으로부터 대우를 받았다. 광종대사를 궁중에 초청하여 재를 베풀고 호를 내렸고 이후 정진대사봉암사에 물러나 입적하였다.[8]

한편, 비문 중에는 '聖朝光德二年(성조광덕이년)'[9]이라는 문구가 있어 고려시대 연호 연구의 귀중한 자료로 평가된다.[10]


비문 보러가기
임세권, 『한국금석문집성 20: 고려4 비문4』, 한국국학진흥원, 2014. 온라인 참조: "한국금석문집성 20: 고려4 비문4", 『KRpia - 한국의 지식콘텐츠』online, 누리미디어.
"봉암사정진대사원오탑비", 금석문세부정보, 『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online, 국립문화재연구소.



지식 관계망

  • 문경 봉암사 정진대사탑비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문경 봉암사 정진대사탑비 문경 봉암사 A는 B에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문경 봉암사 정진대사탑비 고려 광종 A는 B가 이름을 지었다 A dc:contributor B
문경 봉암사 정진대사탑비 긍양 A는 B를 위한 비이다 A ekc:isSteleOf B
문경 봉암사 정진대사탑비 이몽유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A ekc:writer B
문경 봉암사 정진대사탑비 장단열 A는 B가 비문을 썼다 A ekc:calligrapher B
문경 봉암사 정진대사탑비 섬율 A는 B가 비문을 새겼다 A ekc:inscriber B

시각자료

가상현실


가상 현실 - 전체 화면 보기


갤러리

주석

  1. "봉암사정진대사원오탑비", 금석문세부정보, 『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online, 국립문화재연구소.
  2. 바둑판 따위와 같이, 가로세로로 여러 개의 나란한 금을 그어 ‘井’ 자 모양으로 된 각각의 칸살. "정간", 『네이버 국어사전』online.
  3. 임세권, 『한국금석문집성 2: 고려4 비문4』, 한국국학진흥원, 2014. 온라인 참조: "한국금석문집성 20", 한국금석문집성 20: 고려4 비문4, 『KRpia - 한국의 지식콘텐츠』online, 누리미디어.
  4. "봉암사정진대사원오탑비", 금석문세부정보, 『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online, 국립문화재연구소.
  5. "문경 봉암사 정진대사탑비",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문화재청.
  6. "봉암사정진대사원오탑비", 금석문세부정보, 『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online, 국립문화재연구소.
  7. 임세권, 『한국금석문집성 2: 고려4 비문4』, 한국국학진흥원, 2014. 온라인 참조: "한국금석문집성 20", 한국금석문집성 20: 고려4 비문4, 『KRpia - 한국의 지식콘텐츠』online, 누리미디어.
  8. "봉암사정진대사원오탑비", 금석문세부정보, 『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online, 국립문화재연구소.
  9. 광덕(光德)은 949년에 광종이 즉위하면서 세운 연호이고, 광덕 2년은 951년이다. "광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7년 3월 10일.
  10. 김세호, "문경 봉암사 정진대사탑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