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조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Monica-jang (토론 | 기여) (새 문서: {{궁중기록화관 Top icon}} {{복식정보 |이미지= |사진출처= |대표명칭= 세조대 |한자표기= 細絛帶 |이칭별칭= 세조아, 사대, 조대 |복식구분=...) |
(→정의) |
||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8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궁중기록화관 Top icon}} | {{궁중기록화관 Top icon}} | ||
{{복식정보 | {{복식정보 | ||
− | | | + | |사진= 궁중기록화 복식 세조대01 중앙박물관.jpg |
− | |사진출처= | + | |사진출처= 국립중앙박물관(http://www.museum.go.kr/) 소장 |
|대표명칭= 세조대 | |대표명칭= 세조대 | ||
|한자표기= 細絛帶 | |한자표기= 細絛帶 | ||
− | |이칭별칭= 세조아, 사대, 조대 | + | |이칭별칭= 세조아(細條兒), 사대(絲帶), 조대(條帶) |
− | | | + | |구분= 대 |
− | |착용신분= [[왕]], [[왕세자]], [[왕세손]], [[ | + | |착용신분= [[황제]], [[왕]], [[황태자]], [[왕세자]], [[왕세손]], [[백관]] |
|착용성별= 남성 | |착용성별= 남성 | ||
− | |||
− | |||
}} | }} | ||
− | ==정의== | + | =='''정의'''== |
− | + | 조선의 [[왕]], [[왕세자]], [[왕세손]]과 [[백관]] 등이 [[도포]], [[창의]] 등 포(袍)를 입을 때 착용하는 끈이다.<ref>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446~447쪽.</ref> | |
− | |||
− | ==내용== | + | =='''내용'''== |
− | + | 실을 엮어 1cm 미만으로 가늘게 짜고, 끝에 딸기술이나 봉술을 매달아서 마무리를 한다. [[광다회]]에 비해 얇고 좁으므로 [[세조대|세조대(細條帶)]]라 한다. 품계에 따라 색상을 달리 하였는데 [[경국대전|『경국대전』]]에 따르면 1품에서 3품은 홍조아(紅條兒)를, 4품에서 9품은 청조아(紅條兒)를 띠도록 하였다. 또한 『고종실록』 1884년(고종 21)에는 당상관의 띠는 홍색과 자색, 당하관은 청색과 녹색, 유생은 혁대를 사용하도록 한 기록이 있다. 그러나 이 밖에도 수많은 색이 있어 제도를 떠나 자유롭게 선택하여 사용하였다.<ref>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446~447쪽.</ref> | |
− | |||
− | [[ | ||
− | == | + | =='''지식 관계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관계정보=== | ===관계정보=== | ||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 | !항목A!!항목B!!관계 | +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 | ||
+ | | [[황제]] || 세조대 || A는 B를 착용하였다 || A ekc:wears B | ||
+ | |- | ||
+ | | [[황태자]] || 세조대 || A는 B를 착용하였다 || A ekc:wears B | ||
+ | |- | ||
+ | | [[왕]] || 세조대 || A는 B를 착용하였다 || A ekc:wears B | ||
+ | |- | ||
+ | | [[왕세자]] || 세조대 || A는 B를 착용하였다 || A ekc:wears B | ||
+ | |- | ||
+ | | [[백관]] || 세조대 || A는 B를 착용하였다 || A ekc:wears B | ||
+ | |- | ||
+ | | [[황제의 편복]] || 세조대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 A dcterms:hasPart B | ||
|- | |- | ||
− | + | | [[황태자의 편복]] || 세조대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 A dcterms:hasPart B | |
|- | |- | ||
− | + | | [[왕의 편복]] || 세조대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 A dcterms:hasPart B | |
|- | |- | ||
− | + | | [[왕세자의 편복]] || 세조대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 A dcterms:hasPart B | |
|- | |- | ||
− | + | | [[백관의 편복]] || 세조대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 A dcterms:hasPart B | |
|- | |- | ||
− | | | + | | 세조대 || [[창의]] || A는 B와 같이 착용하였다 || A ekc:goesWith B |
|} | |} | ||
+ | |||
===시간정보=== | ===시간정보=== | ||
===공간정보=== | ===공간정보=== | ||
− | ==시각자료== | + | =='''시각자료'''== |
===갤러리=== | ===갤러리=== | ||
<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250px> | <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250px> | ||
+ | 파일:궁중기록화 복식 세조대02 중앙박물관.jpg | 조선시대의 세조대.<ref>국립중앙박물관(http://www.museum.go.kr/) 소장.</ref> | ||
</gallery> | </gallery> | ||
===영상=== | ===영상=== | ||
− | ==주석== | + | =='''주석'''== |
<references/> | <references/> | ||
− | ==참고문헌== | + | =='''참고문헌'''== |
===인용 및 참조=== | ===인용 및 참조=== | ||
− | + | * 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 |
− | + | * 高福男, 「우리나라 服飾中 帶의 硏究」, 『대한가정학회지』 제14권 1호, 대한가정학회, 1976. | |
− | + | * 김시재, 「조선시대 조대(條帶)의 형태적 특징과 제작법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 |
− | + | * 김시재ㆍ조우현, 「조선시대 조대(條帶)의 형태적 특징과 제작법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학술대회논문집, 한국의류학회, 2008. | |
+ | * 임금희, 「조선시대 綾組織 廣多繪의 복원연구-新羅組·高麗組 기법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 ||
[[분류:궁중기록화]] | [[분류:궁중기록화]] | ||
[[분류:복식]] | [[분류:복식]] |
2017년 12월 18일 (월) 23:58 기준 최신판
세조대 (細絛帶) |
|
대표명칭 | 세조대 |
---|---|
한자표기 | 細絛帶 |
이칭별칭 | 세조아(細條兒), 사대(絲帶), 조대(條帶) |
구분 | 대 |
착용신분 | 황제, 왕, 황태자, 왕세자, 왕세손, 백관 |
착용성별 | 남성 |
정의
조선의 왕, 왕세자, 왕세손과 백관 등이 도포, 창의 등 포(袍)를 입을 때 착용하는 끈이다.[1]
내용
실을 엮어 1cm 미만으로 가늘게 짜고, 끝에 딸기술이나 봉술을 매달아서 마무리를 한다. 광다회에 비해 얇고 좁으므로 세조대(細條帶)라 한다. 품계에 따라 색상을 달리 하였는데 『경국대전』에 따르면 1품에서 3품은 홍조아(紅條兒)를, 4품에서 9품은 청조아(紅條兒)를 띠도록 하였다. 또한 『고종실록』 1884년(고종 21)에는 당상관의 띠는 홍색과 자색, 당하관은 청색과 녹색, 유생은 혁대를 사용하도록 한 기록이 있다. 그러나 이 밖에도 수많은 색이 있어 제도를 떠나 자유롭게 선택하여 사용하였다.[2]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황제 | 세조대 | A는 B를 착용하였다 | A ekc:wears B |
황태자 | 세조대 | A는 B를 착용하였다 | A ekc:wears B |
왕 | 세조대 | A는 B를 착용하였다 | A ekc:wears B |
왕세자 | 세조대 | A는 B를 착용하였다 | A ekc:wears B |
백관 | 세조대 | A는 B를 착용하였다 | A ekc:wears B |
황제의 편복 | 세조대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 A dcterms:hasPart B |
황태자의 편복 | 세조대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 A dcterms:hasPart B |
왕의 편복 | 세조대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 A dcterms:hasPart B |
왕세자의 편복 | 세조대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 A dcterms:hasPart B |
백관의 편복 | 세조대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 A dcterms:hasPart B |
세조대 | 창의 | A는 B와 같이 착용하였다 | A ekc:goesWith B |
시간정보
공간정보
시각자료
갤러리
조선시대의 세조대.[3]
영상
주석
- ↑ 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446~447쪽.
- ↑ 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446~447쪽.
- ↑ 국립중앙박물관(http://www.museum.go.kr/) 소장.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 高福男, 「우리나라 服飾中 帶의 硏究」, 『대한가정학회지』 제14권 1호, 대한가정학회, 1976.
- 김시재, 「조선시대 조대(條帶)의 형태적 특징과 제작법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 김시재ㆍ조우현, 「조선시대 조대(條帶)의 형태적 특징과 제작법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학술대회논문집, 한국의류학회, 2008.
- 임금희, 「조선시대 綾組織 廣多繪의 복원연구-新羅組·高麗組 기법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