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주 회암사지 선각왕사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비문) |
(→시각자료) |
||
(사용자 6명의 중간 판 6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6번째 줄: | 16번째 줄: | ||
|서체=예서(隷書) | |서체=예서(隷書) | ||
|승려=[[나옹|나옹(懶翁)]] | |승려=[[나옹|나옹(懶翁)]] | ||
− | | | + | |건립연대=1377년 |
− | | | + | |승탑=[[원주 영전사 보제존자사리탑]] |
}} | }} | ||
=='''정의'''== | =='''정의'''== | ||
− | 경기도 양주시 회암동 [[양주 회암사지| | + | 경기도 양주시 회암동 [[양주 회암사지|회암사지(檜巖寺址)]]에 있는 고려시대의 승려 [[나옹|선각왕사 나옹(禪覺王師 懶翁, 1320-1377)]]의 [[탑비]]. |
=='''내용'''== | =='''내용'''== | ||
===개요=== | ===개요=== | ||
− | 높이 3.06m, 너비 1.6m . 양주 회암사지 | + | 높이 3.06m, 너비 1.6m . 양주 회암사지 선각왕사비(楊州 檜巖寺址 禪覺王師碑)는 화강암으로 만들었으며, 형식은 당비(唐碑)의 형식을 닮은 복고풍의 것으로 [[이수|이수(螭首)]]를 별도로 만들지 않았다. 비신(碑身)<ref>비문을 새긴 비석의 몸체</ref> 윗부분에 두 마리의 용을 깊게 조각하고 그 중앙에 [[제액|제액(題額)]]을 만들어‘禪覺王師之碑(선각왕사지비)' 6자를 새겼다.<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5532 양주 회암사지 선각왕사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귀부|귀부(龜趺)]]는 큰 돌을 단순한 조각기법으로 새겨 다소 추상적으로 다루어 놓았으나, [[이수]]에 새겨진 용의 조각은 정갈하면서도 역동적이다.<ref>"[http://www.k-heritage.tv/brd/board/276/L/menu/259?bbIdx=8759&brdType=R 양주 회암사지 선각왕사비]", 작가갤러리,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채널』<sup>online</sup></online></html>, 한국문화재단.</ref> 비문의 글은 [[이색|이색(李穡)]]이 짓고, 글씨는 [[권중화|권중화(權仲和)]]가 썼다. |
+ | |||
+ | 비는 1997년까지 제자리를 지키고 있었지만, 성묘객의 실화로 일어난 산불에 훼손돼 보존처리된 후 [[불교중앙박물관]]에 보관되었다. 원위치에는 [[귀부]]와 함께 모조비가 세워져있다.<ref>행복한 놀부, "[http://yinolbu.blog.me/150027178201?Redirect=Log&from=postView 양주 회암사 선각왕사비 귀부]",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블로그 - 절(터) 찾아 떠나는 여행』<sup>online</sup></online></html>, 작성일: 2007년 12월 9일.</ref> [[나옹]]의 비는 간략한 내용의 [[여주 신륵사 보제존자석종비|신륵사비]]도 있고 [[원주 영전사 보제존자사리탑|영전사 탑지]]로 추정되는 탑지도 있어 비문 자료가 다수이다.<ref>"[http://gsm.nricp.go.kr/_third/user/frame.jsp?View=search&No=4&ksmno=3486 회암사지선각왕사비]", 금석문세부정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sup>online</sup></online></html>, 국립문화재연구소.</ref> 1963년에 보물 제107호로 지정되었다. | ||
===비문=== | ===비문=== | ||
− | 비문의 내용은 일반 비와 달리 [[나옹]]의 생애 마지막 부분에서부터 시작한다. [[나옹]]은 1370년(공민왕 19)에 왕이 행차한 자리에서 [[공부선]]을 주관하고 [[양주 회암사지|회암사]]에 | + | 비문의 내용은 일반 비와 달리 [[나옹]]의 생애 마지막 부분에서부터 시작한다. [[나옹]]은 1370년([[고려 공민왕|공민왕]] 19)에 왕이 행차한 자리에서 [[공부선|공부선(功夫選)]]<ref>고려 공민왕 때 승려에게 실시한 시험.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27582 공부선]",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을 주관하고 [[양주 회암사지|회암사(檜巖寺)]]에 돌아가 [[왕사|왕사(王師)]]로 책봉되었다. 그리고 [[양주 회암사지|회암사]]에서 [[밀양 영원사|영원사(瑩源寺)]]로 이주하도록 왕명을 받고 내려가던 중 [[여주 신륵사|신륵사]]에서 입적하자 [[양주 회암사지|회암사]]로 돌아와 탑을 세우고 사리는 [[여주 신륵사|신륵사]]에 봉안하였다는 이야기로 비문의 내용을 이어가고 있다. [[나옹]]이 입적하는 장면 이후에는 다시 생애 처음으로 돌아가 나서 [[나옹]]이 영해 출신으로 출가하여 수행한다는 내용으로 시작한다. 그 이후로는 [[나옹]]은 중국에 가서 [[지공|지공(指空)]]을 찾아뵙고 [[평산처림|평산처림(平山處林)]]과 문답하여 법을 전수받았으며 고려에 돌아와 오대산에 주석하다 여러 산을 순례 수행하고 [[양주 회암사지|회암사]]에 주석하던 생애를 기술하고 있다.<ref>"[http://gsm.nricp.go.kr/_third/user/frame.jsp?View=search&No=4&ksmno=3486 회암사지선각왕사비]", 금석문세부정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sup>online</sup></online></html>, 국립문화재연구소.</ref> |
===비문의 예서체=== | ===비문의 예서체=== | ||
− | + | 비의 건립 당시는 중국에서도 원나라와 명나라를 통틀어 [[예서|예서(隸書)]]가 쓰이지 않았던 때였기에, 당시 우리나라의 [[예서]] 연구 수준을 짐작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가 된다. 『동국금석평(東國金石評)』에서 “[[나옹]] 비는 팔분서(八分書)<ref>예서 이분쯤과 전서 팔분쯤을 섞어 만든 한자의 글씨체.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5532 양주 회암사지 선각왕사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인데, 매우 정리가 잘되어 있지만 신비로운 글씨체는 아니다”라고 평하였으나, 결구(結句)<ref>문장에서, 특히 긴 편지에서 끝을 맺는 어구. 한시에서 같은 시가의 끝의 구절</ref>도 엄정하고 필력도 씩씩하고 굳세어 예법을 깊이 터득한 것으로서, 중국의 『[[희평석경|희평석경(熹平石經)]]』을 방불케 하는 기념비적인 작품이다.<ref>이도남, "[http://www.grandculture.net/ko/Contents?dataType=99&contents_id=GC04300653 양주 회암사지 선각왕사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 |||
+ | {{비문정보 | ||
+ | |비문1="[http://gsm.nricp.go.kr/_third/user/frame.jsp?View=search&No=4&ksmno=3486 회암사지선각왕사비]", 금석문세부정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sup>online</sup></online></html>, 국립문화재연구소. | ||
+ | |비문3= | ||
+ | }} | ||
=='''지식관계망'''== | =='''지식관계망'''== | ||
− | " | + | *'''여주 신륵사 보제존자석종비와 양주 회암사지 선각왕사비 지식관계망''' |
+ | <html> | ||
+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
+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
+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D005/stele_hyeguen_silleuksa-hoeamsaji.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 | </html> | ||
===관련항목=== | ===관련항목=== | ||
40번째 줄: | 52번째 줄: |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 |- | ||
− | | | + | | [[양주 회암사지 선각왕사비]] || [[이색]] ||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 A ekc:writer B |
+ | |- | ||
+ | | [[양주 회암사지 선각왕사비]] || [[양주 회암사지]] || A는 B에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 | |- | ||
+ | | [[양주 회암사지 선각왕사비]] || [[불교중앙박물관]] || A는 B에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 | |- | ||
+ | | [[양주 회암사지 선각왕사비]] || [[양주 회암사]] || A는 B에 있었다 || A edm:formerLocation B | ||
+ | |- | ||
+ | | [[양주 회암사지]] || [[양주 회암사]] || A는 B의 터이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양주 회암사지 선각왕사비]] || [[권중화]] || A는 B가 비문을 썼다 || A ekc:calligrapher B | ||
+ | |- | ||
+ | | [[여주 신륵사 보제존자석종비]] || [[혜근]] || A는 B를 위한 비이다 || A ekc:isSteleOf B | ||
|- | |- | ||
+ | | [[원주 영전사 보제존자사리탑]] || [[혜근]] || A는 B를 위한 승탑이다 || A ekc:isStupaOf B | ||
|} | |} | ||
− | ==''' | + | =='''시각 자료'''== |
+ | ===가상현실=== | ||
+ | <html> | ||
+ | <iframe width="100%" height="600" src="http://dh.aks.ac.kr/Encyves/Pavilions/D011/hoeamsa.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 | </html><br/> | ||
+ | {{clickable button|[http://dh.aks.ac.kr/Encyves/Pavilions/D011/hoeamsa.htm 가상 현실 - 전체 화면 보기]}} | ||
===갤러리=== | ===갤러리=== | ||
− | |||
=='''주석'''== | =='''주석'''== | ||
53번째 줄: | 82번째 줄: | ||
=='''참고문헌'''== | =='''참고문헌'''== | ||
− | + |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5532 양주 회암사지 선각왕사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 | + | * "[http://www.k-heritage.tv/brd/board/276/L/menu/259?bbIdx=8759&brdType=R 양주 회암사지 선각왕사비]", 작가갤러리,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채널』<sup>online</sup></online></html>, 한국문화재단. | |
+ | * 행복한 놀부, "[http://yinolbu.blog.me/150027178201?Redirect=Log&from=postView 양주 회암사 선각왕사비 귀부]",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블로그 - 절(터) 찾아 떠나는 여행』<sup>online</sup></online></html>, 작성일: 2007년 12월 9일. | ||
+ | * "[http://gsm.nricp.go.kr/_third/user/frame.jsp?View=search&No=4&ksmno=3486 회암사지선각왕사비]", 금석문세부정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sup>online</sup></online></html>, 국립문화재연구소. | ||
+ | * 이도남, "[http://www.grandculture.net/ko/Contents?dataType=99&contents_id=GC04300653 양주 회암사지 선각왕사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승탑비문 Top icon}} | {{승탑비문 Top icon}} | ||
− |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분류:탑비]] | + |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분류:보물]] [[분류:탑비]] [[분류:승탑/교열완료]] |
2017년 12월 21일 (목) 14:06 기준 최신판
양주 회암사지 선각왕사비 (楊州 檜巖寺址 禪覺王師碑) |
|
대표명칭 | 양주 회암사지 선각왕사비 |
---|---|
영문명칭 | Stele for Royal Preceptor Seongak at Hoeamsa Temple Site, Yangju |
한자 | 楊州 檜巖寺址 禪覺王師碑 |
주소 | 경기 양주시 회암동 산8-1번지 회암사(귀부), 서울 종로구 우정국로 55 불교중앙박물관(비신) |
문화재 지정번호 | 보물 제387호 |
문화재 지정일 | 1963년 9월 2일 |
찬자 | 이색(李穡) |
서자 | 권중화(權仲和) |
각자 | 미상 |
서체 | 예서(隷書) |
승려 | 나옹(懶翁) |
건립연대 | 1377년 |
승탑 | 원주 영전사 보제존자사리탑 |
|
정의
경기도 양주시 회암동 회암사지(檜巖寺址)에 있는 고려시대의 승려 선각왕사 나옹(禪覺王師 懶翁, 1320-1377)의 탑비.
내용
개요
높이 3.06m, 너비 1.6m . 양주 회암사지 선각왕사비(楊州 檜巖寺址 禪覺王師碑)는 화강암으로 만들었으며, 형식은 당비(唐碑)의 형식을 닮은 복고풍의 것으로 이수(螭首)를 별도로 만들지 않았다. 비신(碑身)[1] 윗부분에 두 마리의 용을 깊게 조각하고 그 중앙에 제액(題額)을 만들어‘禪覺王師之碑(선각왕사지비)' 6자를 새겼다.[2] 귀부(龜趺)는 큰 돌을 단순한 조각기법으로 새겨 다소 추상적으로 다루어 놓았으나, 이수에 새겨진 용의 조각은 정갈하면서도 역동적이다.[3] 비문의 글은 이색(李穡)이 짓고, 글씨는 권중화(權仲和)가 썼다.
비는 1997년까지 제자리를 지키고 있었지만, 성묘객의 실화로 일어난 산불에 훼손돼 보존처리된 후 불교중앙박물관에 보관되었다. 원위치에는 귀부와 함께 모조비가 세워져있다.[4] 나옹의 비는 간략한 내용의 신륵사비도 있고 영전사 탑지로 추정되는 탑지도 있어 비문 자료가 다수이다.[5] 1963년에 보물 제107호로 지정되었다.
비문
비문의 내용은 일반 비와 달리 나옹의 생애 마지막 부분에서부터 시작한다. 나옹은 1370년(공민왕 19)에 왕이 행차한 자리에서 공부선(功夫選)[6] 을 주관하고 회암사(檜巖寺)에 돌아가 왕사(王師)로 책봉되었다. 그리고 회암사에서 영원사(瑩源寺)로 이주하도록 왕명을 받고 내려가던 중 신륵사에서 입적하자 회암사로 돌아와 탑을 세우고 사리는 신륵사에 봉안하였다는 이야기로 비문의 내용을 이어가고 있다. 나옹이 입적하는 장면 이후에는 다시 생애 처음으로 돌아가 나서 나옹이 영해 출신으로 출가하여 수행한다는 내용으로 시작한다. 그 이후로는 나옹은 중국에 가서 지공(指空)을 찾아뵙고 평산처림(平山處林)과 문답하여 법을 전수받았으며 고려에 돌아와 오대산에 주석하다 여러 산을 순례 수행하고 회암사에 주석하던 생애를 기술하고 있다.[7]
비문의 예서체
비의 건립 당시는 중국에서도 원나라와 명나라를 통틀어 예서(隸書)가 쓰이지 않았던 때였기에, 당시 우리나라의 예서 연구 수준을 짐작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가 된다. 『동국금석평(東國金石評)』에서 “나옹 비는 팔분서(八分書)[8]인데, 매우 정리가 잘되어 있지만 신비로운 글씨체는 아니다”라고 평하였으나, 결구(結句)[9]도 엄정하고 필력도 씩씩하고 굳세어 예법을 깊이 터득한 것으로서, 중국의 『희평석경(熹平石經)』을 방불케 하는 기념비적인 작품이다.[10]
비문 보러가기 |
• "회암사지선각왕사비", 금석문세부정보, |
지식관계망
- 여주 신륵사 보제존자석종비와 양주 회암사지 선각왕사비 지식관계망
관련항목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양주 회암사지 선각왕사비 | 이색 |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 A ekc:writer B |
양주 회암사지 선각왕사비 | 양주 회암사지 | A는 B에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양주 회암사지 선각왕사비 | 불교중앙박물관 | A는 B에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양주 회암사지 선각왕사비 | 양주 회암사 | A는 B에 있었다 | A edm:formerLocation B |
양주 회암사지 | 양주 회암사 | A는 B의 터이다 | A edm:isRelatedTo B |
양주 회암사지 선각왕사비 | 권중화 | A는 B가 비문을 썼다 | A ekc:calligrapher B |
여주 신륵사 보제존자석종비 | 혜근 | A는 B를 위한 비이다 | A ekc:isSteleOf B |
원주 영전사 보제존자사리탑 | 혜근 | A는 B를 위한 승탑이다 | A ekc:isStupaOf B |
시각 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주석
- ↑ 비문을 새긴 비석의 몸체
- ↑ "양주 회암사지 선각왕사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양주 회암사지 선각왕사비", 작가갤러리,
『문화유산채널』online , 한국문화재단. - ↑ 행복한 놀부, "양주 회암사 선각왕사비 귀부",
『네이버 블로그 - 절(터) 찾아 떠나는 여행』online , 작성일: 2007년 12월 9일. - ↑ "회암사지선각왕사비", 금석문세부정보,
『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online , 국립문화재연구소. - ↑ 고려 공민왕 때 승려에게 실시한 시험. "공부선",
『두산백과』online . - ↑ "회암사지선각왕사비", 금석문세부정보,
『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online , 국립문화재연구소. - ↑ 예서 이분쯤과 전서 팔분쯤을 섞어 만든 한자의 글씨체. "양주 회암사지 선각왕사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문장에서, 특히 긴 편지에서 끝을 맺는 어구. 한시에서 같은 시가의 끝의 구절
- ↑ 이도남, "양주 회암사지 선각왕사비",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 "양주 회암사지 선각왕사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양주 회암사지 선각왕사비", 작가갤러리,
『문화유산채널』online , 한국문화재단. - 행복한 놀부, "양주 회암사 선각왕사비 귀부",
『네이버 블로그 - 절(터) 찾아 떠나는 여행』online , 작성일: 2007년 12월 9일. - "회암사지선각왕사비", 금석문세부정보,
『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online , 국립문화재연구소. - 이도남, "양주 회암사지 선각왕사비",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