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기록화관 개관

"김서봉-서울부산간고속도로"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사용자 5명의 중간 판 35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5번째 줄: 5번째 줄:
 
|작가= [[김서봉]]
 
|작가= [[김서봉]]
 
|제작연도= 1973년
 
|제작연도= 1973년
|규격= 300호(197x290.9cm
+
|규격= 300호(197x290.9cm)
|유형= 건설교통
+
|유형= 건설/교통
 
|분류= 유화
 
|분류= 유화
 
|소장처= 미상
 
|소장처= 미상
|필드수=7
+
|필드수=8
 
}}
 
}}
  
 
=='''정의'''==
 
=='''정의'''==
1968년 개통된 서울·인천 간의 [[경인고속도로]]에 이어 한국에서는 두번째로 건설된 [[고속도로]]로 [[고속국도]] 제1호선이다. 제2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기간인 1968년 2월 1일에 착공하여, 1970년 7월 7일에 완공되었으며, 1971년 8월 31일에 노선 이름이 서울부산간 고속도로로 지정되었다. <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2460 경부고속도로]", <html><online style="color:purple"></html>『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html><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최종확인: 2017년 05월 07일.</ref><br/>
+
1970년에 완공된 [[경부고속도로]]를 그린 [[김서봉]]의 민족기록화이다.
  
 
=='''설명'''==
 
=='''설명'''==
 
===작품 소재===
 
===작품 소재===
서울에서 부산을 연결하는 고속도로로, 길이 416㎞, 너비 22.4m, 왕복4-8차선이다. 서울특별시 구간은 11.54㎞, 부산광역시는 7.42㎞, 대구광역시는 26.92㎞, 대전광역시는 19.06㎞, 울산광역시는 27.61㎞, 경기도는 55.78㎞, 충청북도는 88.9㎞, 충청남도는 36.4㎞, 경상북도는 128.48㎞, 경상남도는 23.37㎞이다.
+
서울-부산간 고속도로는 고속국도로서는 우리나라 첫 번째이고, 고속도로로는 [[경인고속도로]]에 이어 두 번째로 건설되었다. [[제2차 경제개발 5개년계획]]기간인 1968년 2월 1일에 착공하여, 1970년 7월 7일에 완공되었으며, 1971년 8월 31일에 노선 이름이 서울-부산간 고속도로로 지정되었다. <ref>박양춘,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2460 경부고속도로]", <html><online style="color:purple"></html>『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html><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br/>
1971년 8월 31일 노선 이름이 서울부산간고속도로(고속국도 1)로 지정되었고, 2002년 5월 1일에 변경된 새로운 구간 체계에 따라 시점과 종점이 바뀌어 현재에 이른다. 금호분기점-동대구 인터체인지 17.25㎞ 구간은 중앙고속도로와 중복되고, 남이분기점-비룡분기점 32.11㎞ 구간은 중부고속도로와 중복된다.
+
서울에서 부산을 연결하는 길이는 총 416㎞, 너비 22.4m이며, 왕복4-8차선이다. 서울특별시 구간은 11.54㎞, 부산광역시는 7.42㎞, 대구광역시는 26.92㎞, 대전광역시는 19.06㎞, 울산광역시는 27.61㎞, 경기도는 55.78㎞, 충청북도는 88.9㎞, 충청남도는 36.4㎞, 경상북도는 128.48㎞, 경상남도는 23.37㎞이다.
1968년 2월 1일 착공하여 1970년 7월 7일 전 구간이 왕복4차선 도로로 준공, 개통된 뒤 1985년 4월부터 1987년 12월까지 남이-회덕 간 21.7㎞ 구간이 중부고속도로가 건설될 때 왕복6차선으로 확장되었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95140 경부고속도로]",  <html><online style="color:purple"></html>『두피디아』<html><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 최종확인: 2017년 05월 07일.</ref><br/>
+
2002년 5월 1일에 변경된 새로운 구간 체계에 따라 시점과 종점이 바뀌어 현재에 이른다. 금호분기점-동대구 인터체인지 17.25㎞ 구간은 [[중앙고속도로]]와 중복되고, 남이분기점-비룡분기점 32.11㎞ 구간은 [[중부고속도로]]와 중복된다.<br/>
건설계획 당시의 원칙은 서울-부산간의 주요도시를 경유하도록 하여, 공사비·통행료·유지비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하고, 현존 도로 및 철도·항만·공항 등 종합교통망 구성을 감안하여 농공병진(農工倂進)과 균형적 국토개발을 위한 척추 종관기간선(脊椎縱貫基幹線)을 구성하도록 하였다.<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2460 경부고속도로]", <html><online style="color:purple"></html>『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html><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최종확인: 2017년 05월 07일.</ref><br/>
+
건설계획 당시의 원칙은 서울-부산간의 주요도시를 경유하도록 하여, 통행료 수입을 증대시켜 공사비와 유지비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었다. 이와 함께 기존 도로 및 철도·항만·공항 등 종합교통망 구성을 감안하여 농공병진(農工倂進)과 균형적 국토개발을 위한 척추 종관기간선(脊椎縱貫基幹線)을 구성하도록 하였다.<ref>박양춘,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2460 경부고속도로]", <html><online style="color:purple"></html>『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html><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br/>
  
=='''시각적 안내'''==
+
===그림 읽기===
 +
*국가기록원 기록에 따르면 이 작품은 1991년 1월 15일부터 1992년 1월 14일까지 [[새마을운동중앙연수원]]에 대여되었습니다.
 
*그림위에 마우스를 올려 보세요.
 
*그림위에 마우스를 올려 보세요.
 
*[http://maschek.hu/imagemap/imgmap/ 온라인 이미지맵 에디터]
 
*[http://maschek.hu/imagemap/imgmap/ 온라인 이미지맵 에디터]
 
<imagemap>
 
<imagemap>
 
파일:김서봉-서울부산간고속도로-1973s.jpg|김서봉「서울부산간고속도로」 1973|800px|center
 
파일:김서봉-서울부산간고속도로-1973s.jpg|김서봉「서울부산간고속도로」 1973|800px|center
poly 63 123 28 170 74 204 242 327 562 517 672 522 784 494 510 355 427 274 434 182 256 142 167 132 [[서울부산간고속도로]]
+
poly 63 123 28 170 74 204 242 327 562 517 672 522 784 494 510 355 427 274 434 182 256 142 167 132 [[경부고속도로]]
 
</imagemap>
 
</imagemap>
  
=='''관련 민족기록화'''==
+
=='''지식 관계망'''==
<gallery mode=packed caption="건설/교통 소재 작품"  heights=180px  style="float:center" >
+
* [https://dh.aks.ac.kr/Encyves/Graph/C094/C094.htm "서울부산간고속도로"(김서봉) 지식관계망]
파일:김서봉-서울부산간고속도로-1973s.jpg |[[김서봉-서울부산간고속도로]]
+
<html>
파일:손응성-호남고속도로-1975s.jpg |[[손응성-호남고속도로]]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파일:박각순-남해대교-1973s.jpg |[[박각순-남해대교]]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파일:박각순-산업전철선-1975s.jpg |[[박각순-산업전철선]]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s://dh.aks.ac.kr/Encyves/Graph/C094/C094.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파일:문학진-지하철제1호선승강구-1973s.jpg |[[문학진-지하철제1호선승강구]]
+
</html>
파일:박득순-지하철-1975s.jpg |[[박득순-지하철]]
 
파일:박광진-아산방조제-1975s.jpg |[[박광진-아산방조제]]
 
파일:박서보-수출선박-1973s.jpg |[[박서보-수출선박]]
 
파일:정창섭-인천항도크-1975s.jpg |[[정창섭-인천항도크]]
 
파일:정창섭-인천항제2도크-1973s.jpg |[[정창섭-인천항제2도크]]
 
파일:김원-해안사방-1975s.jpg |[[김원-해안사방]]
 
파일:박영선-현충사-1973s.jpg |[[박영선-현충사]]
 
파일:손응성-불국사(복원)-1973s.jpg |[[손응성-불국사]]
 
</gallery><br/><br/><br/>
 
  
=='''관련항목'''==
+
===관계정보===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김서봉]]  || {{PAGENAME}} || A은 B를 그렸다 || 1973년
+
|[[김서봉-서울부산간고속도로]] || [[김서봉]]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
 +
|[[김서봉-서울부산간고속도로]] || [[새마을운동중앙연수원]] || A는 B에 대여되었다 || A ekc:hasExhibitionAt B
 +
|-
 +
|[[김서봉-서울부산간고속도로]] || [[경부고속도로]] ||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A ekc:depicts B
 +
|-
 +
|[[경부고속도로]] || [[한국도로공사]]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서울부산간고속도로준공기념탑]] || [[추풍령휴게소]] || A는 B에 위치한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
|[[서울부산간고속도로준공기념탑]]  || [[경부고속도로]] || A는 B를 위한 비이다 || A ekc:isSteleOf B
 +
|-
 +
|[[경부고속도로순직자위령탑]] || [[금강휴게소]] || A는 B에 위치한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
|[[경부고속도로순직자위령탑]]  || [[경부고속도로]]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국토종합개발계획]] || [[경부고속도로]]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
 +
|[[국토종합개발계획]] || [[호남고속도로]]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
 +
|[[국토종합개발계획]] || [[경인고속도로]]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
 +
|[[국토종합개발계획]] || [[영동고속도로]]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
 +
|[[경부고속도로]] || [[제2차 경제개발 5개년계획]]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박정희 정권 3대 국책사업]] || [[소양강댐]]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
 +
| [[박정희 정권 3대 국책사업]] ||  [[서울 지하철 1호선]]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
 +
| [[박정희 정권 3대 국책사업]] || [[경부고속도로]]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
 +
| [[박정희 정권 3대 국책사업]] || [[박정희]]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대일청구권자금]] || [[경부고속도로]] || A는 B에 사용되었다 || A ekc:isUsedIn B
 
|-
 
|-
|{{PAGENAME}} || [[경부고속도로]] ||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
 
|}
  
 
+
===시간정보===
 
 
 
 
1971년 8월 31일 노선 이름이 서울부산간고속도로(고속국도 1)로 지정되었고,
 
2002년 5월 1일에 변경된 새로운 구간 체계에 따라 시점과 종점이 바뀌어 현재에 이른다.
 
금호분기점-동대구 인터체인지 17.25㎞ 구간은 중앙고속도로와 중복되고,
 
남이분기점-비룡분기점 32.11㎞ 구간은 중부고속도로와 중복된다.
 
1968년 2월 1일 착공하여 1970년 7월 7일 전 구간이 왕복4차선 도로로 준공,
 
개통된 뒤 1985년 4월부터 1987년 12월까지 남이-회덕 간 21.7㎞ 구간이 중부고속도로가 건설될 때 왕복6차선으로 확장되었다.
 
경수지역의 교통소통을 원활히 하기 위하여 1989년 10월부터 1992년 7월까지 양재∼수원 간 18.5㎞를 왕복8차선으로 확장하였고,
 
1991년 5월부터 1993년 7월까지 대전세계박람회를 지원하기 위해 수원∼천안 간 51.5㎞ 구간을 왕복8차선으로 확장하고,
 
천안∼남이 간 40.3㎞를 왕복6차선으로,
 
남이∼청원 간 8.3㎞를 왕복8차선으로 확장하였다.
 
또한 1992년 5월부터 1995년까지 반포∼서초 간 2.2㎞ 구간이 왕복6차선으로 확장되었고,
 
서초∼양재 간 3㎞ 구간도 왕복8차선으로 확장공사를 완료하였다.
 
 
 
 
 
=='''시간정보'''==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style="width:20%"|시간정보!!style="width:80%"|내용
 
!style="width:20%"|시간정보!!style="width:80%"|내용
 
|-
 
|-
|1973년 || [[김서봉]]이 {{PAGENAME}}를 제작하였다
+
|1973년 || [[김서봉]]이 [[김서봉-서울부산간고속도로]]를 제작하였다
 +
|-
 +
|1979년 || [[총무처]]가 [[김서봉-서울부산간고속도로]]를 대여하였다
 
|-
 
|-
|1979년 || [[총무처]]가 {{PAGENAME}}를 대여하였다
+
|1991년 01월 15일-19992년 01월14일 || [[새마을운동중앙연수원]]이 [[김서봉-서울부산간고속도로]]를 대여하였다
 
|-
 
|-
|1991년 01월 15일-19992년 01월14일 || [[새마을중앙협의회 중앙연수원]]이 {{PAGENAME}}를 대여하였다
+
|1970년 07월 07일 || 서울-부산 전 구간이 개통되었다
 
|-
 
|-
|1970년 07월 07일 || 서울-부산 전 구간이 개통되었다
+
|1971년 08월 31일 || 서울부산간고속도로(고속국도 1)로 지정되었다
 
|-
 
|-
|1971년 08월 31일 || 서울부산간고속도로(고속국도 1)로 지정되었다
 
|
 
 
|2002년 05월 01일 || 변경된 구간 체계에 따라 시점과 종점이 바뀌었다
 
|2002년 05월 01일 || 변경된 구간 체계에 따라 시점과 종점이 바뀌었다
 
|-
 
|-
 
|1985년 04월-1987년 12월 || 남이-회덕 간 21.7㎞ 구간이 왕복6차선으로 확장되었다
 
|1985년 04월-1987년 12월 || 남이-회덕 간 21.7㎞ 구간이 왕복6차선으로 확장되었다
 
|-
 
|-
|1989년 10월-1992년 07월 || 양재-수원 간 18.5㎞ 구간이  왕복8차선으로 확장되었다  
+
|1989년 10월-1992년 07월 || 양재-수원 간 18.5㎞ 구간이  왕복8차선으로 확장되었다
 
|-
 
|-
|1991년 05월-1993년 07월 || 수원-천안 간 51.5㎞ 구간이 왕복8차선으로 확장되었다  
+
|1991년 05월-1993년 07월 || 수원-천안 간 51.5㎞ 구간이 왕복8차선으로 확장되었다
 
|-
 
|-
 
|1991년 05월-1993년 07월 || 천안-남이 간 40.3㎞ 구간이 왕복6차선으로 확장되었다
 
|1991년 05월-1993년 07월 || 천안-남이 간 40.3㎞ 구간이 왕복6차선으로 확장되었다
104번째 줄: 112번째 줄:
 
|}
 
|}
  
=='''공간정보'''==
+
===공간정보===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
 
|-
|37.392756 || 127.158314|| [[새마을중앙협의회 중앙연수원]]이 {{PAGENAME}}를 대여하였다
+
|37.392756 || 127.158314|| [[새마을중앙협의회 중앙연수원]]이 [[김서봉-서울부산간고속도로]]를 대여하였다
 
|}
 
|}
  
=='''그래프'''==
+
===관련 민족기록화===
 +
<gallery mode=packed caption="건설/교통 소재 작품"  heights=180px  style="float:center" >
 +
파일:김서봉-서울부산간고속도로-1973s.jpg |[[김서봉-서울부산간고속도로]]
 +
파일:손응성-호남고속도로-1975s.jpg |[[손응성-호남고속도로]]
 +
파일:박각순-남해대교-1973s.jpg |[[박각순-남해대교]]
 +
파일:박각순-산업전철선-1975s.jpg |[[박각순-산업전철선]]
 +
파일:문학진-지하철제1호선승강구-1973s.jpg |[[문학진-지하철제1호선승강구]]
 +
파일:박득순-지하철-1975s.jpg |[[박득순-지하철]]
 +
파일:박광진-아산방조제-1975s.jpg |[[박광진-아산방조제]]
 +
파일:박서보-수출선박-1973s.jpg |[[박서보-수출선박]]
 +
파일:정창섭-인천항도크-1975s.jpg |[[정창섭-인천항도크]]
 +
파일:정창섭-인천항제2도크-1973s.jpg |[[정창섭-인천항제2도크]]
 +
파일:김원-해안사방-1975s.jpg |[[김원-해안사방]]
 +
파일:박영선-현충사-1973s.jpg |[[박영선-현충사]]
 +
파일:손응성-불국사(복원)-1973s.jpg |[[손응성-불국사]]
 +
</gallery>
 +
 
 +
=='''시각자료'''==
 +
===가상현실===
 +
<html>
 +
<iframe width="100%" height="600" src="https://dh.aks.ac.kr/encyves/Pavilions/C094/"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br/>
 +
{{clickable button|[https://dh.aks.ac.kr/encyves/Pavilions/C094/ 가상 현실 - 전체 화면 보기]}}
 +
 
 +
===갤러리===
 +
 
 +
===영상===
 +
*KTV 대한뉴스, [https://www.youtube.com/embed/0V1zYzTRUeE 대한뉴스 제784호-경부고속도로 준공], ''YouTube'', 제작일: 1970년 7월 11일.
 
<html>
 
<html>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frame width="560" height="315" src="https://www.youtube.com/embed/0V1zYzTRUeE"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igerati.aks.ac.kr/DHLab/2016/202/민족기록화/서울부산간고속도로.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html>
 
</html>
 
=='''참고문헌'''==
 
*한국문화예술진흥원, 민족기록화 경제편,1992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2460 경부고속도로]", <html><online style="color:purple"></html>『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html><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최종확인: 2017년 05월 07일.<br/>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95140 경부고속도로]", <html><online style="color:purple"></html>『두피디아』<html><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 최종확인: 2017년 05월 07일.<br/>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67120200329201018&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67-12-02&officeId=00032&pageNo=1&printNo=6814&publishType=00020 경부고속도로 명2월에 착공]", 『경향신문』, 1967년 12월 02일.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70070700209201004&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70-07-07&officeId=00020&pageNo=1&printNo=14997&publishType=00020 경부고속도로 개통]", 『동아일보』, 1970년 07월 07일.
 
  
 
=='''주석'''==
 
=='''주석'''==
 
<references/>
 
<references/>
  
[[분류:민족기록화]][[분류:작품]][[분류:현대]][[분류:건설교통]]
+
=='''참고문헌'''==
 +
===인용 및 참조===
 +
#단행본
 +
#* 한국문화예술진흥원, 『민족기록화 경제편』, 정문사문화, 1992.
 +
#웹 자원
 +
#*박양춘,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2460 경부고속도로]", <html><online style="color:purple"></html>『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html><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95140 경부고속도로]", <html><online style="color:purple"></html>『doopedia』<html><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
 +
#*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67120200329201018&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67-12-02&officeId=00032&pageNo=1&printNo=6814&publishType=00020 경부고속도로 명2월에 착공]", 『경향신문』, 1967년 12월 02일.
 +
#*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70070700209201004&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70-07-07&officeId=00020&pageNo=1&printNo=14997&publishType=00020 경부고속도로 개통]", 『동아일보』, 1970년 07월 07일.
 +
 
 +
[[분류:민족기록화]][[분류:작품]][[분류:문헌]]

2024년 3월 14일 (목) 14:54 기준 최신판


서울부산간고속도로
김서봉-서울부산간고속도로-1973s.jpg
작가 김서봉
제작연도 1973년
규격 300호(197x290.9cm)
유형 건설/교통
분류 유화
소장처 미상



정의

1970년에 완공된 경부고속도로를 그린 김서봉의 민족기록화이다.

설명

작품 소재

서울-부산간 고속도로는 고속국도로서는 우리나라 첫 번째이고, 고속도로로는 경인고속도로에 이어 두 번째로 건설되었다. 제2차 경제개발 5개년계획기간인 1968년 2월 1일에 착공하여, 1970년 7월 7일에 완공되었으며, 1971년 8월 31일에 노선 이름이 서울-부산간 고속도로로 지정되었다. [1]
서울에서 부산을 연결하는 길이는 총 416㎞, 너비 22.4m이며, 왕복4-8차선이다. 서울특별시 구간은 11.54㎞, 부산광역시는 7.42㎞, 대구광역시는 26.92㎞, 대전광역시는 19.06㎞, 울산광역시는 27.61㎞, 경기도는 55.78㎞, 충청북도는 88.9㎞, 충청남도는 36.4㎞, 경상북도는 128.48㎞, 경상남도는 23.37㎞이다. 2002년 5월 1일에 변경된 새로운 구간 체계에 따라 시점과 종점이 바뀌어 현재에 이른다. 금호분기점-동대구 인터체인지 17.25㎞ 구간은 중앙고속도로와 중복되고, 남이분기점-비룡분기점 32.11㎞ 구간은 중부고속도로와 중복된다.
건설계획 당시의 원칙은 서울-부산간의 주요도시를 경유하도록 하여, 통행료 수입을 증대시켜 공사비와 유지비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었다. 이와 함께 기존 도로 및 철도·항만·공항 등 종합교통망 구성을 감안하여 농공병진(農工倂進)과 균형적 국토개발을 위한 척추 종관기간선(脊椎縱貫基幹線)을 구성하도록 하였다.[2]

그림 읽기

경부고속도로김서봉「서울부산간고속도로」 1973
이 그림에 대한 정보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김서봉-서울부산간고속도로 김서봉 A는 B가 그렸다 A dcterms:creator B
김서봉-서울부산간고속도로 새마을운동중앙연수원 A는 B에 대여되었다 A ekc:hasExhibitionAt B
김서봉-서울부산간고속도로 경부고속도로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A ekc:depicts B
경부고속도로 한국도로공사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서울부산간고속도로준공기념탑 추풍령휴게소 A는 B에 위치한다 A edm:currentLocation B
서울부산간고속도로준공기념탑 경부고속도로 A는 B를 위한 비이다 A ekc:isSteleOf B
경부고속도로순직자위령탑 금강휴게소 A는 B에 위치한다 A edm:currentLocation B
경부고속도로순직자위령탑 경부고속도로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국토종합개발계획 경부고속도로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국토종합개발계획 호남고속도로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국토종합개발계획 경인고속도로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국토종합개발계획 영동고속도로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경부고속도로 제2차 경제개발 5개년계획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박정희 정권 3대 국책사업 소양강댐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박정희 정권 3대 국책사업 서울 지하철 1호선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박정희 정권 3대 국책사업 경부고속도로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박정희 정권 3대 국책사업 박정희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대일청구권자금 경부고속도로 A는 B에 사용되었다 A ekc:isUsedIn B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973년 김서봉김서봉-서울부산간고속도로를 제작하였다
1979년 총무처김서봉-서울부산간고속도로를 대여하였다
1991년 01월 15일-19992년 01월14일 새마을운동중앙연수원김서봉-서울부산간고속도로를 대여하였다
1970년 07월 07일 서울-부산 전 구간이 개통되었다
1971년 08월 31일 서울부산간고속도로(고속국도 1)로 지정되었다
2002년 05월 01일 변경된 구간 체계에 따라 시점과 종점이 바뀌었다
1985년 04월-1987년 12월 남이-회덕 간 21.7㎞ 구간이 왕복6차선으로 확장되었다
1989년 10월-1992년 07월 양재-수원 간 18.5㎞ 구간이 왕복8차선으로 확장되었다
1991년 05월-1993년 07월 수원-천안 간 51.5㎞ 구간이 왕복8차선으로 확장되었다
1991년 05월-1993년 07월 천안-남이 간 40.3㎞ 구간이 왕복6차선으로 확장되었다
1991년 05월-1993년 07월 남이-청원 간 8.3㎞ 구간이 왕복8차선으로 확장되었다
1992년 05월-1995년 반포-서초 간 2.2㎞ 구간이 왕복6차선으로 확장되었다
1992년 05월-1995년 서초-양재 간 3㎞ 구간이 왕복8차선으로 확장되었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7.392756 127.158314 새마을중앙협의회 중앙연수원김서봉-서울부산간고속도로를 대여하였다

관련 민족기록화

시각자료

가상현실


가상 현실 - 전체 화면 보기

갤러리

영상

주석

  1. 박양춘, "경부고속도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박양춘, "경부고속도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1. 단행본
    • 한국문화예술진흥원, 『민족기록화 경제편』, 정문사문화, 1992.
  2. 웹 자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