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창섭-정약용과 저술"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작품 배경) |
(→공간정보) |
||
(사용자 8명의 중간 판 11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1번째 줄: | 11번째 줄: | ||
|필드수=8 | |필드수=8 | ||
}} | }} | ||
− | + | =='''정의'''== | |
− | ==''' | + | 조선 후기 실학자 [[정약용]]이 [[다산초당]] 앞뜰에 서서 사색하는 모습을 담은 [[정창섭]]의 민족기록화이다.<br/> |
− | |||
=='''설명'''== | =='''설명'''== | ||
===작품 소재=== | ===작품 소재=== | ||
− | 작품의 소재는 [[정약용]]으로, 해당 작품에서 [[다산초당]] 왼쪽에 서있는 [[정약용|다산]]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br/> | + | [[파일:민족기록화_작품_정창섭-정약용과 저술 인덱스.jpg|right|450px]] |
− | [[정약용|다산]]은 1808년에서 1818년까지 | + | 작품의 소재는 [[정약용]](丁若鏞, 1762~1836)으로, 해당 작품에서 [[다산초당]](茶山草堂) 왼쪽에 서있는 '''⑤ [[정약용|다산]](茶山)'''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br/> |
+ | [[신유박해]]로 인해 전남 강진(康津)에 유배된 [[정약용|다산]]은 1808년에서 1818년까지 십여년간 [[다산초당]]에서 머물며, 양반 18명, 중인 6명의 제자들을 가르쳤다. 또 [[목민심서]](牧民心書), [[경세유표]](經世遺表), [[흠흠신서]](欽欽新書) 등 500여권의 저서를 이곳에서 집필하였다. | ||
===작품 배경=== | ===작품 배경=== | ||
− | 작품의 배경은 [[다산초당]]으로, 해당 | + | 작품의 배경은 '''⑤ [[다산초당]]'''으로, 다산(茶山)은 초당이 있는 뒷산을 지칭하며 차나무가 많이 자생하였다고 한다.<br/> |
− | [[다산초당]]은 | + | 해당 작품에서 [[다산초당]]은 기와집으로 묘사되어 있는데, [[정약용|다산]]이 거처했던 1808년~1818년에는 작은 초가집이었다고 한다. 원래 해남윤씨가의 소유였는데, 외가가 해남윤씨엮던 인연으로 정약용이 사용하게 된 것이다. |
− | [[ | + | 1936년에 완전히 해체돼 폐허가 된 [[다산초당]]은, 1957년 [[다산유적보존회]]가 출범하면서 [[해남 윤씨]]와 강진 관내 유지들의 성금으로 지금의 기와집으로 새롭게 지어졌다. 특히 다산초당의 '茶山艸堂'이라는 현판은 추사 [[김정희]](秋史 金正喜)의 글씨로 유명하다.<br/> |
− | + | [[다산초당]]이 있던 곳에 세워진 기와집은 정면 5칸, 측면 2칸의 도리단층으로 지어졌는데, 이는 작품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br/> | |
− | + | 초당뒤 석벽에는 [[정약용|다산]]이 직접 새긴 글씨인 [[정석|정석(丁石)]]이 있고, 뒷담 밑에는 마르지 않는 샘물인 [[약천|약천(藥泉)]]이 있으며, [[다산초당]] 바로 앞에는 약천의 샘물로 앞 뜰에서 차를 달이던 바위인 '''④ [[다조|다조(茶竈)]]''', 초당 동쪽 연못에 [[탐진강]](耽津江)에서 가져온 돌로 가산(假山)을 쌓은 '''⑧⑨ [[연지석가산|연지석가산(蓮池石假山)]]'''이 위치해 있는데, 이 네 곳을 일컬어 [[다산사경|다산사경(茶山四景)]]이라 한다.<ref>주희춘, "[http://www.nsori.com/news/articleView.html?idxno=6666 <광복70주년 기획시리즈> 우리 강진은 이렇게 살았다 15.50년대말 강진의 경제와 문화]", 『강진일보』, 2015년 07월 09일.</ref><br/> | |
− | + | 해당 작품에서는 오른편에 그려진 [[연지석가산]]과, [[다산초당]] 앞에 그려진 [[다조]]를 확인할 수 있다. | |
− | == | + | ===그림 읽기=== |
*그림위에 마우스를 올려 보세요. | *그림위에 마우스를 올려 보세요. | ||
*[http://maschek.hu/imagemap/imgmap/ 온라인 이미지맵 에디터] | *[http://maschek.hu/imagemap/imgmap/ 온라인 이미지맵 에디터] | ||
35번째 줄: | 35번째 줄: | ||
poly 116 337 114 342 125 343 121 345 126 349 135 347 135 342 159 342 159 337 116 335 [[다조]] | poly 116 337 114 342 125 343 121 345 126 349 135 347 135 342 159 342 159 337 116 335 [[다조]] | ||
poly 435 241 433 249 431 260 434 272 427 275 426 291 424 303 422 336 421 351 425 356 432 357 433 361 427 365 427 369 433 369 435 372 447 370 447 368 447 363 446 359 458 355 453 339 450 318 455 308 453 295 455 288 447 269 443 265 443 262 443 257 443 256 443 252 448 245 447 242 446 238 443 240 437 236 435 240 [[정약용]] | poly 435 241 433 249 431 260 434 272 427 275 426 291 424 303 422 336 421 351 425 356 432 357 433 361 427 365 427 369 433 369 435 372 447 370 447 368 447 363 446 359 458 355 453 339 450 318 455 308 453 295 455 288 447 269 443 265 443 262 443 257 443 256 443 252 448 245 447 242 446 238 443 240 437 236 435 240 [[정약용]] | ||
− | poly | + | poly 599 345 602 360 606 376 610 364 607 356 612 352 622 354 622 365 626 370 627 362 634 356 639 361 643 372 650 368 678 370 698 384 710 400 712 413 706 421 706 436 711 440 688 434 679 434 656 433 646 434 630 433 626 430 615 432 606 430 599 430 583 432 576 432 566 426 559 428 554 428 548 425 550 412 552 398 556 400 562 388 571 381 575 376 574 366 578 366 580 362 583 364 584 356 590 348 594 344 594 344 [[연지석가산]] |
poly 244 178 303 161 303 149 311 149 312 151 336 151 335 139 343 139 347 141 371 142 369 137 376 135 379 139 403 130 441 107 448 96 456 100 455 111 512 166 595 183 599 178 601 184 611 186 611 194 544 216 544 235 539 236 539 333 459 331 451 318 457 307 455 291 457 285 443 257 440 247 447 242 447 230 435 231 428 263 433 271 427 277 427 293 424 307 423 331 359 331 209 311 208 227 171 219 167 211 159 209 159 207 163 207 171 203 173 195 179 195 181 199 215 194 245 182 245 179 [[다산초당]] | poly 244 178 303 161 303 149 311 149 312 151 336 151 335 139 343 139 347 141 371 142 369 137 376 135 379 139 403 130 441 107 448 96 456 100 455 111 512 166 595 183 599 178 601 184 611 186 611 194 544 216 544 235 539 236 539 333 459 331 451 318 457 307 455 291 457 285 443 257 440 247 447 242 447 230 435 231 428 263 433 271 427 277 427 293 424 307 423 331 359 331 209 311 208 227 171 219 167 211 159 209 159 207 163 207 171 203 173 195 179 195 181 199 215 194 245 182 245 179 [[다산초당]] | ||
</imagemap> | </imagemap> |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heights=180px style="float:center" > | ||
+ | 파일:민족기록화_유적_다산초당_다산초당01.jpg|[[다산초당]] | ||
+ | 파일:민족기록화_작품_정창섭-정약용과저술_01.jpg|현재의 [[다산초당]]과 그림 속 [[정약용]] | ||
+ | </gallery> | ||
+ | |||
+ | =='''지식 관계망'''== | ||
+ | |||
+ | {{NetworkGraph | title=C039.lst}} | ||
− | |||
− | |||
− | |||
− | |||
− | |||
− | |||
− | == | + | ===관계정보===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 |- | ||
− | |[[정창섭]] || | + | | [[정창섭-정약용과 저술]] || [[정창섭]]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 | |- | ||
+ | | [[정창섭-정약용과 저술]] || [[정약용]]||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A ekc:depicts B | ||
|- | |- | ||
− | | | + | | [[정창섭-정약용과 저술]] ||[[다산초당]]|| A는 B를 배경으로 한다 || A ekc:depicts B |
|- | |- | ||
− | | | + | | [[정창섭-정약용과 저술]] || [[인천시립박물관]] || A는 B에 대여되었다 || A ekc:hasExhibitionAt B |
+ | |- | ||
+ | | [[정창섭-정약용과 저술]] ||[[한국학중앙연구원]]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 ||
+ | |- | ||
+ | | [[정창섭-정약용과 저술]] || [[정창섭-정약용과 저술 관련 기사]]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 | |} | ||
− | == | + | ===시간정보===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
!style="width:20%"|시간정보!!style="width:80%"|내용 | !style="width:20%"|시간정보!!style="width:80%"|내용 | ||
|- | |- | ||
− | | 1979년 || [[정창섭]]이 | + | | 1979년 || [[정창섭]]이 [[정창섭-정약용과 저술]]을 제작하였다. |
|- | |- | ||
− | |1991년 | + | |1991년 4월 18일-1992년 4월 17일 || [[인천광역시립박물관]]이 [[정창섭-정약용과 저술]]을 대여하였다. |
|- | |- | ||
− | | 1998년- || [[한국학중앙연구원]]이 | + | | 1998년 12월 30일-현재 || [[한국학중앙연구원]]이 [[정창섭-정약용과 저술]]을 소장하고 있다. |
|} | |} | ||
− | == | + | ===공간정보===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 ||
|- | |- | ||
− | | 37.4205792 || 126.6512053 ||[[ | + | | 37.4205792 || 126.6512053 ||[[인천광역시립박물관]]이 [[정창섭-정약용과 저술]]을 대여하였다 |
|- | |- | ||
− | | 37.3915557 || 127.0547403 || [[한국학중앙연구원]]이 | + | | 37.3915557 || 127.0547403 || [[한국학중앙연구원]]이 [[정창섭-정약용과 저술]]을 소장하였다 |
|- | |- | ||
− | | 34.579066 || 126.746974 || [[다산초당]]은 | + | | 34.579066 || 126.746974 || [[다산초당]]은 [[정창섭-정약용과 저술]]의 배경이다 |
|} | |} | ||
+ | *'''정약용의 발자취 전자지도''' | ||
+ | <html> | ||
+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
+ | <input type="button" value=" Map " onclick="reload();"> | ||
+ | <iframe width="100%" height="480px" src="https://dh.aks.ac.kr/Encyves/Google/GoogleMapsKML.htm?kml=http://dh.aks.ac.kr/Encyves/Map/C007/C007.kml"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 | </html> | ||
− | ==''' | + | ===관련 민족기록화=== |
− | [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조선시대 학술 소재 작품" heights=180px style="float:center" > |
+ | 파일:박득순-동의보감(허준)-1978s.jpg|1539-1615년 [[박득순-허준과 동의보감]] | ||
+ | 파일:정창섭-다산초당(정약용)-1979s.jpg|1762-1836년 [[정창섭-정약용과 저술]] | ||
+ | 파일:김태-대동여지도(김정호)-1979s.jpg|?-1866년 [[김태-김정호의 대동여지도]] | ||
+ | </gallery> | ||
+ | |||
+ | =='''시각자료'''== | ||
+ | ===가상현실=== | ||
+ | <!-- | ||
+ | <html> | ||
+ | <iframe width="100%" height="600" src="https://dh.aks.ac.kr/encyves/Pavilions/C039/"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 | </html><br/> | ||
+ | {{clickable button|[https://dh.aks.ac.kr/encyves/Pavilions/C039/ 가상 현실 - 전체 화면 보기]}} | ||
+ | --> | ||
<html> | <html> | ||
− | <iframe width="100%" height=" | + | <iframe width="100%" height="600" src="https://dh.aks.ac.kr/Encyves/Pavilions/C039/S001/S001.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 </html> | + | </html><br/> |
+ | '''정창섭-정약용과 저술''' 가상현실: | ||
+ | {{clickable button|[https://dh.aks.ac.kr/Encyves/Pavilions/C039/S001/S001.htm Scene 1]}} | ||
+ | {{clickable button|[https://dh.aks.ac.kr/Encyves/Pavilions/C039/S002/S002.htm Scene 2]}} | ||
+ | {{clickable button|[https://dh.aks.ac.kr/Encyves/Pavilions/C039/S003/S003.htm Scene 3]}} | ||
+ | {{clickable button|[https://dh.aks.ac.kr/Encyves/Pavilions/C039/S004/S004.htm Scene 4]}} | ||
+ | |||
+ | ===갤러리=== |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heights=180px style="float:center" > | ||
+ | 파일:민족기록화_유적_다산초당_다산초당01.jpg|[[다산초당]] | ||
+ | 파일:민족기록화_작품_정창섭-정약용과저술_01.jpg|현재의 [[다산초당]]과 그림 속 [[정약용]] | ||
+ | </gallery> | ||
− | == | + | ===영상=== |
− | |||
− | |||
=='''주석'''== | =='''주석'''== | ||
<references/> | <references/> | ||
− | [[ | + | =='''참고문헌'''== |
+ | ===인용 및 참조=== | ||
+ | #단행본 | ||
+ | #* 정민, 『삶을 바꾼 만남(스승 정약용과 제자 황상)』, 문학동네, 2011년. | ||
+ | #웹 자원 | ||
+ | #*김동수,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3467 다산초당]",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 | #*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07280 강진 정약용 유적]",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 | ||
+ | #*주희춘, "[http://www.nsori.com/news/articleView.html?idxno=6666 <광복70주년 기획시리즈> 우리 강진은 이렇게 살았다 15.50년대말 강진의 경제와 문화]", 『강진일보』, 2015년 07월 09일. | ||
+ | |||
+ | ===더 읽을거리=== | ||
+ | # 단행본 | ||
+ | #* 정민, 『강진 백운동 별서정원』, 글항아리, 2015. | ||
+ | |||
+ | [[분류:민족기록화]][[분류:작품]][[분류:문헌]] |
2024년 3월 17일 (일) 12:22 기준 최신판
정약용과 저술 | |
작가 | 정창섭 |
---|---|
제작연도 | 1979년 |
규격 | 300호(197x290.9cm) |
유형 | 학술 |
분류 | 유화 |
소장처 | 한국학중앙연구원 |
목차
정의
조선 후기 실학자 정약용이 다산초당 앞뜰에 서서 사색하는 모습을 담은 정창섭의 민족기록화이다.
설명
작품 소재
작품의 소재는 정약용(丁若鏞, 1762~1836)으로, 해당 작품에서 다산초당(茶山草堂) 왼쪽에 서있는 ⑤ 다산(茶山)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신유박해로 인해 전남 강진(康津)에 유배된 다산은 1808년에서 1818년까지 십여년간 다산초당에서 머물며, 양반 18명, 중인 6명의 제자들을 가르쳤다. 또 목민심서(牧民心書), 경세유표(經世遺表), 흠흠신서(欽欽新書) 등 500여권의 저서를 이곳에서 집필하였다.
작품 배경
작품의 배경은 ⑤ 다산초당으로, 다산(茶山)은 초당이 있는 뒷산을 지칭하며 차나무가 많이 자생하였다고 한다.
해당 작품에서 다산초당은 기와집으로 묘사되어 있는데, 다산이 거처했던 1808년~1818년에는 작은 초가집이었다고 한다. 원래 해남윤씨가의 소유였는데, 외가가 해남윤씨엮던 인연으로 정약용이 사용하게 된 것이다.
1936년에 완전히 해체돼 폐허가 된 다산초당은, 1957년 다산유적보존회가 출범하면서 해남 윤씨와 강진 관내 유지들의 성금으로 지금의 기와집으로 새롭게 지어졌다. 특히 다산초당의 '茶山艸堂'이라는 현판은 추사 김정희(秋史 金正喜)의 글씨로 유명하다.
다산초당이 있던 곳에 세워진 기와집은 정면 5칸, 측면 2칸의 도리단층으로 지어졌는데, 이는 작품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초당뒤 석벽에는 다산이 직접 새긴 글씨인 정석(丁石)이 있고, 뒷담 밑에는 마르지 않는 샘물인 약천(藥泉)이 있으며, 다산초당 바로 앞에는 약천의 샘물로 앞 뜰에서 차를 달이던 바위인 ④ 다조(茶竈), 초당 동쪽 연못에 탐진강(耽津江)에서 가져온 돌로 가산(假山)을 쌓은 ⑧⑨ 연지석가산(蓮池石假山)이 위치해 있는데, 이 네 곳을 일컬어 다산사경(茶山四景)이라 한다.[1]
해당 작품에서는 오른편에 그려진 연지석가산과, 다산초당 앞에 그려진 다조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림 읽기
- 그림위에 마우스를 올려 보세요.
- 온라인 이미지맵 에디터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정창섭-정약용과 저술 | 정창섭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정창섭-정약용과 저술 | 정약용 |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A ekc:depicts B |
정창섭-정약용과 저술 | 다산초당 | A는 B를 배경으로 한다 | A ekc:depicts B |
정창섭-정약용과 저술 | 인천시립박물관 | A는 B에 대여되었다 | A ekc:hasExhibitionAt B |
정창섭-정약용과 저술 | 한국학중앙연구원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정창섭-정약용과 저술 | 정창섭-정약용과 저술 관련 기사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시간정보
시간정보 | 내용 |
---|---|
1979년 | 정창섭이 정창섭-정약용과 저술을 제작하였다. |
1991년 4월 18일-1992년 4월 17일 | 인천광역시립박물관이 정창섭-정약용과 저술을 대여하였다. |
1998년 12월 30일-현재 | 한국학중앙연구원이 정창섭-정약용과 저술을 소장하고 있다. |
공간정보
위도 | 경도 | 내용 |
---|---|---|
37.4205792 | 126.6512053 | 인천광역시립박물관이 정창섭-정약용과 저술을 대여하였다 |
37.3915557 | 127.0547403 | 한국학중앙연구원이 정창섭-정약용과 저술을 소장하였다 |
34.579066 | 126.746974 | 다산초당은 정창섭-정약용과 저술의 배경이다 |
- 정약용의 발자취 전자지도
관련 민족기록화
1539-1615년 박득순-허준과 동의보감
?-1866년 김태-김정호의 대동여지도
시각자료
가상현실
정창섭-정약용과 저술 가상현실:
갤러리
영상
주석
- ↑ 주희춘, "<광복70주년 기획시리즈> 우리 강진은 이렇게 살았다 15.50년대말 강진의 경제와 문화", 『강진일보』, 2015년 07월 09일.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단행본
- 정민, 『삶을 바꾼 만남(스승 정약용과 제자 황상)』, 문학동네, 2011년.
- 웹 자원
- 김동수, "다산초당",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강진 정약용 유적",
『doopedia』online , 두산백과. - 주희춘, "<광복70주년 기획시리즈> 우리 강진은 이렇게 살았다 15.50년대말 강진의 경제와 문화", 『강진일보』, 2015년 07월 09일.
- 김동수, "다산초당",
더 읽을거리
- 단행본
- 정민, 『강진 백운동 별서정원』, 글항아리,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