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창섭-정약용과 저술 관련 기사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정창섭-정약용과 저술 관련 기사()
민족팀 일러 관련기사.png
대표명칭 정창섭-정약용과 저술 관련 기사



정의

정창섭이 그린 민족기록화 「정창섭-정약용과 저술」 고증과 관련된 자료들을 모은 기사이다.

내용

다산초당 관련 오류

정창섭-정약용과 저술」에 그려진 다산초당은 초가집이라는 이름에 걸맞지 않게 기와집으로 묘사되어 있다. 이는 역사적 고증없이 복원된 현재의 다산초당을 그대로 작품에 옮겨왔기 때문이다.
정약용이 거처했던 1808년에서 1818년 시기의 다산초당은 작은 초가집이었다고 한다. 이는 다산과 교류했던 초의선사가 1812년 다산초당을 방문해 그린 「다산도」를 통해 알 수 있다. 해당 그림 속 다산초당은 두개의 연못과 초가집 몇채를 안에 두고 토담이 둥그렇게 설치돼 있는 모습이다.[2]
1936년에 완전히 해체돼 폐허가 된 다산초당은, 1958년 지역민으로 구성된 다산유적보존회가 무너진 초당을 복건하여 지금의 기와집으로 새롭게 지어졌다. 건물은 5칸 도리단층 기와집으로 문화재관리국에서 관리하고 있다.[3]
1970년에는 다산이 제자를 가르쳤던 서암이나, 직접 기거하며 저술활동을 폈던 동암도 와당으로 복원되었다.[4]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정창섭-정약용과 저술 관련 기사 정창섭-정약용과 저술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시각자료

가상현실


가상 현실 - 전체 화면 보기

갤러리

영상

주석

  1. 茶泉, "다산을 찾아서 (1) - 다산 초당", 『한국사상 현장순례』, 작성일: 2001년 5월 5일.
  2. "이는...모습이다." : 최치봉, "다산초당 이름 걸맞게 초가집으로", 『경향신문』, 작성일: 2005년 10월 21일.
  3. 김동수, "다산초당", 『한국민족문화대백과』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4. 최치봉, "다산초당 이름 걸맞게 초가집으로", 『경향신문』, 작성일: 2005년 10월 21일.
  5. 민족기록화팀(2017년 4월 26일 촬영)
  6. 茶泉, "다산을 찾아서 (1) - 다산 초당", 『한국사상 현장순례』, 작성일: 2001년 5월 5일.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1. 웹 자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