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중기록화관 개관

"백관의 상복"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정의)
 
(사용자 4명의 중간 판 1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궁중기록화관 Top icon}}
 
{{궁중기록화관 Top icon}}
 
{{복장정보
 
{{복장정보
|이미지= 착용컷-남자-앞.png
+
|사진= 궁중기록화 복장 백관의 상복 김아람.png
|복식명칭= 상복
+
|사진출처=
|복식구분= 예복
+
|대표명칭= 백관의 상복
 +
|한자표기= 百官의 常服
 +
|이칭별칭=
 +
|분류= 예복
 +
|착용신분= [[백관]]
 
|착용성별= 남성
 
|착용성별= 남성
|착용신분= [[문무백관]]
 
|필드수= 5
 
 
}}
 
}}
  
==정의==
+
=='''정의'''==
* 관리의 평상시 집무복으로 조회, 조계(朝啓)<ref> <역사>  중신(重臣)과 시종신이 편전(便殿)에서 벼슬아치의 죄를 논하고 단죄하기를 임금에게 아뢰던 일. 출처: [[http://krdic.naver.com/detail.nhn?docid=34142600 | 네이버 국어사전]]</ref>, 동궁에게 조참 하는날, 칙서를 받을 때, 회례연, 사신을 영접할 때, 관리들이 임금께 나아갈 때, 중국에 입조 할 때 등 특정한 국가 의례에 착용.<ref>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424쪽.</ref>
+
조선의 [[백관]]이 평상시 집무할 때 입는 복식 일습이다. 조회, 조계(朝啓)<ref>조계(朝啓):중신(重臣)과 시종신이 편전(便殿)에서 벼슬아치의 죄를 논하고 단죄하기를 임금에게 아뢰던 일.</ref>, 동궁에게 조참 하는날, 칙서를 받을 때, 회례연, 사신을 영접할 때, 관리들이 임금께 나아갈 때, 중국에 입조 할 때 등 특정한 국가 의례에 착용하기도 한다.<ref>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424쪽.</ref>  
* 조선초기에는 단령의 색상에 제한이 없었으나 세종대에 흑단령을 예복인 [[백관의 시복 | 시복]], 홍단령을 집무복인 상복으로 구분하여 부르게 됨.<ref>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94쪽.</ref>
+
 
* 광해군대에 의례복인 흑단령을 상복이라고 하게 됨에 따라 집무복인 홍단령을 [[백관의 시복 | 시복]]이라고 부르게 .<ref>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94쪽.</ref>
+
=='''내용'''==
 +
조선초기에는 [[단령|단령(團領)]]의 색상에 제한이 없었으나 [[세종]]대에 예복인 [[백관의 시복 | 시복]]으로는 [[단령|흑단령]]을 입고, 집무목인 [[백관의 상복|상복]]으로는 [[단령|홍단령]]을 입어 구분하였다. [[광해군]]대에 바뀌어 의례복인 [[단령|흑단령]]을 [[백관의 상복|상복]]이라고 함에 따라 집무복인 [[단령|홍단령]]을 [[백관의 시복|시복]]이라고 부르게 되었다.<ref>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94쪽.</ref>
  
 
==복식구성==
 
==복식구성==
* [[사모 | 사모(紗帽)]], [[단령 | 단령(團領)]], [[품대 | 품대(品帶)]], [[흑화 | 흑화(黑靴)]]
+
[[사모 | 사모(紗帽)]], [[단령 | 단령(團領)]], [[흉배 | 흉배(胷褙)]], [[품대 | 품대(品帶)]], [[| 화(靴)]]
 +
 
 +
=='''지식 관계망'''==
 +
<html>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B050/B050.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
 
 +
===관계정보===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 [[백관]] || 백관의 상복 || A는 B를 착용하였다||  A ekc:wears B
 +
|-
 +
| 백관의 상복 || [[사모]]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
|-
 +
| 백관의 상복 || [[단령]]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
|-
 +
| 백관의 상복 || [[흉배]]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
|-
 +
| 백관의 상복 || [[품대]]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
|-
 +
| 백관의 상복 || [[화]]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
|}
 +
===시간정보===
 +
===공간정보===
  
==관련항목==
+
=='''시각자료'''==
 +
===갤러리===
  
==참고문헌==
+
===영상===
  
==주석==
+
=='''주석'''==
 
<references/>
 
<references/>
  
 +
=='''참고문헌'''==
 +
===인용 및 참조===
 +
* 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
*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
* 高光林, 「團領에 關한 硏究-朝鮮時代를 中心으로-」, 『論文集 』14집, 인천교육대학교, 1979.
 +
* 金東旭, 「團領의 發生」, 『服飾』 10호, 한국복식학회, 1986.
 +
* 李恩珠, 「16세기 전기 단령의 구성법 일례-金欽祖(1461~1528)분묘 출토의 단령을 중심으로-」, 『복식문화연구』 6권 2호, 복식문화학회, 1998.
 +
* 林栽永, 「團領에 관한 硏究」, 『한국의류학회지』 8권 3호, 한국의류학회, 1984.
 +
* 문공화, 「조선시대 團領의 着用規例와 實例에 관한 硏究」, 세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4.
 +
* 文光姬, 「曲領과 團領의 比較硏究」, 『東義論集』 19권, 동의대학교, 1992.
 +
* 文光姬, 「中國 團領名稱에 關한 硏究」, 『한국의류학회지』 11권 1호, 한국의류학회, 1987.
 +
* 송미경, 「조선시대 여성 단령(團領)에 관한 연구 –출토복식을 중심으로-」, 『服飾』 52권 8호, 한국복식학회, 2002.
 +
* 이은주, 「조선시대 백관의 시복(時服)과 상복(常服) 제도 변천」, 『服飾』 55권 6호, 한국복식학회, 2005.
 +
* 崔銀水, 「조선시대 百官의 團領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
 +
===일러스트 참고문헌===
 +
*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
* 황의숙, 김소현, 이윤주, 진선희, 김혜수, 박상희, 『한국의상 교육용 매뉴얼 개발』, 배화여자대학교, 2012.
  
 
[[분류:궁중기록화]]
 
[[분류:궁중기록화]]
 
[[분류:복장]]
 
[[분류:복장]]

2017년 11월 14일 (화) 23:53 기준 최신판


백관의 상복
(百官의 常服)
궁중기록화 복장 백관의 상복 김아람.png
대표명칭 백관의 상복
한자표기 百官의 常服
분류 예복
착용신분 백관
착용성별 남성



정의

조선의 백관이 평상시 집무할 때 입는 복식 일습이다. 조회, 조계(朝啓)[1], 동궁에게 조참 하는날, 칙서를 받을 때, 회례연, 사신을 영접할 때, 관리들이 임금께 나아갈 때, 중국에 입조 할 때 등 특정한 국가 의례에 착용하기도 한다.[2]

내용

조선초기에는 단령(團領)의 색상에 제한이 없었으나 세종대에 예복인 시복으로는 흑단령을 입고, 집무목인 상복으로는 홍단령을 입어 구분하였다. 광해군대에 바뀌어 의례복인 흑단령상복이라고 함에 따라 집무복인 홍단령시복이라고 부르게 되었다.[3]

복식구성

사모(紗帽), 단령(團領), 흉배(胷褙), 품대(品帶), 화(靴)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백관 백관의 상복 A는 B를 착용하였다 A ekc:wears B
백관의 상복 사모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백관의 상복 단령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백관의 상복 흉배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백관의 상복 품대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백관의 상복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시간정보

공간정보

시각자료

갤러리

영상

주석

  1. 조계(朝啓):중신(重臣)과 시종신이 편전(便殿)에서 벼슬아치의 죄를 논하고 단죄하기를 임금에게 아뢰던 일.
  2. 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424쪽.
  3.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94쪽.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 高光林, 「團領에 關한 硏究-朝鮮時代를 中心으로-」, 『論文集 』14집, 인천교육대학교, 1979.
  • 金東旭, 「團領의 發生」, 『服飾』 10호, 한국복식학회, 1986.
  • 李恩珠, 「16세기 전기 단령의 구성법 일례-金欽祖(1461~1528)분묘 출토의 단령을 중심으로-」, 『복식문화연구』 6권 2호, 복식문화학회, 1998.
  • 林栽永, 「團領에 관한 硏究」, 『한국의류학회지』 8권 3호, 한국의류학회, 1984.
  • 문공화, 「조선시대 團領의 着用規例와 實例에 관한 硏究」, 세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4.
  • 文光姬, 「曲領과 團領의 比較硏究」, 『東義論集』 19권, 동의대학교, 1992.
  • 文光姬, 「中國 團領名稱에 關한 硏究」, 『한국의류학회지』 11권 1호, 한국의류학회, 1987.
  • 송미경, 「조선시대 여성 단령(團領)에 관한 연구 –출토복식을 중심으로-」, 『服飾』 52권 8호, 한국복식학회, 2002.
  • 이은주, 「조선시대 백관의 시복(時服)과 상복(常服) 제도 변천」, 『服飾』 55권 6호, 한국복식학회, 2005.
  • 崔銀水, 「조선시대 百官의 團領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일러스트 참고문헌

  •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 황의숙, 김소현, 이윤주, 진선희, 김혜수, 박상희, 『한국의상 교육용 매뉴얼 개발』, 배화여자대학교,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