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중기록화관 개관

"백관의 융복"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복식 → 복장===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항목A!!항목B!!관계 |- | 철릭 || '''{{PAGENAME}}''' || A는 B의 일습이다 |-...)
 
 
(사용자 4명의 중간 판 1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복식 → 복장===
+
{{궁중기록화관 Top icon}}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
{{복장정보
!항목A!!항목B!!관계
+
|사진= 궁중기록화 복장 백관의 융복 김아람.png
 +
|사진출처=
 +
|대표명칭= 백관의 융복
 +
|한자표기= 百官의 戎服
 +
|이칭별칭=
 +
|분류= 편복
 +
|착용신분= [[백관]]
 +
|착용성별= 남성
 +
}}
 +
 
 +
=='''정의'''==
 +
조선의 [[백관]]이 군사(軍事)가 있을 때 착용하는 복식 일습이다.
 +
 
 +
=='''내용'''==
 +
[[속대전|『속대전(續大典)』]]에 당상관의 [[백관의 융복|융복]]은 [[철릭|남색 철릭]], 당하관은  [[철릭|청현색 철릭]]을 [[백관의 융복|융복]]으로 입었다. 또 [[왕]]이 교외로 행차할 때 당하관이 입는 [[철릭]]을 홍색으로 제정하였다. 1883년(고종 20) 1월 28일 [[철릭]]을 착용하던 [[백관의 융복|융복]]을 폐지하고 [[백관의 군복|군복]]을 입도록 함으로써 [[철릭]]은 사라지게 된다.<ref>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687쪽.</ref>
 +
 
 +
==복식구성==
 +
[[주립]], [[철릭]], [[광다회 | 광다회(廣多繪)]], [[화]]
 +
 
 +
=='''지식 관계망'''==
 +
<html>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B051/B051.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
 
 +
===관계정보===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철릭]] || '''{{PAGENAME}}''' || A는 B의 일습이다
+
| [[백관]] || 백관의 융복 || A는 B를 착용하였다||  A ekc:wears B
 
|-
 
|-
| [[대|조대]] || '''{{PAGENAME}}''' || A는 B의 일습이다
+
| 백관의 융복 || [[주립]]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
 
|-
| [[]] || '''{{PAGENAME}}''' || A는 B의 일습이다
+
| 백관의 융복 || [[철릭]]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
 
|-
| [[화]] || '''{{PAGENAME}}''' || A는 B의 일습이다
+
| 백관의 융복 || [[광다회]]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
|-
 +
| 백관의 융복 || [[화]]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
 
|}
 +
 +
===시간정보===
 +
===공간정보===
 +
 +
=='''시각자료'''==
 +
===갤러리===
 +
 +
===영상===
 +
 +
=='''주석'''==
 +
<references/>
 +
 +
=='''참고문헌'''==
 +
===인용 및 참조===
 +
* 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
*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
* 李賢淑, 『朝鮮時代의 戎服에 관한 硏究』, 성균관대 석사학위논문, 1980.
 +
* 任明美, 「介胄와 軍服과 戎服에 관한 硏究」, 『한국의류학회지』 3권 1호, 한국의류학회, 1979.
 +
* 趙孝順, 「正祖의 顯隆園 幸次時의 宮中儀禮服飾考-「整理儀軌」를中心으로-」, 『服飾』 5권, 한국복식학회, 1981.
 +
* 황의숙 외3인, 『아름다운 한국복식』, 수학사, 2010.
 +
 +
===일러스트 참고문헌===
 +
* 황의숙, 김소현, 이윤주, 진선희, 김혜수, 박상희, 『한국의상 교육용 매뉴얼 개발』, 배화여자대학교, 2012.
  
 
[[분류:궁중기록화]]
 
[[분류:궁중기록화]]
 
[[분류:복장]]
 
[[분류:복장]]

2017년 11월 14일 (화) 20:56 기준 최신판


백관의 융복
(百官의 戎服)
궁중기록화 복장 백관의 융복 김아람.png
대표명칭 백관의 융복
한자표기 百官의 戎服
분류 편복
착용신분 백관
착용성별 남성



정의

조선의 백관이 군사(軍事)가 있을 때 착용하는 복식 일습이다.

내용

『속대전(續大典)』에 당상관의 융복남색 철릭, 당하관은 청현색 철릭융복으로 입었다. 또 이 교외로 행차할 때 당하관이 입는 철릭을 홍색으로 제정하였다. 1883년(고종 20) 1월 28일 철릭을 착용하던 융복을 폐지하고 군복을 입도록 함으로써 철릭은 사라지게 된다.[1]

복식구성

주립, 철릭, 광다회(廣多繪),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백관 백관의 융복 A는 B를 착용하였다 A ekc:wears B
백관의 융복 주립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백관의 융복 철릭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백관의 융복 광다회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백관의 융복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시간정보

공간정보

시각자료

갤러리

영상

주석

  1. 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687쪽.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 李賢淑, 『朝鮮時代의 戎服에 관한 硏究』, 성균관대 석사학위논문, 1980.
  • 任明美, 「介胄와 軍服과 戎服에 관한 硏究」, 『한국의류학회지』 3권 1호, 한국의류학회, 1979.
  • 趙孝順, 「正祖의 顯隆園 幸次時의 宮中儀禮服飾考-「整理儀軌」를中心으로-」, 『服飾』 5권, 한국복식학회, 1981.
  • 황의숙 외3인, 『아름다운 한국복식』, 수학사, 2010.

일러스트 참고문헌

  • 황의숙, 김소현, 이윤주, 진선희, 김혜수, 박상희, 『한국의상 교육용 매뉴얼 개발』, 배화여자대학교, 2012.